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생양술처방: 곽란(癨亂ㆍ霍亂)

곽란(癨亂ㆍ霍亂) 의 익생양술 단방처방 처방목차
90 건
[건곽란(교장사)]   꽃이나 씨 또는 뿌리줄기 5~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건곽란(교장사)]   뿌리 또는 줄기 20~30g을 1회분 기준으로 삶아서 1일 2~3회 1~2일 정도 복용한다.
[건곽란(교장사)]   온포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건곽란(교장사)]   나무껍질 또는 덜 익은 열매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기혈이 부족하거나 비위가 허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건곽란(교장사)]   온포기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건곽란(교장사)]   온포기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건곽란(교장사)]   온포기나 뿌리 또는 열매 5~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2회, 심하면 3~4회 정도 복용한다.
[건곽란(교장사)]   열매 또는 꽃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건곽란(교장사)]   열매 반 개와 생강 덩이줄기 2개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건곽란(교장사)]   온포기 또는 뿌리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고지혈증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건곽란(교장사)]   온포기 5g와 생강 덩이줄기 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고지혈증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건곽란(교장사)]   뿌리껍질 또는 잎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복용 중에 도라지, 복령, 지네를 금한다. 해수가 있거나 중풍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건곽란(교장사)]   열매를 생즙을 내어 2회 정도 양껏 먹는다.
[건곽란(교장사)]   비늘줄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신기가 허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건곽란(교장사)]   뿌리 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자두, 복숭아, 고등어, 참새고기를 금한다. 땀이 많이 나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건곽란(교장사)]   온포기 또는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건곽란(교장사)]   온포기 또는 뿌리줄기 3~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남자가 20일 이상 장복하면 양기가 준다고 전해진다.
[건곽란(교장사)]   뿌리줄기 0.5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나 환제로 하여 2~3회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바디나물, 작약, 현삼, 황기를 금한다.
[건곽란(교장사)]   뿌리(재배인삼) 15~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날것으로 1일 2~3회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복용 중에 고삼, 복령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혈압이 높은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건곽란(교장사)]   온포기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옻나무, 옻닭을 금한다. 두통이 있거나 위장이 약하거나 화병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불을 쓰지 않는다.
[건곽란(교장사)]   잎 또는 열매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국화, 대황, 밀가루 음식, 소리쟁이, 참소리쟁이를 금한다.
[건곽란(교장사)]   꽃 또는 열매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3~4회 정도 복용한다.
[건곽란(교장사)]   열매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임신부는 낙태의 위험이 있으므로 복용을 금한다.
[건곽란(교장사)]   뿌리줄기 또는 줄기 0.2~0.3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바디나물, 작약, 족두리, 황기를 금한다. 기가 허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독성이 강하므로 기준량을 엄격히 지킨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건곽란(교장사)]   천일염 3~5g을 1회분 기준으로 5배 정도의 물에 타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건곽란(교장사)]   소주잔으로 한 잔 정도 마신다. 알코올 농도 43% 이상이어야 한다.
꽃이나 씨 또는 뿌리연꽃 5~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25~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어 3~4회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꽃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정도 복용한다. 남자가 20일 이상 장복하면 양기가 준다고 전해진다.
온포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공복에 복용한다.
열매 또는 뿌리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2회 정도 복용한다.
나무껍질 또는 덜 익은 열매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열매껍질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2회 정도 복용한다. 신체가 허약한 사람이나 다한증 환자는 복용을 금한다.
꽃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구리때를 금한다.
온포기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어 3~4회 정도 복용한다.
줄기 또는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2회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3~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정도 복용한다. 남자가 20일 이상 장복하면 양기가 준다고 전해진다.
비늘줄기 15~20개를 1회분 기준으로 구워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백하수오, 맥문동, 개고기를 금한다. 음기가 허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온포기 7~9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정도 복용한다.
덜 익은 열매 8~10개를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3~4회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돼지고기를 금한다.
열매 또는 꽃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열매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2회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온포기 5g과 생강 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3~4회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여로, 콩깍지를 금한다.
뿌리 0.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정도 복용한다.
덩이줄기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3~4회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양의 피, 해조류(김, 다시마, 미역, 바닷말, 서실, 청각, 파래)를 금한다.
온포기 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4~5회 정도 복용한다.
씨 속알맹이 3~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2회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삽주를 금한다.
열매 25~30g을 1회분 기준으로 날것으로 3~5회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도라지, 복령, 지네를 금한다. 중풍, 해수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열매를 생즙을 내어 2회 정도 양껏 먹는다.
비늘줄기 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4~5회 정도 복용한다.
비늘줄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뿌리껍질 6~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4~5회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도라지, 복령, 지네를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열매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정도 복용한다. 비위가 약한 사람, 입병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뿌리 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4~5회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복숭아, 자두, 고등어, 참새고기를 금한다. 땀이 많이 나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덩이줄기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4~5회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당귀, 박쥐 똥, 하눌타리, 현삼, 황련을 금한다.
열매껍질 5~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3~4회 정도 복용한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비늘줄기 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2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씨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정도 복용한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열매를 2회 정도 양껏 먹는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온포기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생즙을 내어 4~5회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줄기 3~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4~5회 정도 복용한다. 남자가 20일 이상 장복하면 양기가 준다고 전해진다.
뿌리 또는 줄기 0.5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바디나물, 작약, 현삼, 황기를 금한다. 기가 허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나무껍질 또는 열매 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4~5회 정도 복용한다.
열매껍질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4~5회 정도 복용한다.
뿌리(인삼) 15~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날것으로 1일 2~3회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복용 중에 고삼, 복령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고혈압인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씨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10~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어 4~5회 정도 복용한다. 신체가 허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온포기 또는 씨 7~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정도 복용한다. 정수고갈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온포기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옻나무를 금한다.
잎 또는 열매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국화, 밀가루 음식, 소리쟁이, 참소리쟁이를 금한다.
온포기 5~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회 정도 복용한다.
비늘줄기 2~3개를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대추, 맥문동, 백하수오를 금한다.
꽃 또는 씨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씨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4~5회 정도 복용한다.
꽃 또는 열매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3~4회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열매 또는 뿌리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정도 복용한다.
씨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정도 복용한다. 임신부는 낙태의 위험이 있으므로 복용을 금한다.
잎 6~ 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회 정도 복용한다. 담이 있거나 두풍이 있거나 땀이 많이 나거나 열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천일염 3~5g을 1회분 기준으로 5배 정도의 물에 타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양주잔으로 1~2잔을 1회분 기준으로 1~2회 정도 복용한다. 알코올 농도 43% 이상이어야 된다.
온포기 15~25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6~7일 복용한다.
온포기 4~6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4~5일 복용한다.
열매 6~8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5~6일 복용한다.
비늘줄기 0.2~0.3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5~6일 복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