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생양술처방: 적백리(赤白痢)

적백리(赤白痢) 의 익생양술 단방처방 처방목차
45 건
뿌리 또는 나무속껍질 5~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꽃무릇
비늘줄기 0.1~0.3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회 2일 정도 복용한다. 독성이 강하므로 기준량을 엄격히 지킨다. 장복을 금한다.
온포기 또는 열매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5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씨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말린 가루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 3~4일 정도 물과 함께 복용한다.(적리)
잎 5~6g 또는 씨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5~6g 또는 씨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고본을 금한다.
꽃봉오리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2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2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2일 정도 복용한다.
비늘줄기 2~3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독성이 있으므로 신중히 사용한다.
덩이줄기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당귀, 박쥐 똥, 하눌타리, 현삼, 황련을 금한다.
덩이줄기 말린 가루 5g과 미음 1공기를 1회분 기준으로 섞어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당귀, 박쥐 똥, 하눌타리, 현삼, 황련을 금한다.
온포기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측백나무를 금한다.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온포기 10g과 꿀 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어린열매 20~30g을 생즙을 내어 1일 2~3회 3~5일 정도 복용한다.
잎 또는 잔가지 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흑설탕 30g을 타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2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3~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1~2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남자가 20일 이상 장복하면 양기가 준다고 전해진다.
온포기 1~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기가 허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3회 이상 사용을 금한다.
싹 5~8g 또는 뿌리 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2~4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겨우살이, 맥문동, 복령을 금한다.(적리)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줄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열매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백리)
온포기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2일 정도 복용한다.
비늘줄기 3뿌리와 생강 덩이뿌리 5쪽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대추, 맥문동, 백하수오, 당귀, 하눌타리, 현삼을 금한다.
뿌리 또는 열매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모란, 생강, 쇠무릎, 패모를 금한다. 설사 증세가 있거나 위한증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일 정도 복용한다. 독성이 있으므로 기준량을 지킨다.
뿌리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녹각, 목련, 방풍, 백선, 복령, 살구 씨, 여로, 현삼을 금한다.
황련
뿌리줄기 2~3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생강을 금한다. 비위가 허약하거나 조갈증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후추나무
씨(후추) 3g, 말린 회화나무 꽃 3g, 질경이 씨 5g을 1회분 기준으로 각각 산제로 하여 함께 섞어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쓸개(웅담) 0.5g을 1회분 기준으로 따뜻한 물로 하여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간염, 결핵, 심장병, 종양, 허약체질로 생긴 병증이나 고질병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통째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2일 정도 복용한다. 유산의 위험이 있으므로 임신부는 복용을 금한다.
뿌리 6~8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6~7일 복용한다.
온포기 4~6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7~8일 복용한다.
온포기 8~10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7~8일 복용한다.
온포기 4~6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6~8일 복용한다.
뿌리 6~8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7~8일 복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