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비(便祕)
의 익생양술 단방처방 처방목차
182 건
182 건
[조시(燥屎)]
나무껍질 또는 열매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뿌리를 산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복용 중에 칡, 황금, 황기를 금한다.
[조시(燥屎)]
뿌리 6~8g 또는 열매 4~6g을 1회분 기준으로 열매를 달이거나 뿌리를 산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복용 중에 칡, 황금, 황기를 금한다.
[조시(燥屎)]
온포기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조시(燥屎)]
온포기 8~10g 또는 씨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복용 중에 고본을 금한다.
[조시(燥屎)]
온포기 또는 뿌리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복용 중에 측백나무를 금한다.
[조시(燥屎)]
잎 4~6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복용 중에 지황(생지황, 건지황, 숙지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조시(燥屎)]
온포기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조시(燥屎)]
뿌리 또는 줄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조시(燥屎)]
온포기 또는 씨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정수고갈 증세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조시(燥屎)]
온포기 또는 뿌리 6~8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복용 중에 옻나무, 옻닭을 금한다. 두통이 있거나 위장이 약하거나 화병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불을 쓰지 않는다.
[조시(燥屎)]
뿌리 또는 잎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기준량을 초과하면 설사의 위험이 따른다.
[조시(燥屎)]
통째 삶은 물을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비늘이 거꾸로 나 있는 가물치는 사용하지 않는다. 예로부터 치사약이 될 수 있다고 전해온다.
[조시(燥屎)]
벌꿀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조시(燥屎)]
말린 계내금(닭 모이주머니 안쪽의 노란 막)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조시(燥屎)]
온포기로 국을 끓여 10일 정도 끼니때마다 양껏 먹는다.
열매 기름 18~20㎖ 또는 씨 20~25g을 1회분 기준으로 씨를 달이거나 기름을 그대로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꼭두서니, 여로, 인삼을 금한다. 기준량을 초과하면 설사의 위험이 따른다. 간장, 비장, 신장 질환이 있는 사람이나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온포기 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많은 양을 복용하면 설사의 위험이 따른다. 약간의 독성이 있다. 설사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덩이줄기 생즙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개미자리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나무껍질 또는 열매 4~6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복용 중에 칡, 황금, 황기를 금한다.
잎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습관성)
씨 7~9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삼(대마)을 금한다.
덩이뿌리 80~120g을 1회분 기준으로 삶아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덩이뿌리(중간 크기) 1개와 무청 3포기를 1회분 기준으로 갈아서 1일 2~3회, 심하면 1개월 정도 복용한다.
뿌리 2~3g을 1회분 기준으로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꼭두서니, 여로, 인삼을 금한다. 비장이나 신장, 간장 질환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뿌리 또는 열매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잎 또는 줄기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4~6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6~8g 또는 열매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뿌리를 산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뿌리껍질 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3회 5~7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꽃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열매껍질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굳은 변) 신체가 허약하거나 다한증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씨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씨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파두를 금한다. 임산부는 장복을 금한다.
씨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가루 1숟가락과 꿀 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온포기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씨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잎 또는 줄기 2~3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25~30g을 1회분 기준으로 생즙을 내거나 날것으로 1일 2~3회 10일 이상 복용한다. 뿌리 1개와 사과나무 열매 1개를 1회분 기준으로 갈아서 1일 2회 10~15일 정도 복용한다.
잔가지 또는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이상 복용한다.
뿌리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3g과 감초 1.5g에 물 200cc를 넣고 반으로 달여서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 심하면 4~5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모란, 찬물을 금한다. 독성이 있으므로 기준량을 지킨다.
잎 8~10g 또는 씨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또는 줄기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꽃 4~5g 또는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꽃 또는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뽕나무, 자란, 산수유를 금한다.
온포기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씨 20~30g을 1회분 기준으로 날것으로 씹어서 1일 2회 1주일 이상 공복에 복용한다.
씨 40~50g 또는 땅콩기름 15~20㎖를 1회분 기준으로 씨를 삶거나 땅콩기름을 그대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씨 40g과 흑설탕 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6일 정도 복용한다.
비늘줄기 10~15개를 1회분 기준으로 구워서 1일 2회 1주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복용 중에 적하수오, 맥문동, 개고기를 금한다.(악성변비) 음기가 허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온포기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나무껍질 또는 뿌리껍질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잔가지 또는 뿌리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덩이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무, 마늘, 오이풀, 파를 금한다.
온포기 8~10g 또는 씨나 꽃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고본을 금한다.
온포기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익은 열매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1개(200g)와 꿀 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복용 중에 맥문동, 지황(생지황, 건지황, 숙지황)을 금한다.
뿌리 생즙 80~100g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 1주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잎을 생즙을 내어 1컵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회 5~7일 정도 복용한다.
잎 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하거나 익은 열매를 10일 정도 날것으로 먹는다.
뿌리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복용 중에 측백나무를 금한다.
온줄기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어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또는 열매 2~3g을 1회분 기준으로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온포기 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겉보리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엿기름 3~6g을 가루를 내어 1일 2회 1주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통째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통째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뽕나무, 오이풀, 인삼, 진범, 자라를 금한다. 신기가 허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줄기 1~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2회 정도 복용한다. 독성이 강하므로 기준량과 복용횟수를 엄격히 지킨다.
씨 속알맹이 25g, 표고버섯 50개, 닭 1마리(내장과 털을 제거)를 함께 끓여서 양념을 하여 1일 1회 3~4일 정도 식사 대용으로 복용한다.
씨 속알맹이 4g 또는 꽃 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매우 심한 변비)
씨를 뺀 열매 1개, 요구르트 1병, 벌꿀 1숟가락(10g), 오렌지즙 4분의 1컵을 함께 갈아서 1일 2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심한 변비)
열매 또는 햇순, 잔가지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잎 10g과 설탕 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빈랑나무
씨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껍질 또는 잎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복용 중에 지네, 도라지, 백복령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열매 1,200g(2근 정도), 벌꿀 120g, 물 800㎖를 반으로 달인 후 찌꺼기를 걸러내고 다시 3분의 2가 되게 달여서 20㎖ 정도를 1회분 기준으로 1일 2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익은 열매 1~2개를 1회분 기준으로 날것으로 1일 2회 1주일 이상 복용한다. 씨는 사용하지 않는다. 기준량을 지켜 과다복용이나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열매 1개(200g)와 당근 1개(300g)를 1회분 기준으로 생즙을 내어 1일 2회 15일 이상 공복에 장복한다.
씨 속알맹이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씨 속알맹이 4~6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씨 속알맹이 3~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황기, 황금, 칡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씨 속알맹이 4~5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로 하여 1일 2~3회 15일 이상 공복에 장복한다. 복용 중에 조, 쌍인(씨 속알맹이가 두 개인 것), 칡, 황금, 황기를 금한다.
삼(대마)
씨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8~9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삼색제비꽃
온포기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온포기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씨 또는 잎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어 1일 2~3회 1주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온포기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온포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솔방울 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뿌리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5~6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아주 심한 변비) 복용 중에 측백나무를 금한다.
덩이뿌리 4~6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복용 중에 오이풀, 무, 마늘, 파를 금한다.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뿌리(당귀)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생강, 무, 숙주나물, 여로를 금한다. 해조류(김, 다시마, 미역, 바닷말, 서실, 청각, 파래)를 금한다.
뿌리 2g, 숙지황 2g, 작약 2g, 천궁 2g을 1회분 기준으로 함께 달여서 1일 2~3회 3~5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생강, 무, 숙주나물, 여로를 금한다.
온포기 30~3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평소에 국을 끓여 많은 양을 장복해도 좋다.
온포기 3~4g을 1회분 기준으로 생즙을 내어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장복하면 남자의 양기가 준다고 전해 온다.
씨 속알맹이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온포기 또는 비늘줄기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비늘줄기 1~2개를 1회분 기준으로 생즙을 내어 10일 정도 매일 아침 공복에 복용한다.
양파식초를 소주잔 한 잔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 10일 이상 복용한다.
버섯 3~4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나무껍질 또는 열매 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열매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회 4~5일 정도 날것으로 먹는다.
잔가지 또는 씨 4~6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만성변비)
나무껍질 또는 열매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씨 4~6g을 1회분 기준으로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줄기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인삼) 25~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이상 복용한다. 복용 중에 고삼, 백복령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혈압이 높은 사람은 신중히 사용한다.
뿌리(인삼) 4g, 당귀 4g, 생강 덩이줄기 2g을 1회분 기준으로 함께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고삼, 백복령, 해조류를 금한다. 혈압이 높은 사람은 신중히 사용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온포기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꽃 6~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4~6g 또는 익은 열매 20~25g(3~5개)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삽주를 금한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씨 속알맹이 4~6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삽주를 금한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온포기 18~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25g, 둥굴레 뿌리줄기 25g, 돼지 심장 1개분을 1회분 기준으로 함께 끓인 후 양념을 하여 끼니때마다 반찬으로 복용한다. 심한 경우 3~4일 정도 복용한다.
씨 속알맹이 50g과 멥쌀 100g을 섞어서 죽을 쑤어 1일 2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담이 있거나 몽설 증세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뿌리 또는 줄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온포기 50g, 생강 덩이줄기 5g, 참기름 30㎖를 함께 달여서 1일 3회분으로 1주일 정도 식사 30분 전에 복용한다.
온포기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신체가 허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햇순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줄
대속줄기 30~3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줄
햇싹 또는 햇줄기 25~3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8~10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또는 열매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비위가 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싹 또는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생지황, 건지황, 숙지황) 10~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인 물을 1일 2~3회 1주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복용 중에 무, 복령, 숙주나물, 연근, 용담, 우유를 금한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구리, 철)를 쓰지 않는다.
온포기 또는 씨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정수고갈 증세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덜 익은 열매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6~7일 정도 복용한다. 많은 양을 복용하면 설사의 위험이 따른다.
잎 2~3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차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잎 2g, 검은깨 2g, 대황 4g을 1회분 기준으로 함께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잎 3g과 벌꿀 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0일 이상 식사 전에 복용한다.
잎 4g과 결명차 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나 씨 또는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복용 중에 옻나무, 옻닭을 금한다. 두통이 있거나 위장이 약하거나 화병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불을 쓰지 않는다.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씨(검은깨) 20~25g 또는 참기름(검은깨) 18~20㎖를 1회분 기준으로 씨를 달이거나 참기름을 그대로 1일 2~3회 5~6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복용 중에 감나무(감, 곶감, 감잎, 감꼭지), 고욤나무를 금한다. 비위가 허약하거나 풍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참기름 1숟가락, 피마자 기름 반 숟가락, 소금 2g을 1회분 기준으로 섞어서 1일 2회 8~10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복용 중에 감나무(감, 곶감, 감잎, 감꼭지), 고욤나무를 금한다. 비위가 허약하거나 풍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뿌리 또는 씨 4~6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복용 중에 생강, 해조류(김, 다시마, 미역, 바닷말, 서실, 청각, 파래)를 금한다.
뿌리 6~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측백나무를 금한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씨 50g, 잣나무 씨 속알맹이 20g, 호두나무 씨 속알맹이 30g, 벌꿀 300g을 함께 넣고 반죽하여 그릇에 담아두고 10g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 1주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복용 중에 국화, 대황, 밀가루 음식, 소리쟁이, 참소리쟁이를 금한다.
메주콩 10~15개를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3회 20일 이상 식후에 즉시 복용한다.
콩가루 3숟가락, 우유 1컵, 설탕 반 숟가락을 1회분 기준으로 섞어서 아침 1회, 저녁 1회 10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심한 경우)
키위
열매 2개를 1회분 기준으로 날것으로 1주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덜 익은 열매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뿌리 또는 잎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회 1주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기준량을 초과하면 설사의 위험이 따른다.
온포기 25~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7~8일 정도 복용한다.
수염뿌리 달린 비늘줄기 5개와 생강 5쪽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대추, 백하수오, 당귀, 박쥐 똥을 금한다.
씨 40~45g을 1회분 기준으로 생즙을 내어 1일 2~3회 1주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신기가 허약하거나 폐가 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꽃 또는 잔가지 3~4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덩이줄기 3~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씨 1~2g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 4~5일 정도 날로 먹는다. 설사의 위험이 있으므로 기준량을 지킨다. 약재를 다룰 때에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뿌리 또는 열매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모란, 생강, 쇠무릎, 패모를 금한다. 설사 증세가 있거나 위한증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깽깽이풀, 대추, 생강, 오갈피, 황기를 금한다. 설사 증세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구리, 철)를 쓰지 않는다.
씨 속알맹이 20~2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이상 복용한다.
볶은 씨 20g을 1회분 기준으로 껍질째 씹어 먹거나 산제로 하여 1일 4~5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양고기를 금한다.
열매 50g과 팥 50g을 1회분 기준으로 삶아서 1일 2회 1주일 정도 건더기와 함께 복용한다. 복용 중에 양고기를 금한다.
뿌리 또는 줄기 10~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벌꿀 40g, 소금 8g, 물 100㎖를 1일 3회분 기준으로 섞어서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벌꿀 8~20g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 10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벌꿀 40g과 들깨 50g을 1회분 기준으로 섞어서 10~12일 정도 두었다가 1일 2~3회 5~7일 정도 복용한다.
벌꿀 40g과 소금 8g을 1회분 기준으로 완전히 섞어서 1주일 정도 아침 공복에 복용한다. 복용 중에 찬물이나 더운 음식을 피한다.
우유 300㎖와 벌꿀 120g을 끓인 후 1회용 종이컵 1컵 분량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진범을 금한다.
식초 10~15㎖를 1회분 기준으로 1일 3회 10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식초를 끓여서 소주잔 한 잔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유황가루 1~2g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통째 2~3마리를 1회분 기준으로 푹 고아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10~12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8~10일 복용한다.
뿌리 6~8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6~7일 복용한다.
온포기 4~6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7~8일 복용한다.
씨 6~7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5~6일 복용한다.
온포기 4~6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6~7일 복용한다.
속줄기 25~30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5~6일 복용한다.
씨 4~8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6~7일 복용한다.
뿌리 15~20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5~6일 복용한다.
뿌리 10~12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5~6일 복용한다.
호두알맹이 10~15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6~8일 복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