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생양술처방: 실음(失音)

실음(失音) 의 익생양술 단방처방 처방목차
27 건
열매껍질(진피)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땀이 많이 나거나 신체가 허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뿌리 4~6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말린 열매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하거나 말린 열매 한 움큼 정도를 날것으로 먹는다. 복용 중에 민물고기, 파, 현삼을 금한다.
잎 6~7g과 유자나무 열매껍질 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민물고기, 파, 현삼을 금한다.
꽃 4~5g 또는 뿌리 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4~5회 정도 복용한다.
뿌리 10g과 벌꿀 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뿌리를 산제로 하여 벌꿀에 섞어서 1일 3회 2~4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또는 꽃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3~5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복용 중에 뽕나무, 산수유, 자란을 금한다.
온포기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비위가 허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임산부가 장복하면 젖이 나오지 않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뿌리를 생즙을 내어 80~100g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맥문동, 지황(생지황, 건지황, 숙지황)을 금한다. 비위가 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열매껍질 10~12g 또는 열매 1개 정도를 1회분 기준으로 껍질을 달이거나 열매를 생즙을 내어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씨 속알맹이 3~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쌍인(씨 속알맹이가 두 개인 것)을 쓰지 않는다. 복용 중에 조, 칡, 황금, 황기를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뿌리줄기 또는 줄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뿌리줄기 3~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또는 새싹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복용 중에 육식을 금한다.
열매 10개를 1회분 기준으로 입에 넣고 씹어서 나오는 생즙과 침을 함께 삼키는데 1일 2~3회 2~3일 정도 계속한다. 폐가 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열매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폐가 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열매로 차를 만들어 3~4회 정도 복용한다.
씨 속알맹이 10개 정도를 1회분 기준으로 구워서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잎 또는 햇순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정도 복용한다.
덩굴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씨(검은콩) 40~50개를 1회분 기준으로 삶아 설탕 1숟가락(20g)을 타서 1일 2~3회 2~4일 정도 복용한다.
온그루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달걀 1개와 식초 1숟가락을 1회분 기준으로 잘 섞어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과다 복용을 하면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아져 몸에 해롭다.
뿌리 2~3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8~10일 복용한다.
온포기 10~12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10~12일 복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