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생양술처방: [소아질환]백일해(百日咳)

[소아질환]백일해(百日咳) 의 익생양술 단방처방 처방목차
75 건
뿌리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꼭지 달린 곶감 1개와 열매껍질 3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감수, 대극, 원화, 참기름, 찬물을 금한다.
뿌리줄기 3g, 질경이 온포기 3g, 흑설탕 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비늘줄기 또는 꽃 2~3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식후에 복용한다. 독성이 있으므로 기준량을 지킨다.
뿌리줄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덜 익은 열매껍질(청피) 12g과 곶감 2개를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땀이 많이 나는 아이나 신체가 허약한 어린이는 복용을 금한다.
열매껍질(진피)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땀이 많이 나거나 신체가 허약한 어린이는 복용을 금한다.
덜 익은 열매껍질 12g과 곶감 2개를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꽃무릇
비늘줄기 0.1~0.3g을 1회분 기준으로 환제로 하여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독성이 강하므로 기준량을 엄격히 지킨다. 장복을 금한다.
뿌리 또는 줄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열매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그늘에서 말린 뿌리 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5~7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냉병이 있는 어린이는 복용을 금한다. 1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뿌리줄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비늘줄기 15~20쪽을 1회분 기준으로 구워서 1일 2회 1주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복용 중에 개고기, 맥문동, 백하수오를 금한다. 음기가 허약한 어린이는 복용을 금한다.
마황
온포기 3~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독성이 있으므로 10일 이상 복용을 금한다.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어 1일 2~3회 5~7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생즙 80~10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복용 중에 맥문동, 지황(생지황, 건지황, 숙지황)을 금한다. 비위가 약한 어린이는 복용을 금한다.
온포기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줄기 0.5~1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5일 정도 복용한다. 독성이 강하므로 기준량을 엄격히 지킨다. 경우에 따라서 정신 혼탁이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수도 있다.
뿌리 또는 온포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온포기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열매 생즙 1/2컵, 무 뿌리 생즙 1/2컵, 흑설탕 20g을 1회분 기준으로 섞어서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지황을 금한다.
잔가지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비늘줄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껍질 또는 잎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도라지, 복령, 지네를 금한다. 중풍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비늘줄기 2~3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독성이 있으므로 신중히 사용한다.
덩이줄기 5쪽, 곶감 3개, 마늘 비늘줄기 5쪽을 함께 달여서 1/8~1/10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 4~6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당귀, 박쥐 똥, 하눌타리, 현삼, 황련을 금한다.
뿌리 또는 열매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비늘줄기 또는 꽃 2~3g을 달여서 6분의 1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독성이 있으므로 신중히 사용한다.
덜 익은 열매를 썰어서 설탕에 재워 두었다가 2~3조각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또는 온포기를 생즙을 내어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줄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뿌리 또는 줄기 10~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독성이 있으므로 20일 이상 복용을 금한다.
온포기 2~3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독성이 강하므로 기준량을 엄격히 지켜 사용한다.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열매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3~4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폐가 약한 어린이는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뿌리(재배삼) 25~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고삼, 복령을 금한다. 혈압이 높은 어린이는 신중히 사용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씨 10개, 질경이 씨 10g, 겨자 열매껍질 10g, 감초 뿌리줄기 4g을 함께 달여서 1일 3회로 나누어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열매송이(잣송이) 6~8g 또는 씨 속알맹이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잣기름 10g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 4~6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또는 열매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4~6일 정도 복용한다.
비늘줄기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7~10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씨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온포기 15~20g 또는 꽃이삭 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덩이줄기를 생즙을 내어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황금을 금한다. 독성이 있으므로 날것으로 복용을 금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꽃 또는 온포기 3~4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열매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비늘줄기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씨 25~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씨 속알맹이 20~2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씨 속알맹이 5g과 토란 덩이줄기 5g을 1회분 기준으로 믹서에 갈아 벌꿀 1숟가락을 섞어서 1일 2~3회 5~7일 정도 복용한다.
씨 또는 잎 20~2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복용 중에 양고기를 금한다.
씨 25~30g을 1회분 기준으로 볶아 껍질째 씹어 먹거나 산제로 하여 1일 4~5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양고기를 금한다.
씨 20g을 1회분 기준으로 볶아 흑설탕 1숟가락을 함께 넣고 달여서 1일 2~3회 5~7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양고기를 금한다.
잔가지 또는 잎 15~1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흑난초
온포기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가리비
껍질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삶은 물을 1일 2~3회 1주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알레르기 체질인 어린이는 복용을 금한다.
쓸개(웅담) 0.3~0.5g을 1회분 기준으로 따뜻한 물에 타서 4~5회 정도 복용한다. 간염, 결핵, 심장병, 종양, 허약체질로 생긴 병증이나 고질병이 있는 어린이는 복용을 금한다.
말린 계내금(닭 모이주머니 안쪽의 노란 막) 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소양증이나 두드러기, 성병이 있는 사람 그리고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달걀기름(노른자위를 프라이팬에 담아 불에 올려놓고 달구면 갈색 기름이 흘러나온다) 2~3g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통째 1마리를 푹 곤 물을 2회 정도 나누어 복용한다.
통째 20~30g을 1회분 기준으로 삶은 물을 복용하거나 통째 볶아서 소금으로 간을 하여 1주일 정도 복용한다.
통째 40~5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통째 1마리를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회 3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삽주를 금한다.
열매 4~6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20~25일 복용한다.
줄기ㆍ잎 8~15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20~25일 복용한다.
온포기 4~6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20~25일 복용한다.
호두알맹이 10~15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12~15일 복용한다.
온포기 5~6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15~20일 복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