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질(痢疾)
의 익생양술 단방처방 처방목차
107 건
107 건
온포기 또는 뿌리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정도 복용한다.
곶감 2~3개를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감수, 대극, 술, 원화, 참기름, 찬물을 금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 10~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어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4~6g 또는 꽃 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독성이 있으므로 기준량을 지킨다.
뿌리 2~3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3~4회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꼭두서니, 갈퀴꼭두서니, 여로, 인삼을 금한다. 간장, 비장, 신장이 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장복을 금한다.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뿌리 4~6g 또는 익은 열매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폐가 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뿌리 말린 가루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3~4회 정도 물에 타서 복용한다.
씨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생즙을 내어 3~4회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지황(생지황, 건지황, 숙지황)을 금한다.
온포기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잔가지 또는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정도 복용한다.
씨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만성하리)
씨 또는 잎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파두를 금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10~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덜 익은 열매 8~10개를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4~5회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돼지고기를 금한다.
잔가지 또는 뿌리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정도 복용한다. 기혈이 부족한 사람이나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온포기 6~8g 또는 열매 25~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정도 복용한다. 익은 열매를 날것으로 먹어도 좋다.
씨 20g 정도를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정도 복용하거나 메밀묵을 4~5회 정도 먹는다. 비위가 허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임산부가 장복하면 젖이 나오지 않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온포기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황금을 금한다.
꽃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4~5회 정도 복용한다.
씨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정도 복용한다. 또는 생즙80~100g을 1회분 기준으로 3~5회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맥문동, 지황(생지황, 건지황, 숙지황)을 금한다. 비위가 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꽃봉오리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4~5회 정도 복용한다.
잎 4~5g 또는 열매 10~15g을 1회분 기준으로 잎을 달이거나 익은 열매를 날것으로 4~5회 정도 복용한다.
나무껍질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정도 복용한다.
뿌리 0.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정도 복용한다. 독성이 강하므로 기준량을 지켜 신중히 사용한다.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정도 복용한다.
꽃을 햇볕에 말려 두었다가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중풍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뿌리 또는 꽃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독성이 강하므로 기준량을 엄격히 지킨다. 복용 중에 여로를 금한다. 냉병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정도 복용한다.
뿌리 15~20g 또는 씨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정도 복용한다.
잔가지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4~5회 정도 복용한다.
나무껍질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4~5회 정도 복용한다.
뿌리줄기 또는 꽃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겨우살이, 맥문동, 복령을 금한다.
뿌리 또는 꽃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독성이 강하므로 1주일 이상 복용을 금한다. 복용 중에 여로를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온포기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덩이뿌리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5~6회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당귀, 박쥐 똥, 하눌타리, 현삼, 황련을 금한다.
덩이줄기 6쪽과 검은 엿 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당귀, 박쥐 똥, 하눌타리, 현삼, 황련을 금한다.(열성하리)
온포기 또는 뿌리줄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4~5회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깽깽이풀, 하눌타리를 금한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4일 정도 복용한다. 20일 이상 복용을 금한다.
온포기 4g과 생강 덩이줄기 4g을 1회분 기준으로 물 20㎖에다 달여서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남자가 20일 이상 장복하면 양기가 준다고 전해진다.
온포기 또는 뿌리 3~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남자가 20일 이상 장복하면 양기가 준다고 전해진다.
온포기 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씨 제거) 0.5~1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기가 허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3회 이상 사용을 금한다.
씨 7~9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정도 복용한다.
씨 또는 뿌리 7~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정도 복용한다.
익은 열매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폐가 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만성하리)
새싹 8g 또는 뿌리 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겨우살이, 맥문동, 복령을 금한다.(열성하리)
온포기 5g과 오갈피나무 나무껍질 또는 뿌리껍질 5g을 1회분 기준으로 섞어서 산제로 하여 1일 3~4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겨우살이, 맥문동, 복령을 금한다.
열매 또는 열매껍질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또는 꽃 6~9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4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열성하리)
뿌리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2~4일 정도 복용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나무껍질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5~6g 또는 씨 3~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정도 복용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죽절인삼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정도 복용한다.
싹 또는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정도 복용한다.
꽃 또는 뿌리 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 6~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참기름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4~5회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복용 중에 감나무, 고욤나무를 금한다. 비위가 약하거나 풍증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참기름 20㎖와 삶은 달걀 1개를 1회분 기준으로 1일 3~4회 1~2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감나무, 고욤나무를 금한다. 비위가 약하거나 풍증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참비름
온포기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어린싹, 밀가루, 달걀을 함께 넣어 빈대떡을 만들어 1일 2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돼지고기, 뜨거운 국수를 금한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뿌리줄기(토복령)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정도 복용한다. 간장, 신장이 약하거나 정력이 부족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잎 또는 씨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국화, 대황, 밀가루 음식, 소리쟁이, 참소리쟁이를 금한다.
열매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정도 복용한다.
덜 익은 열매를 구워서 1일 5~6회 2~3일 정도 아랫배를 찜질한다.
잎이나 꽃 6~8g 또는 씨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3~4회 정도 복용한다. 유산의 위험이 있으므로 임신부는 복용을 금한다.
뿌리 5~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독성이 약간 있으므로 기준량을 지킨다.(열성하리)
뿌리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고백반 2~3g을 함께 섞어서 1일 3~4회 심하면 2일 정도 복용한다.
잎 20g과 소금 1~3g을 1회분 기준으로 짓찧어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양고기를 금한다.
잎 또는 꽃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독성이 있으므로 기준량을 지킨다.
잎 또는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명아주, 모란, 살구 씨, 생강, 토란을 금한다.
뿌리 또는 씨 0.1~0.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독성이 강하므로 기준량을 엄격히 지킨다.
후추나무
열매 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3~5일 정도 복용한다.
벌꿀 20㎖와 날계란 1개를 1회분 기준으로 섞어서 1일 3~4회 1~2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달걀 2개를 1회분 기준으로 익혀서 고백반(枯白礬 : 불에 태운 백반)에 찍어서 1일 3~4회 복용한다. 심하면 2일 정도 계속한다. 과다 복용을 하면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아져 몸에 해롭다.
달걀 노른자위 2개와 꿀 5숟가락을 함께 섞어서 1일 2~3회 심하면 2~3일 복용한다. 과다 복용을 하면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아져 몸에 해롭다.
말린 계내금(닭 모이주머니 안쪽의 노란 막) 5~6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로 하여 3~4회 정도 물에 타서 복용한다.
뿌리 4~6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7~8일 복용한다.
온포기 10~12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7~8일 복용한다.
뿌리껍질 12~15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6~7일 복용한다.
온포기 5~8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6~7일 복용한다.
뿌리 10~12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7~8일 복용한다.
나무껍질 10~15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5~6일 복용한다.
열매 8~10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7~8일 복용한다.
온포기 4~6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7~8일 복용한다.
사과 20~25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7~8일 복용한다.
온포기 4~6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7~8일 복용한다.
나무껍질 6~8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6~8일 복용한다.
뿌리 8~10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6~8일 복용한다.
온포기 6~8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7~8일 복용한다.
씨 10~12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6~7일 복용한다.
나뭇가지 15~20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5~6일 복용한다.
뿌리 8~10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7~8일 복용한다.
온포기 4~6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6~7일 복용한다.
줄기 4~6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5~6일 복용한다.
뿌리 10~15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5~6일 복용한다.
뿌리 4~6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6~8일 복용한다.
나무껍질 4~6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6~8일 복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