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로곤비(疲勞困憊)
의 익생양술 단방처방 처방목차
85 건
85 건
뿌리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고삼을 금한다.
열매나 나무껍질 또는 줄기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줄기 8g과 인삼 뿌리 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0~15일 정도 복용한다.
온그루 또는 열매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10일 이상 복용한다.
잔가지나 뿌리 5~8g 또는 열매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정도 복용한다.
열매 200g, 오미자나무 열매 200g, 복분자딸기 열매 200g, 질경이 온포기200g, 새삼 뿌리 200g을 함께 쪄서 가루를 낸 다음 벌꿀 300g을 넣고 반죽하여 환제로 하여 30~40알 정도를 1회분 기준으로 1일 3회 20일 이상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고삼을 금한다.
뿌리 25~30g을 1회분 기준으로 날것으로 1일 2~3회 15일 이상 복용한다.
뿌리 1개(300g), 무 뿌리 300g, 간장 1/2숟가락(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당근과 무 생즙을 내어 간장에 섞어서 1일 2~3회 10~15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지황(생지황, 건지황, 숙지황)을 금한다.
열매 5g, 은행 씨 속알맹이 5g, 벌꿀 30g을 1회분 기준으로 함께 달여서 1일 2~3회 10~15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민물고기, 파, 현삼을 금한다.
쪄서 말린 뿌리줄기 10~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5~20일 정도 복용한다.
씨 25~30g을 1회분 기준으로 날것으로 꼭꼭 씹어서 1일 2~3회 15~20일 정도 복용한다. 기혈이 부족하거나 장이 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열매 80g과 흑설탕 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0일 이상 복용한다. 복용 중에 방풍을 금한다.
덩이뿌리 30g, 계란 1개, 왜간장 3㎖, 파 비늘줄기 3g, 마늘 비늘줄기 2g, 생강 덩이줄기 2g을 1회분 기준으로 믹서에 함께 넣고 갈아서 1일 1~2회 20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비늘줄기 15~20쪽을 1회분 기준으로 구워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개고기, 맥문동, 백하수오를 금한다. 음기가 허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비늘줄기 500g, 생강 덩이줄기 50g, 대추나무 열매 100g, 설탕 500g을 함께 섞어서 6~8개월 정도 숙성시킨 후 소주잔으로 1/2~1잔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 15일 이상 복용한다. 복용 중에 당귀, 맥문동, 민물고기, 박쥐 똥, 백하수오, 파, 하눌타리, 현삼, 황련을 금한다.
온포기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덜 익은 열매 8~10개를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이상 복용한다. 복용 중에 돼지고기를 금한다.
열매 5개와 설탕 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5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돼지고기를 금한다.
꽃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또는 뿌리줄기 25~30g을 1회분 기준으로 밥을 뜸들일 때 넣고 쪄서 1일 2~3회 10일 이상 먹도록 한다.
열매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꽃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5~20일 정도 복용한다.
잎 또는 뿌리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0일 이상 복용한다.
통째 10~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0~15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뽕나무, 오이풀, 인삼, 자라, 진범을 금한다. 신기가 허약하거나 음기가 허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통째 8g과 녹용 2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0~15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복용 중에 뽕나무, 오이풀, 인삼, 자라, 진범을 금한다. 신기가 허약하거나 음기가 허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잎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진하게 달이면 마시기가 쉽지 않다.
열매(오디) 25~30g을 1회분 기준으로 날것으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도라지, 복령, 지네를 금한다. 해수가 있거나 중풍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뿌리 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0~15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도라지, 복령, 지네를 금한다. 해수가 있거나 중풍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열매 1개(300g)와 당근 뿌리 1개(400g)를 1회분 기준으로 믹서에 갈아 꿀 1숟가락(20g)을 섞어서 1일 2~3회 15~20일 동안 공복에 복용한다. 사과 씨에는 독성이 있으므로 제거하고 사용한다. 과다 복용이나 장복을 하지 않는다.
싹 또는 비늘줄기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줄기 50g, 구기자나무 열매 50g, 복분자딸기 열매 50g, 오미자나무 열매 50g, 새삼 뿌리 50g, 질경이 온포기 200g을 가루를 내어 벌꿀로 반죽해서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개월 이상 복용한다. 복용 중에 고등어, 모란, 복숭아, 자두, 참새고기를 금한다. 땀이 많이 나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잎 3~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 또는 산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이상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줄기 3~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어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남자가 20일 이상 장복하면 양기가 준다고 전해진다.
비늘줄기 1개, 무 뿌리 1/2개, 인삼 뿌리 5g을 1회분 기준으로 함께 믹서에 넣고 갈아서 1일 2~3회 15일 정도 거르지 말고 복용한다.
비늘줄기 1개를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5~20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버섯 4g과 산마 덩이줄기 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0일 이상 복용한다.
뿌리껍질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0일 이상 복용한다. 복용 중에 뱀껍질, 현삼을 금한다.
열매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이상 복용한다. 폐가 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씨 또는 뿌리줄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0일 정도 복용한다.
씨를 검게 태워 3g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 10~15일 정도 복용한다.
씨 속알맹이 5~8개 또는 잔가지 4~6g을 1회분 기준으로 씨 속알맹이를 굽거나 잔가지를 달여서 1일 2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산삼)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날것으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고삼, 복령을 금한다. 혈압이 높은 사람은 신중히 사용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뿌리(재배삼) 25~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0일 이상 복용한다. 복용 중에 고삼, 복령을 금한다. 혈압이 높은 사람은 신중히 사용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뿌리(재배삼) 8~9g과 벌꿀 30g을 함께 달여서 1일 2~3회 10일 이상 복용한다. 수삼이나 홍삼을 사용해도 좋다. 복용 중에 고삼, 복령을 금한다. 혈압이 높은 사람은 신중히 사용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뿌리(장뇌삼) 12~18g을 1회분 기준으로 날것으로 1일 1~2회 1주일 이상 복용한다. 복용 중에 고삼, 복령을 금한다. 혈압이 높은 사람은 신중히 사용한다. 기가 허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뿌리(재배삼) 15g과 오미자나무 열매 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20~25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복용 중에 고삼, 복령을 금한다. 혈압이 높은 사람은 신중히 사용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뿌리(장뇌삼) 5~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0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복용 중에 고삼, 복령을 금한다. 혈압이 높은 사람은 신중히 사용한다. 기가 허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온그루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0~15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삽주를 금한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잎 1.5~3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차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20~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0~20일 정도 복용한다.
비늘줄기 2~3개를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0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대추, 맥문동, 백하수오를 금한다.
열매를 날것으로 1일 3~5회 20일 이상 공복에 복용한다.
꽃 또는 열매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10일 정도 복용한다.
덩이줄기 6~9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0일 이상 복용한다.
뿌리 40g과 닭 1마리를 함께 넣고 푹 고아서 양껏 복용하되 2~3마리 정도를 같은 요령으로 더 복용한다. 복용 중에 녹각, 방풍, 백복령, 백선, 살구 씨, 여로, 목련, 현삼을 금한다.
뿌리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0~15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녹각, 방풍, 백복령, 백선, 살구 씨, 여로, 목련, 현삼을 금한다.(만성피로 해소)
꽃이나 잔가지 또는 열매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0~15일 정도 복용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나무껍질 25~30g 또는 열매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통째 3~5마리를 1회분 기준으로 삶아서 소금으로 간을 하여 국물과 건더기를 함께 1일 3회 1주일 이상 복용한다. 냉병이 있거나 두드러기가 잦은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통째 1~2마리를 1회분 기준으로 굽거나 요리하여 끼니때마다 반찬으로 10일 정도 복용한다. 설사가 잦거나 습관절 증세가 있거나 통풍이 있거나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로열젤리 10~15g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 10~15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감기 기운이나 열이 있을 때는 복용을 금한다.
벌꿀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0일 이상 복용한다.
통째 1~2마리를 1회분 기준으로 삶아서 소금으로 간을 하여 국물과 건더기를 함께 1일 3회 1주일 이상 복용한다. 냉증이 있거나 두드러기가 잦거나 위가 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달걀술(청주나 소주를 뜨겁게 데운 후 날달걀 2개를 넣고 잘 섞는다) 1사발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회 10일 이상 복용한다.
통째 4마리를 달여서 1사발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회 2일 정도 복용한다. 또는 말린 다음 화롯불에 볶아서 산제로 하여 1숟가락을 1회분 기준으로 복용하고 소주 1잔으로 입가심한다. 같은 요령으로 1일 2~3회 정도 나머지를 복용한다. 복용 중에 다른 약을 금한다. 연간 1~2회 이상 사용을 금한다.
동충하초
통째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0~15일 정도 복용한다.
말벌
애벌레 20~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생식기(해구신) 1~2g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회 7~10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몸에 열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통째 1마리를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뿔(녹용) 1.5~4.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황기를 금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참나무 숯 40~5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인 물로 2~3회 정도 탕욕을 한다.
참나무 숯 3~4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식용 식초 10~15㎖를 1회분 기준으로 10배 정도의 물에 희석하여 1일 2~3회 10일 정도 복용한다.
식초를 끓여서 소주잔 1잔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회 10일 정도 복용한다.
통째 9~12마리를 달여서 1일 2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지렁이를 다룰 때는 그릇에 지렁이를 넣고 지렁이가 잠길 정도로 물을 부은 다음 식초나 소주를 1숟가락 넣어 30분쯤 뒤에 뱃속의 똥이나 먹은 것을 다 게워내면 물로 깨끗이 씻어 사용한다.)
통째 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1~2회 10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다른 약을 금한다. 연간 1~2회 이상 사용을 금한다.
흑질백장(뱀)
통째 1마리를 달여서 1사발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다른 약을 금한다. 연간 1~2회 이상 사용을 금한다.
덩이뿌리 10~12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12~15일 복용한다.
온포기 8~12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12~15일 복용한다.
뿌리 10~15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10~12일 복용한다.
뿌리 4~6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10~12일 복용한다.
뿌리ㆍ꽃 25~30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12~15일 복용한다.
전체 적당량을 1회분으로 1일 2~3회 12~15일 정도 탕전복용한다.
전체 1마리를 2~3회분으로 1일 2~3회 8~10일 정도 탕전복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