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쇠약(神經衰弱)
의 익생양술 단방처방 처방목차
45 건
45 건
뿌리줄기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신경불안)
잎 또는 씨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차로 하여 1일 3~4회 10일 이상 수시로 마신다. 복용 중에 삼(대마)을 금한다.
잔가지나 뿌리 7~8g 또는 열매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이상 복용한다.
뿌리 또는 줄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0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뿌리 3~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이상 복용한다. 두통의 위험이 있으므로 많은 양을 복용하지 않는다.(신경불안)
온포기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0일 이상 복용한다.
말린 열매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0일 이상 복용한다. 복용 중에 민물고기, 파, 현삼을 금한다.
잔가지 또는 뿌리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0일 정도 복용한다.
덩이뿌리(산마) 6~8g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 15일 이상 날로 먹는다.
멧대추나무
열매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0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간이 약하거나 담이 있거나 열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비늘줄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0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줄기 0.5~1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1회 2일 정도 복용한다. 독성이 강하므로 기준량과 복용횟수를 엄격히 지킨다.
씨를 빼고 말린 열매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0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도라지, 방기를 금한다. 소변불리 증세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온포기 4~6g 또는 씨 2~3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모란을 금한다.
덩이뿌리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0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뿌리줄기 30~35g을 1회분 기준으로 생즙을 내어 1일 2~3회 10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지황(생지황, 건지황, 숙지황)을 금한다. 소변불리 증세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버섯 3~4g을 1회분 기준으로 생수에 우려낸 물을 1일 2~3회 10일 이상 복용한다.
열매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0일 정도 복용한다. 폐가 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버섯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0일 정도 복용한다.
율무쌀 25~30g 또는 뿌리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0일 이상 복용한다. 유산의 위험이 있으므로 임신부는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씨 속알맹이 10~12개 또는 가지 4~6g을 1회분 기준으로 열매를 굽거나 가지를 달여서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산삼)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고삼, 복령을 금한다. 혈압이 높은 사람은 신중히 사용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뿌리(장뇌삼)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고삼, 복령을 금한다. 혈압이 높은 사람은 신중히 사용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뿌리(재배삼) 25~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0일 이상 복용한다. 복용 중에 고삼, 복령을 금한다. 혈압이 높은 사람은 신중히 사용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뿌리껍질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0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줄기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10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뿌리 2~3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0일 정도 복용한다. 두통의 위험이 있으므로 많은 양을 복용하지 않는다.
뿌리줄기 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이상 복용한다. 과다 복용이나 장복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온포기 또는 씨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0일 정도 복용한다. 정수고갈 증세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줄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0일 정도 복용한다.
참기름 15~20g과 소주 1잔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 1주일 이상 복용한다. 복용 중에 감나무, 고욤나무를 금한다. 비위가 허약하거나 풍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비늘줄기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0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덩이줄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0일 정도 복용한다.
덩이뿌리(백하수오)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0일 이상 복용한다. 복용 중에 개고기, 마늘, 무, 비늘 없는 바닷물고기, 쇠고기, 파를 금한다. 출혈 증세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새싹 또는 어린잎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10일 정도 복용한다.
잎이나 꽃 7~8g 또는 씨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5일 이상 복용한다. 유산의 위험이 있으므로 임신부는 복용을 금한다.
비늘줄기 또는 꽃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0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통째 1마리를 달여서 1사발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 2일 정도 복용한다. 또는 1마리를 나무에 매달아 꼬리 끝을 0.5cm 정도 자른 후 떨어지는 피를 밀가루에 받아 환을 지은 것 7~8 알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 1주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복용 중에 다른 약을 금한다. 연간 1~2회 이상 사용을 금한다.
생식기(해구신) 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3~5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몸에 열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뿔(녹용) 1.5~4.0g을 1회분 기준으로 따뜻한 물로 1일 2회 3~5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복용 중에 황기를 금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피 10~20㎖를 1회분 기준으로 즉석에서 마시되, 1일 1회 4~5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복용 중에 황기를 금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통째 100~150g을 1회분 기준으로 삶아서 그 물을 1일 2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중풍의 위험이 있으므로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살코기 100~200g을 1회분 기준으로 삶아서 소금으로 간을 하여 국물과 살코기를 함께 1일 1~2회 3~5일 정도 복용한다.
통째 2~3마리를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그 물을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사향 0.06~0.15g을 1회분으로 1일 2~3회 10~12일 정도 탕전복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