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생양술처방: 편도선염(扁桃腺炎)

편도선염(扁桃腺炎) 의 익생양술 단방처방 처방목차
100 건
온포기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어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줄기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줄기 10g과 질경이 온포기 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8~10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2~3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꼭두서니, 신경초, 여로, 인삼을 금한다. 간장, 비장, 신장이 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임산부는 신중히 사용한다. 장복을 금한다.
온포기 3~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소변불리 증세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줄기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고삼을 금한다.
열매 2~6g 또는 뿌리 7~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6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는 생즙을 내서도 복용한다. 담이 있거나 설사 증세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뿌리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40~5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국물과 건더기를 함께 복용한다.
온포기 8g과 검은콩 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꽃 4~5g 또는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꽃을 달이거나 뿌리를 날것으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씨 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돼지고기, 말고기, 쌀뜨물을 금한다. 열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백도라지 꽃 또는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뽕나무, 산수유, 자란을 금한다.
뿌리 5g, 만삼 뿌리 4g, 감초 뿌리줄기 1g을 1회분 기준으로 함께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뽕나무, 산수유, 자란을 금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어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잎 또는 뿌리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설사 증세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온포기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4~6g 또는 뿌리줄기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어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12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로 하여 1일 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덩이줄기를 산제로 하여 쌀가루와 같은 양으로 반죽하여 1일 2회 3~4일 정도 좌우 발바닥에 붙인다.
뿌리 또는 열매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줄기 3~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기혈이 부족하거나 비위가 허약하거나 열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씨 속알맹이 3~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쌍인(씨 속알맹이가 두 개인 것)을 쓰지 않는다. 복용 중에 도라지, 복령, 삽주, 지네를 금한다. 씨나 꽃의 과다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씨 2~3g 또는 뿌리 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씨는 1회분 분량이 30알 이상이면 치사량이 되므로 주의한다. 독성이 강하므로 5일 이상 복용을 금한다.
잎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진하게 달이면 마시기가 쉽지 않다.
온포기 10~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열매나 뿌리껍질 또는 잔가지 2~3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5~8일 정도 복용한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뿌리줄기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7~8일 정도 복용한다.
열매(상수리) 20~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5~8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7~8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줄기 또는 줄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열매 큰 것 1개를 1회분 기준으로 물 600㎖를 붓고 반이 되게 달여서 식힌 물로 1일 2~3회 1주일 정도 목을 헹군다.
열매껍질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덩이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깽깽이풀, 하눌타리를 금한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뿌리 생즙을 내어 식초를 조금 넣고 개어서 1일 2~3회 4~5일 정도 아픈 목 위에 바른 뒤 헝겊으로 싸맨다. 만성신부전 환자는 복용을 금한다.
온포기 또는 열매 20~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어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줄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신경초
뿌리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고삼을 금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줄기 3~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어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지황(생지황, 건지황, 숙지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남자가 20일 이상 장복하면 양기가 준다고 전해진다.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환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육식을 금한다.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어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잎 15g 또는 씨 3~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0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지황(생지황, 건지황, 숙지황)을 금한다. 소변불리 증세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뿌리줄기 30~3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거나 날것으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지황(생지황, 건지황, 숙지황)을 금한다. 소변불리 증세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온포기 10~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어 1일 2~3회 5~8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씨 6g과 감초 뿌리줄기 3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또는 꽃 6~9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열매를 검게 구워 산제로 하여 3g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잎 또는 줄기 10~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인삼) 10~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고삼, 복령을 금한다. 혈압이 높은 사람은 신중히 사용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꽃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5~7일 정도 복용한다.
잔가지 또는 나무껍질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5~7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삽주를 금한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나무껍질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어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독성이 있으므로 신중히 사용한다.
뿌리(숙지황) 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무, 복령, 숙주나물, 연근, 용담, 우유를 금한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구리, 철)를 쓰지 않는다.
씨(검은깨) 20~2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감나무, 고욤나무를 금한다. 비위가 허약하거나 풍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참기름 15~20㎖를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감나무, 고욤나무를 금한다. 비위가 허약하거나 풍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꽃 또는 뿌리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0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0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열매 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하면서 달인 물로 목을 헹군다.
꽃 15g 또는 뿌리 25g과 설탕 5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살구 씨를 금한다.
뿌리 30~4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어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살구 씨를 금한다.
씨(메주콩) 50~7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5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덜 익은 열매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덩이줄기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생즙을 내어 꿀 20g을 섞어서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황금을 금한다. 독성이 있으므로 날것으로 복용을 금한다.
비늘줄기를 달인 물로 1일 5~6회 3~4일 정도 입 안을 헹군다.
비늘줄기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모란, 하눌타리를 금한다.
버섯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0일 정도 복용한다.
버섯 10g과 호박 씨 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5~7일 정도 복용한다.
씨 1홉 정도를 까서 짓이겨 붉은팥 가루와 식초를 넣고 곱게 섞어서 헝겊에 발라 1일 2~3회, 심한 경우 4~5일 정도 환부를 싸맨다.
온그루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덩이줄기 7~9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5~7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깽깽이풀, 대추, 생강, 오갈피, 황기를 금한다. 설사 증세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구리, 철)를 쓰지 않는다.
잎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담이 있거나 두풍이 있거나 땀이 많이 나거나 열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열매(늙은 호박)를 통째로 삶아서 1일 2~3회 3~4일 정도 호박 속에 고인 물과 함께 양껏 먹는다. 복용 중에 양고기를 금한다.
동충하초
통째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0일 정도 복용한다.
허물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유산의 위험이 있으므로 임신부는 복용을 금한다.
허물 5~7g을 1회분 기준으로 구워서 산제로 하여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유산의 위험이 있으므로 임신부는 복용을 금한다.
통째 40~5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통째 100~150g을 1회분 기준으로 국을 끓여 1일 1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독성이 강해 일반인은 다루기 어려우므로 복어 전문 음식점에 가서 먹는 것이 좋다.
몸통 2~3g 또는 꼬리 0.5~1.0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로 하여 1일 2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풍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독성이 강하므로 기준량을 엄격히 지켜 사용한다.
뿌리 6~8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7~8일 복용한다.
나무껍질 10~15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10~12일 복용한다.
뿌리 10~15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8~10일 복용한다.
온포기 4~6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10~12일 복용한다.
온포기 8~10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8~10일 복용한다.
뿌리 10~12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8~10일 복용한다.
온포기 10~12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8~10일 복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