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목(明目)
의 익생양술 단방처방 처방목차
97 건
97 건
씨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회 10일 정도 복용한다.
덜 익은 열매 또는 꽃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10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복용 중 소변 부실 증세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온포기 또는 꽃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남자가 20일 이상 장복하면 양기가 준다고 전해진다.
뿌리줄기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0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오이풀, 무, 마늘, 파를 금한다.
온포기 또는 씨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0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복용 중에 고본을 금한다.
온포기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0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씨 속알맹이 20개 정도를 1회분 기준으로 날것으로 1일 2~3회 10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씨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개월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삼(대마)을 금한다.
씨를 속에 넣은 베개를 만들어 사용한다.
뿌리 2~3g을 1회분 기준으로 볶아서 가루를 내어 1일 2~3회 15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꼭두서니, 갈퀴꼭두서니, 여로, 인삼을 금한다. 임산부, 간장, 비장, 신장이 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뿌리 또는 덜 익은 열매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0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를 산제나 환제로 하여 복용해도 좋다.
씨 3~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꽃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구리때를 금한다. 냉배 설사 증세가 있거나 열이 있거나 해수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잔가지 30~4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0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3~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열매(씨)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말린 가루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씨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0일 정도 복용한다.
열매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0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25~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어 10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생즙 200g과 쇠간 150g을 1회분 기준으로 섞어서 1일 2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씨 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돼지고기, 말고기, 쌀뜨물을 금한다. 몸에 열이 많은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뿌리줄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0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또는 꽃 8~9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0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또는 줄기 2~3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하면서 달인 물로 눈을 자주 씻는다.
덩이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마늘, 무, 오이풀, 파를 금한다.
씨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볶아서 가루를 내어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고본을 금한다.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열매 10~15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로 하여 1일 2~3회 10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열매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0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0일 이상 공복에 복용한다.
덜 익은 열매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소변불리 증세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열매 5g, 구기자나무 열매 3g, 새삼 씨(토사자) 5g을 1회분 기준으로 함께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소변불리 증세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열매 25~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날것으로 1일 2~3회 10일 이상 복용한다. 복용 중에 도라지, 복령, 지네를 금한다. 해수가 있거나 중풍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햇볕에 말린 열매 30~4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도라지, 복령, 지네를 금한다. 해수가 있거나 중풍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온포기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0일 정도 복용한다.
꽃(들국화) 8~9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0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들국화) 5g과 설탕 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이상 복용한다.
익은 열매 35~4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날것으로 1일 2~3회 1주일 이상 복용한다.
씨 속알맹이 3~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0일 이상 복용한다. 복용 중에 쌍인(씨 속알맹이가 두 개인 것), 조, 칡, 황금, 황기를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씨 2~3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5일 이상 복용한다. 복용 중에 모란을 금한다.
씨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0일 정도 복용하며 달인 물로 눈을 자주 씻는다. 복용 중에 삼(대마)을 금한다.
온포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줄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이상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씨(토사자)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0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모란을 금한다.
뿌리 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이상 복용한다.
씨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이상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열매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1~2회 5일 이상 복용한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뿌리줄기 2.5~3.0g 또는 씨 3~4g을 1회분 기준으로 뿌리줄기를 달이거나 씨를 산제로 하여 1일 2~3회 10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복용 중에 지황(생지황, 건지황, 숙지황)을 금한다. 소변불리 증세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열매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회 1주일 이상 복용한다. 폐가 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열매 5g, 인삼 4g, 꿀 20g을 1회분 기준으로 함께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이상 복용한다. 폐가 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뿌리줄기 20~35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로 하여 1일 2~3회 10일 이상 복용한다.
뿌리줄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0일 정도 복용한다.
덩이뿌리 4~6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0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씨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0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줄기 10~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이상 복용한다.
율무쌀 25g과 뿌리 4~6g을 진하게 달인 물에 멥쌀 80g을 넣고 죽을 쑨 것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1~2회 10일 이상 복용한다. 유산의 위험이 있으므로 임신부는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뿌리 3~4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0일 이상 공복에 복용한다.
씨 4~5g을 1회분 기준으로 볶아서 가루를 내어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고삼, 복령을 금한다. 대장이 약하거나 비위가 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구리, 철)를 쓰지 않는다.
뿌리(인삼) 25~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회 10일 이상 공복에 복용한다. 복용 중에 고삼, 백복령을 금한다. 폐가 약하거나 혈압이 높은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뿌리(3~4년 된) 4~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0일 이상 공복에 복용한다. 복용 중에 여로를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을 쓰지 않는다.
온포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줄기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0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뿌리줄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0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0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온포기 뿌리 또는 씨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0일 이상 복용한다. 정수고갈 증세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0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줄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0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15~20g 또는 꽃 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0일 정도 복용한다.
비늘줄기 2~3개를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5일 이상 복용한다. 복용 중에 대추, 맥문동, 백하수오를 금한다.
온포기를 평소에 많이 먹는다. 복용 중에 대추와 백하수오를 금한다. 복용 중에 대추, 맥문동, 백하수오를 금한다.
씨 40~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0일 정도 복용한다. 신기가 허약하거나 폐가 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씨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임신부가 장복하면 낙태의 위험이 따르므로 삼간다.
평소에 호박 요리를 많이 먹는다. 복용 중에 양고기를 금한다.
뿌리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0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녹각, 방풍, 백복령, 백선, 살구 씨, 여로, 목련, 현삼을 금한다.
황기닭(닭 1마리를 털과 내장은 버리고 황기 20~30g을 넣고 곤 것)을 2~3마리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녹각, 목련, 방풍, 백선, 복령, 살구 씨, 여로, 현삼을 금한다.
황련
뿌리줄기 2~3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0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생강을 금한다. 비위가 허약하거나 조갈증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뿌리껍질이나 나무껍질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0일 정도 복용하면서 달인 물로 눈을 자주 씻는다.
열매를 쇠무릎 온포기 생즙에 넣어 100일 정도 숙성시킨 후 그 열매를 공복에 첫째 날 1개, 둘째 날 2개, 셋째 날 3개를 먹는 식으로 매일 한 개씩 늘려 10일째에 10개를 먹고 다시 11일째 1개, 12일째 2개를 먹는 식으로 10일 단위로 복용을 반복한다. 많이 오래 먹을수록 아주 효험하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나무껍질 25~30g 또는 열매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뼛가루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쓸개(웅담) 0.4~0.5g을 1회분 기준으로 따뜻한 물에 타서 1일 2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간염, 결핵, 심장병, 종양, 허약 체질로 생긴 병증이나 고질병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쓸개(웅담)를 맑은 물에 엷게 타서 눈을 자주 씻는다.
평소에 생굴을 많이 먹도록 한다.
살코기 150~200g을 1회분 기준으로 맑은 물에 삶아서 1일 1회 10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도꼬마리, 매실, 메기, 파두를 금한다. 만성신부전증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간을 생으로 먹거나 삶아서 여러 날 복용한다. 복용 중에 도꼬마리, 매실, 메기, 파두를 금한다. 만성신부전증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대가리 2개를 1회분 기준으로 삶은 물을 1일 1회 10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평소에 간을 생식하면 좋다. 간을 매일 1근 정도 복용한다. 생으로 먹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박쥐 똥(썩지 않은 것)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0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생강을 금한다. 신체가 허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전복
껍질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0일 정도 복용한다.
뼈를 푹 고아서 많이 먹으면 좋다.
뿌리 10~12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8~10일 복용한다.
씨 4~6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8~10일 복용한다.
덩이뿌리 10~12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8~10일 복용한다.
뿌리줄기 10~12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7~8일 복용한다.
온포기 4~6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7~8일 복용한다.
박쥐똥 5~6g을 1회분으로 1일 2~3회 8~10일 정도 탕전복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