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생양술처방: 음극사양(陰極似陽)

음극사양(陰極似陽) 의 익생양술 단방처방 처방목차
17 건
온포기 또는 꽃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남자가 20일 이상 장복하면 양기가 준다고 전해진다.
온포기 3~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4~6일 정도 복용한다. 남자가 20일 이상 장복하면 양기가 준다고 전해진다.
온포기 또는 꽃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깽깽이풀, 측백나무를 금한다. 남자가 20일 이상 장복하면 양기가 준다고 전해진다.
열매 1개를 1회분 기준으로 꿀 15g을 넣고 달여서 1일 2~3회 10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줄기(창출)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고등어, 복숭아, 자두, 참새고기를 금한다. 땀이 많이 나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덩이줄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당귀, 박쥐 똥, 하눌타리, 현삼, 황련을 금한다.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20일 이상 복용을 금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줄기 3~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남자가 20일 이상 장복하면 양기가 준다고 전해진다.
익은 열매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0일 정도 복용한다. 폐가 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온포기 7~8g 또는 씨 4~5g을 1회분 기준으로 환제로 하여 1일 2~3회 3~5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복용 중에 고삼, 복령을 금한다. 폐가 약하거나 폐에 열이 있거나 혈압이 높은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온포기). 대장이 약하거나 비위가 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씨).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구리, 철)를 쓰지 않는다.
뿌리(재배삼) 20~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고삼, 복령을 금한다. 혈압이 높은 사람은 신중히 사용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덩이뿌리 0.1~0.2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나 환제로 하여 1일 2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더운 음식, 더운 물을 금하고 더운 곳을 피한다. 열이 있거나 화병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독성이 강하므로 기준량과 사용법을 엄격히 지킨다.
뿌리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녹각, 목련, 방풍, 백선, 복령, 살구 씨, 여로, 현삼을 금한다.
벌꿀(토종이나 양봉)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따뜻한 물에 타서 1일 2~3회 1주일 이상 복용한다. 복용 중에 찬물을 금한다.
말린 계내금(닭 모이주머니 안쪽의 노란 막) 3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로 하여 1일 2~3회 3~4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생식기(해구신) 2~3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몸에 열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뿔(녹용) 1.5~4.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황기를 금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