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후염·인후통(咽喉炎·咽喉痛)
의 익생양술 단방처방 처방목차
118 건
118 건
온포기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기가 허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열매 25~30g(큰 것 1개 정도) 또는 뿌리 4~6g을 1회분 기준으로 열매를 달이거나 뿌리를 산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기가 허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비늘줄기 4~5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줄기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개미자리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6g 정도를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나무껍질 또는 열매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쌍인(씨 속알맹이가 두 개인 것)을 쓰지 않는다. 복용 중에 조, 칡, 황금, 황기를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줄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씨를 가루를 내어 물에 개어서 통증이 있는 부위에 30분마다 갈아붙인다. 1일 2회 3~4일 정도 계속한다.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잎 또는 줄기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 4~6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열매 5~6g 또는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담이나 설사증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나 뿌리 또는 씨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말린 열매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민물고기, 파, 현삼을 금한다.
꽃 5~6g 또는 뿌리 3~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꽃 또는 뿌리(백도라지)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뽕나무, 산수유, 자란을 금한다.
온포기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어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잎이나 잔가지 또는 열매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6~7회 정도 복용한다.
뿌리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잎 또는 뿌리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설사 증세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덜 익은 열매 8~10개를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5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돼지고기, 양고기를 금한다. 위산과다증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온포기나 꽃 5~6g 또는 뿌리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멧대추나무
씨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간이 약한 사람, 몸에 담이나 열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위가 약하거나 설사 증세가 있거나 열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뿌리 생즙 30g과 생강 덩이줄기 생즙 8g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당귀, 박쥐 똥, 지황(생지황, 건지황, 숙지황)을 금한다.
꽃봉오리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5일 정도 복용한다.
잎 4~5g 또는 열매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잎을 달이거나 익은 열매를 날것으로 1일 2~3회 4~5일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고지혈증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잎 또는 뿌리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어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덩이뿌리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양의 피, 해조류(김, 다시마, 미역, 바닷말, 서실, 청각, 파래)를 금한다.
덩이뿌리 5g과 생강 덩이줄기 3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당귀, 박쥐 똥, 양의 피, 해조류(김, 다시마, 미역, 바닷말, 서실, 청각, 파래)를 금한다.
온포기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3~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기혈이 부족하거나 비위가 허약하거나 열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뿌리 또는 열매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잔가지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또는 싹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씨 속알맹이 3~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쌍인(씨 속알맹이가 두 개인 것)을 쓰지 않는다. 복용 중에 조, 칡, 황금, 황기를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샐비어
온포기 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열매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20일 이상 복용을 금한다.
열매껍질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20일 이상 복용을 금한다.
생즙 25~30g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덩이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꽃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비늘줄기 2~3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여우구슬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잎 또는 씨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5~6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줄기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나무껍질 또는 꽃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고지혈증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온포기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5~6g 또는 씨 3~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뿌리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비늘줄기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뿌리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줄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잉어를 금한다. 비위가 허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독성이 있으므로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덩이줄기 생즙 15~20g과 벌꿀 1숟가락(20g)을 1회분 기준으로 섞어서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황금을 금한다. 독성이 있으므로 날것으로 복용을 금한다.
잎이나 꽃 6~8g 또는 씨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유산의 위험이 있으므로 임신부는 복용을 금한다.
비늘줄기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모란, 하눌타리를 금한다.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깽깽이풀, 대추, 생강, 오갈피나무, 황기를 금한다. 설사 증세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구리, 철)를 쓰지 않는다.
잎 7~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담이 있거나 두풍이 있거나 땀이 많이 나거나 몸에 열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온포기 1.0~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독성이 강하므로 기준량을 엄격히 지킨다.
뿌리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쓸개(웅담) 0.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간염, 결핵, 심장병, 종양, 허약체질로 생긴 병증이나 고질병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말린 백강잠(백강병으로 죽은 누에) 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통째 15~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말린 계내금(닭 모이주머니 안쪽의 노란 막)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통째 1마리를 달여서 0.3g 정도를 1회분 기준으로 3~5회 정도 복용한다. 독성이 매우 강하므로 기준량을 엄격하게 지킨다.
맛조개
통째 100~150g을 1회분 기준으로 삶아서 소금으로 간을 하여 삶은 물과 조갯살을 함께 1일 2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설사의 위험이 있으므로 날것으로 복용을 금한다. 전염병이 돈 뒤에는 복용을 금한다.
쓸개의 담석(우황) 3~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1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임신 초기에는 신중히 사용한다.
통째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지렁이를 다룰 때는 그릇에 지렁이를 넣고 지렁이가 잠길 정도로 물을 부은 다음 식초나 소주를 1숟가락 넣어 30분쯤 뒤에 뱃속의 똥이나 먹은 것을 다 게워내면 물로 깨끗이 씻어 사용한다.)
눈알 6개를 1회분 기준으로 구워서 소금으로 간을 한 다음 1일 2회 3~5일 정도 끼니때마다 반찬으로 먹는다. 간이 나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온포기 3~5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8~10일 복용한다.
뿌리껍질 12~15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7~8일 복용한다.
종인 10~12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10~12일 복용한다.
뿌리 10~15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8~10일 복용한다.
덩이줄기 2~3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8~10일 복용한다.
온포기 10~15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8~10일 복용한다.
온포기 8~10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8~10일 복용한다.
온포기 8~10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8~10일 복용한다.
온포기 8~10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7~8일 복용한다.
뿌리 6~8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8~10일 복용한다.
뿌리 10~12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8~10일 복용한다.
뿌리 10~15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8~10일 복용한다.
맛살조개 100~150g을 1회분으로 1일 2~3회 10~12일 정도 탕전복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