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혈(吐血)
의 익생양술 단방처방 처방목차
174 건
174 건
온포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고삼을 금한다.
곶감을 태운 재 5g을 1회분 기준으로 물에 타서 1일 2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감수, 대극, 술, 원화, 참기름, 찬물을 금한다.
열매꼭지 6개 정도를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참기름, 술을 금한다.
뿌리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꽃 또는 비늘줄기 2~3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독성이 있으므로 기준량을 지킨다.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씨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모란을 금한다.
뿌리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맨드라미를 금한다.
뿌리줄기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남자가 20일 이상 장복하면 양기가 준다고 전해진다.
잎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2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참기름, 참깨를 금한다.
온포기 10~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육식을 금한다.
온포기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어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줄기 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8~9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6~8g 또는 익은 열매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2~4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어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어 1일 2~3회 2~4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겨우살이, 맥문동, 복령을 금한다.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고삼을 금한다.
꽃무릇
비늘줄기 0.2~0.3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독성이 강하므로 기준량을 엄격히 지킨다. 장복을 금한다.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또는 줄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나 환제로 하여 1일 2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나무나 뿌리껍질 또는 열매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40~5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건더기와 국물을 함께 복용한다.
뿌리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어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백도라지) 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3~4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뽕나무, 산수유, 자란을 금한다.
잔가지 또는 열매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독성이 있으므로 기준량을 지킨다.
뿌리줄기 8~9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어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비늘줄기 15~20쪽을 1회분 기준으로 구워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개고기, 맥문동, 백하수오를 금한다. 음기가 허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비늘줄기 3~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개고기, 맥문동, 백하수오를 금한다. 음기가 허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잎 또는 뿌리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덩이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마늘, 무, 오이풀, 파를 금한다.
온포기 8~10g 또는 씨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고본을 금한다.
온포기 4~6g 또는 뿌리줄기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잎 7~9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생즙 80~100㎖를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맥문동, 지황(생지황, 건지황, 숙지황)을 금한다. 비위가 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잎 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하거나 익은 열매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날것으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열매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껍질 벗긴 열매 20~25g을 1회분 기준으로 굽거나 날것으로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중풍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뿌리 6g과 아교 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독성이 강하므로 기준량을 엄격히 지킨다. 복용 중에 여로를 금한다. 냉병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을 쓰지 않는다.
비늘줄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어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쌀뜨물 120~150㎖를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 1~2일 정도 복용한다.
볏짚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또는 열매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덩이뿌리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꽃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도라지, 복령, 지네를 금한다. 해수가 있거나 중풍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뿌리껍질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도라지, 복령, 지네를 금한다. 해수가 있거나 중풍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뿌리껍질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도라지, 복령, 지네를 금한다. 해수가 있거나 중풍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꽃 또는 뿌리줄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겨우살이, 맥문동, 복령을 금한다.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씨 속알맹이 3~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쌍인(씨 속알맹이가 두 개인 것)을 쓰지 않는다. 복용 중에 조, 칡, 황금, 황기를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뿌리줄기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열매껍질 6~8g 또는 뿌리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설사 증세가 있거나 몸에 열이 있거나 위가 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뿌리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어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측백나무를 금한다.
뿌리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줄기 10~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줄기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줄기 또는 꽃 2~3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독성이 있으므로 신중히 사용한다.
온포기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줄기 3~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어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남자가 20일 이상 장복하면 양기가 준다고 전해진다.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줄기 또는 꽃가루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10~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4g, 갈퀴꼭두서니 뿌리 4g, 해당화 뿌리 2g을 1회분 기준으로 함께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고삼, 깽깽이풀, 하눌타리를 금한다.
뿌리 3g, 쇠무릎 뿌리 3g, 소나무 햇순 3g을 1회분 기준으로 함께 달여서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고삼, 깽깽이풀, 하눌타리를 금한다.
뿌리줄기 30~35g을 1회분 기준으로 쪄서 먹거나 날것으로 복용한다. 복용 중에 지황(생지황, 건지황, 숙지황)을 금한다. 소변불리 증세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뿌리줄기 생즙 30g과 생강 덩이줄기 생즙 10g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 2~4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지황(생지황, 건지황, 숙지황), 당귀, 박쥐 똥, 하눌타리, 현삼, 황련을 금한다. 소변불리 증세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싹 6~8g 또는 뿌리 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겨우살이, 맥문동, 복령을 금한다.
온포기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줄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덩이뿌리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뿌리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유산의 위험이 있으므로 임신부는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율무쌀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유산의 위험이 있으므로 임신부는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온포기 7~8g 또는 씨 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어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고삼, 복령을 금한다. 폐가 약하거나 폐에 열이 있거나 혈압이 높은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온포기). 대장이 약하거나 비위가 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씨).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구리, 철)를 쓰지 않는다.
뿌리(재배삼) 25~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고삼, 복령을 금한다. 혈압이 높은 사람은 신중히 사용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온포기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10~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어 1일 2~3회 4~5회 정도 복용한다. 신체가 허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온포기 또는 덩이뿌리 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잎 또는 뿌리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새싹이나 새순 또는 잎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20~25g을 달이거나 생즙을 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비위가 약하거나 설사 증세가 있거나 소식을 하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나무속껍질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비늘줄기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열매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싹 또는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생지황) 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3~4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무, 복령, 숙주나물, 연근, 용담, 우유를 금한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구리, 철)를 쓰지 않는다.
뿌리 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씨 5~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정수고갈 증세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줄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열매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측백나무를 금한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뿌리줄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잉어를 금한다. 비위가 허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독성이 있으므로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잎 또는 열매나 씨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국화, 대황, 밀가루 음식, 소리쟁이, 참소리쟁이를 금한다.
열매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열매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어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잎 또는 뿌리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어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씨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뿌리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잎 또는 뿌리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설사의 위험이 있으므로 기준량을 지킨다.
비늘줄기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모란, 하눌타리를 금한다.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모란, 생강, 쇠무릎, 패모를 금한다. 설사 증세가 있거나 위한증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비늘줄기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10~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생강을 금한다. 비위가 허약하거나 조갈증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꽃 또는 잎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꽃 5~6g 또는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온그루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덩이줄기 8~9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깽깽이풀, 대추, 생강, 오갈피, 황기를 금한다. 설사 증세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구리, 철)를 쓰지 않는다.
잎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담이 있거나 두풍이 있거나 땀이 많이 나거나 열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온포기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명아주, 모란, 살구 씨, 생강, 토란을 금한다.
황련
뿌리줄기 2~3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생강을 금한다. 비위가 허약하거나 소갈증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잔가지 또는 꽃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열매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잔가지 또는 열매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뼛가루 10g을 1회분 기준으로 쌀로 미음을 끓여 한데 섞어서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몸에 열이 있거나 출혈 증세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뼛가루 3~4g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몸에 열이 있거나 출혈 증세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뼛가루 4~5g과 감초 뿌리줄기 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몸에 열이 있거나 출혈 증세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통째(흰개) 1마리로 개소주를 만들어 복용한다. 복용 중에 마늘을 금한다.
동충하초
통째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하면서 달인 물로 자주 칫솔질을 한다.
아교 20g과 함박꽃나무 뿌리 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아교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용골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전복
껍질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뿔 3~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두창이 있거나 두풍이 있거나 위에 출혈 증세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뿌리껍질 10~15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6~7일 복용한다.
온포기 5~8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7~8일 복용한다.
온포기 10~15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7~8일 복용한다.
뿌리 4~6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7~8일 복용한다.
뿌리 10~12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8~10일 복용한다.
온포기 4~6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7~8일 복용한다.
온포기 6~8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7~8일 복용한다.
열매ㆍ꽃 8~10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7~8일 복용한다.
온포기 8~10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5~6일 복용한다.
뿌리줄기 10~12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6~8일 복용한다.
온포기 4~6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7~8일 복용한다.
온포기 4~6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6~8일 복용한다.
온포기 4~6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6~8일 복용한다.
뿌리 6~8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5~6일 복용한다.
줄기 4~6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5~6일 복용한다.
뿌리 10~12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5~6일 복용한다.
온포기 10~12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6~7일 복용한다.
온포기 4~6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7~8일 복용한다.
전체 1~2마리를 1회분으로 1일 2~3회 4~5일 정도 탕전복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