익생양술처방: 복수(腹水)

복수(腹水) 의 익생양술 단방처방 처방목차
44 건
온포기 또는 꽃 3~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복용 중에 구리때를 금한다. 냉배 설사증이 있거나 열병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온포기 또는 꽃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씨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8~10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삼(대마)을 금한다.
뿌리 2~3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0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꼭두서니, 갈퀴꼭두서니, 여로, 인삼을 금한다. 임산부, 간장, 비장, 신장이 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꽃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0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구리때를 금한다. 냉배 설사 증세가 있거나 열이 있거나 해수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온포기 또는 꽃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꽃무릇
비늘줄기 0.1~0.3g을 1회분 기준으로 환제로 하여 1일 2~3회 3~4일 정도 식후에 복용한다.
씨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파두를 금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잎 8~10g 또는 씨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볶은 다음 산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씨 또는 잎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복용 중에 파두를 금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씨 가루 200g, 설탕 100g, 물 1ℓ를 1회분 기준으로 함께 끓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비위가 허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 10~15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껍질 또는 잎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도라지, 복령, 지네를 금한다. 해수가 있거나 중풍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열매 1~2개를 1회분 기준으로 날것으로 10일 정도 아침 공복에 먹는다. 씨는 독성이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는다.
씨 속알맹이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씨 속알맹이 4~6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뿌리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8~10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6~9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0일 정도 복용한다.
씨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삼(대마)을 금한다.
송진 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씨 2~3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7~8일 정도 복용한다. 비위가 허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과다 복용을 금한다.
수수쌀 20~25g 또는 뿌리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온포기 20~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8~10일 정도 복용한다.
씨 3~4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복용 중에 지황(생지황, 건지황, 숙지황)을 금한다. 소변불리 증세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잔가지 또는 씨 4~6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수염 25~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씨 속알맹이 4~6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햇싹 또는 햇줄기 25~3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8~10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씨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0일 정도 복용한다. 정수고갈 증세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씨(검은콩) 1되에 물 1l를 넣고 1.5l가 되게 달인 다음 건더기는 버리고 술 1.5l를 타서 200㎖를 1회분 기준으로 1일 1~2회 8~10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돼지고기를 금한다.
씨 40~45g을 1회분 기준으로 삶은 물을 1일 2~3회 4~5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신기가 허약하거나 폐가 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온포기 또는 꽃 3~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5~6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씨나 뿌리 또는 꽃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6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10~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대가리 2~3마리 분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비늘이 거꾸로 나 있는 가물치는 사용하지 않는다. 예로부터 치사약이 될 수 있다고 전해온다.
통째 5~6마리를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당뇨병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담수조개
조갯살 300~500g을 국으로 끓여서 1일 3회 나누어 복용한다. 심한 경우 3~5일 정도 복용한다. 간이 나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통째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지렁이를 다룰 때는 그릇에 지렁이를 넣고 지렁이가 잠길 정도로 물을 부은 다음 식초나 소주를 1숟가락 넣어 30분쯤 뒤에 뱃속의 똥이나 먹은 것을 다 게워내면 물로 깨끗이 씻어 사용한다.)
뿌리 6~8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12~15일 복용한다.
온포기 4~6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12~15일 복용한다.
뿌리 8~10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10~12일 복용한다.
버섯전체 5~6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30~35일 복용한다.
속줄기 25~30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8~10일 복용한다.
전체 200g을 1회분으로 1일 2~3회 7~8일 정도 탕전복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