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사(泄瀉)
의 익생양술 단방처방 처방목차
170 건
170 건
잔가지 또는 씨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4회 정도 복용한다.
씨 또는 뿌리줄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2~3일, 만성인 경우 4~5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4회 정도 복용한다. 기가 허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뿌리줄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3일, 만성인 경우 4~5일 정도 복용한다.
열매꼭지 6개 또는 연시 2~3개를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감수, 대극, 술, 원화, 참게, 참기름, 찬물을 금한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씨 25~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4~6g 또는 꽃 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2일 정도 복용한다. 독성이 있으므로 기준량과 사용법을 지킨다.
온포기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싹이 난 씨를 말려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로 하여 2~3회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씨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열매 2~3g을 1회분 기준으로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오이풀, 적하수오를 금한다. 눈병이나 종기, 치질, 폐열, 혈변 증세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씨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삼(대마)을 금한다.
수액 150~200㎖를 1회분 기준으로 4~5회 정도 복용한다.
뿌리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맨드라미를 금한다.
뿌리줄기 10~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남자가 20일 이상 장복하면 양기가 준다고 전해진다.
말린 열매(붉은 고추) 2~3개와 감주 1사발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뿌리껍질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잔가지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겨우살이, 맥문동, 복령을 금한다.
온포기 8~10g 또는 열매 80~10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익은 열매는 날것으로 먹어도 된다.
온포기 6~8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유산의 위험이 있으므로 임신부는 복용을 금한다.
열매 5~6g 또는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담이 있거나 설사 증세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온포기 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뿌리 또는 열매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2~3일, 심하면 3~4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를 말려서 가루를 내어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2~3회 정도 복용한다.
나무껍질이나 뿌리껍질 또는 열매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나 뿌리줄기 또는 꽃 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씨를 생즙을 내어 20~25g을 1회분 기준으로 2~3회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지황(생지황, 건지황, 숙지황)을 금한다.
잔가지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또는 열매 20g을 1회분 기준으로 5회 정도 날것으로 먹는다. 과다 복용이나 장복을 금한다.
뿌리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줄기 또는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뿌리 또는 꽃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3~4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복용 중에 자란, 산수유, 뽕나무를 금한다.
덩이뿌리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덩이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날것으로 먹거나 생즙을 내어 2~3회 정도 복용한다.
덩이뿌리를 말려 가루를 내어 80g을 1회분 기준으로 설탕 20g을 섞어 죽같이 끓여서 1일 2~3회 정도 복용한다. 또는 덩이뿌리 말린 가루에 달걀 2개를 넣고 함께 끓여서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 심하면 2~3일 정도 복용한다.
나무껍질 또는 열매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비늘줄기 15~20쪽을 1회분 기준으로 구워서 2~3회 정도 먹는다. 복용 중에 개고기, 맥문동, 백하수오를 금한다. 음기가 허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뿌리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설사 증세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온포기 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열매 10개를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돼지고기를 금한다. 위산과다증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열매 엑기스 5g, 벌꿀 30g, 물 700㎖를 끓인 후 냉각시켜 2숟가락을 1회분 기준으로 따뜻한 물에 풀어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돼지고기를 금한다. 위산과다증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온포기 8~10g 또는 씨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고본을 금한다.
온포기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황금을 금한다.
열매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꽃 또는 뿌리껍질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대황, 새삼, 패모, 하눌타리, 황금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뿌리 생즙 80~100g을 1회분 기준으로 2~3회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맥문동, 지황(생지황, 건지황, 숙지황)을 금한다. 비위가 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꽃봉오리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열매 4~5개를 1회분 기준으로 4~5회 정도 날로 먹는다.
나무껍질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정도 복용한다.
뿌리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뿌리 또는 열매껍질 2~3g을 1회분 기준으로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줄기 또는 뿌리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덩이줄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양의 피, 해조류(김, 다시마, 미역, 바닷말, 서실, 청각, 파래)를 금한다.
나무속껍질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잔가지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겉보리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덜 익은 열매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2~3회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고본을 금한다. 소변불리 증세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씨 속알맹이 4~6g을 1회분 기준으로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3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쌍인(씨 속알맹이가 두 개인 것)을 쓰지 않는다. 복용 중에 도라지, 복령, 삽주, 지네를 금한다. 씨나 꽃의 과다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온포기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비늘줄기 15~20g 또는 씨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잔가지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줄기 20~30g을 1회분 기준으로 생즙을 내거나 나물로 하여 먹는다. 비장이 약하거나 설사 증세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열매(오디) 80~1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찌꺼기는 버리고 달인 물을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도라지, 복령, 지네를 금한다. 당뇨병이 있거나 중풍이 있거나 해수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싹 또는 비늘줄기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열매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비위가 약하거나 입병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뿌리줄기 또는 꽃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겨우살이, 맥문동, 복령을 금한다.
온포기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삼(대마)
씨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결명차, 석결명을 금한다.
온포기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음기가 허하거나 양기가 강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어린 뿌리줄기(백출) 50g, 말린 생강 덩이줄기(건강) 10g, 계내금(닭 모이주머니 안쪽의 노란 막) 15g,대추나무 열매 250g, 민들레 온포기 30g을 한데 섞어 환제로 하여 8~10알을 1회분 기준으로 4~5회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복용 중에 고등어, 복숭아, 자두, 참새고기를 금한다. 땀이 많이 나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오래 된 뿌리줄기(창출) 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고등어, 복숭아, 자두, 참새고기를 금한다. 땀이 많이 나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덩이줄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당귀, 박쥐 똥, 하눌타리, 현삼, 황련을 금한다.
잔가지 또는 씨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열매껍질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뿌리줄기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송진 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나무속껍질 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잎 3~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4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뿌리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측백나무를 금한다.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정도 복용한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덜 익은 열매 또는 꽃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3~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남자가 20일 이상 장복하면 양기가 준다고 전해진다.
온포기 12~15g 또는 씨 6~8g을 1회분 기준으로 온포기를 국을 끓이거나 씨를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비늘줄기 2~3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0.5~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2회 정도 복용한다. 기가 허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3회 이상 사용을 금한다.
씨 8~9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뿌리줄기 30~3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지황(생지황, 건지황, 숙지황)을 금한다. 소변불리 증세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온포기 2~3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염주
뿌리 또는 씨 10~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3일 정도 복용한다. 유산의 위험이 있으므로 임신부는 장복을 삼간다.
열매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폐가 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씨 13~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어 1일 2~3회 2일 정도 복용한다.
싹 6~8g 또는 뿌리 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겨우살이, 맥문동, 복령을 금한다.
나무껍질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1~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지황을 금한다. 독성이 강하므로 기준량을 엄격히 지킨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불,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줄기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온포기 2~3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열매 10~12개를 1회분 기준으로 구워서 3~4회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7~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어 2~3회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고삼, 복령을 금한다. 폐가 약하거나 폐에 열이 있거나 혈압이 높은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구리, 철)를 쓰지 않는다. 비위나 대장이 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잎 또는 줄기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뿌리(재배삼) 25~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고삼, 복령을 금한다. 혈압이 높은 사람은 신중히 사용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뿌리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고지혈증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나무껍질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1~2g을 1회분 기준으로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용담의 10배 이상 쓴 풀이다. 맛이 매우 쓰기 때문에 탕제로 만들지 않는다.
뿌리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온포기 80g을 삶은 물에 멥쌀 200g을 넣어 죽을 쑤어 2회분으로 나누어 복용한다. 신체가 허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온포기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잎 또는 나무속껍질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줄기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3~4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덩이뿌리 1~2g을 1회분 기준으로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2일, 심하면 3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복용 중에 더운 음식, 더운 물을 금하고 더운 곳을 피한다. 열이 있거나 화병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독성이 강하므로 기준량과 사용법을 엄격히 지킨다.(이완성설사)
뿌리줄기 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과다 복용이나 장복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씨 12g, 말린 생강 덩이줄기 4g, 흑설탕 10g을 1회분 기준으로 함께 차로 끓여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정수고갈 증세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온포기 또는 씨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정수고갈 증세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장복을 금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줄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뿌리껍질 또는 덜 익은 열매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설사의 위험이 있으므로 기준량을 지킨다.
잎 1.5~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차로 하여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나 뿌리 또는 열매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옻나무, 옻닭을 금한다. 두통이 있거나 위장이 약하거나 화병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불을 쓰지 않는다.
뿌리줄기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뿌리줄기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간장, 신장이 약하거나 정력이 부족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씨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국화, 대황, 밀가루 음식, 소리쟁이, 참소리쟁이를 금한다.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꽃이나 씨 또는 뿌리 20~40g을 1회분 기준으로 꽃이나 씨를 달이거나 뿌리를 생즙을 내어 2~3회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살구 씨를 금한다.
뿌리 20g, 녹두 씨 60g, 소금 2g을 1회분 기준으로 함께 죽을 쑤어 1일 2~3회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살구 씨를 금한다.
뿌리 또는 꽃 2~3g을 1회분 기준으로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지황을 금한다. 독성이 강하므로 기준량을 엄격히 지킨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불,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덩이줄기 생즙 20~25g을 1회분 기준으로 2~3회 정도 복용한다. 토란국을 많이 먹어도 좋다. 복용 중에 황금을 금한다. 독성이 있으므로 날것으로 복용을 금한다.
씨 40~45g을 1회분 기준으로 생즙을 내어 2~3회 정도 복용한다. 신기가 허약하거나 폐가 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씨 또는 꽃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버섯 10~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3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독성이 약간 있으므로 기준량을 지킨다.
잎 또는 꽃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꽃 4~6g 또는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덩이줄기 7~9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씨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유산의 위험이 있으므로 임신부는 복용을 금한다.
잎 또는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뿌리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2~3일, 심하면 3~4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복용 중에 녹각, 목련, 방풍, 백선, 복령, 살구 씨, 여로, 현삼을 금한다.
잎 또는 잔가지 30g 또는 열매 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정도 복용한다.
쓸개(웅담) 0.3~0.5g을 1회분 기준으로 따뜻한 물에 타서 1일 2회 2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간염, 결핵, 심장병, 종양, 허약체질로 생긴 병증이나 고질병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달걀 4개, 식초 20㎖, 생강 덩이줄기 10g을 1회분 기준으로 함께 넣어 계란떡을 만들어 1일 2~3회 식사 대용으로 먹는다. 과다 복용을 하면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아져 몸에 해롭다.
달걀 2개를 1회분 기준으로 고량주를 적당량 넣어 프라이팬에 볶아낸 것을 3~4회 정도 복용한다. 과다 복용을 하면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아져 몸에 해롭다.
달걀 2~3개를 1회분 기준으로 쪄서 1일 2~3회 2일 정도 먹는다. 또는 말린 계내금(닭 모이주머니 안쪽의 노란 막) 6~8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로 하여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과다 복용을 하면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아져 몸에 해롭다.
통째 3~5마리를 1회분 기준으로 피는 날로 복용하고, 조갯살은 삶아 양념을 하여 1일 2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몸이 비만한 사람이나 열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온포기 4~6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6~7일 복용한다.
뿌리 10~12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5~6일 복용한다.
뿌리 10~12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4~5일 복용한다.
뿌리 15~20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6~7일 복용한다.
온포기 10~12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6~7일 복용한다.
온포기 1~2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6~7일 복용한다.
나무껍질 10~15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5~6일 복용한다.
열매 8~10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6~7일 복용한다.
온포기 4~6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6~7일 복용한다.
온포기 8~10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5~6일 복용한다.
씨 6~7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5~6일 복용한다.
온포기 12~15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6~8일 복용한다.
온포기 4~6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5~6일 복용한다.
나무껍질 6~8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6~8일 복용한다.
나무껍질 4~6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5~6일 복용한다.
뿌리 8~10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5~6일 복용한다.
온포기 3~4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5~6일 복용한다.
씨 10~12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5~6일 복용한다.
뿌리 15~20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5~6일 복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