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염(胃炎)
의 익생양술 단방처방 처방목차
140 건
140 건
뿌리 또는 줄기 25~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급성)
덩이줄기 25~30g을 1회분 기준으로 생즙을 내어 1일 2~3회 2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줄기 2g, 솔잎 2g, 삽주 뿌리줄기(창출) 2g, 황벽나무 껍질 2g을 1회분 기준으로 함께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 10~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4~6g 또는 꽃 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독성이 있으므로 기준량을 지킨다.
씨 또는 잎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삼(대마)을 금한다.
나무껍질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옻나무를 금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뿌리, 익모초 뿌리, 삽주 뿌리줄기를 같은 비율로 섞어서 환으로 하여 10~15알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회 20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복용 중에 꼭두서니, 갈퀴꼭두서니, 여로, 인삼을 금한다. 간장, 비장, 신장이 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장복을 금한다.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어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어 1일 2~3회 8~10일 정도 복용한다.
열매껍질(진피) 10~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0일 정도 복용한다. 땀이 많이 나는 사람이나 신체가 허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온포기 3~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또는 줄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껍질이나 나무껍질 또는 열매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나무껍질과 검은콩을 같은 비율로 섞어 환제로 하여 10~15g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잔가지나 잎 4~6g 또는 익은 열매 20~30g을 1회분 기준으로 잔가지나 잎을 달이거나 익은 열매를 날것으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과다 복용이나 장복을 금한다.
잔가지 또는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정도 복용한다.
열매 또는 잎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이상 복용한다. 복용 중에 민물고기, 파, 현삼을 금한다.
열매 3개, 매실나무 열매 2개, 살구 씨 속알맹이 7개를 1회분 기준으로 함께 짓찧어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민물고기, 파, 현삼을 금한다.
온포기 3~4g을 1회분 기준으로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0~15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남자가 20일 이상 장복하면 양기가 준다고 전해진다.
뿌리 또는 나무껍질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씨를 가루 내어 1kg을 꿀 500g에 섞어서 용기에 넣어 두고 2숟가락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3회 15~20일 정도 식전에 복용한다. 기혈이 부족하거나 장이 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나무껍질 또는 열매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급, 만성)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어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말린 열매(오매 : 껍질을 벗기고 짚불 연기에 그을려 말린 매실) 3g을 1회분 기준으로 물 1홉을 넣고 반으로 달여서 1일 2~3회 7~8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돼지고기를 금한다.
덜 익은 열매 8~10개를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2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돼지고기를 금한다.
잔가지 또는 뿌리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황금을 금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열매 5~6개를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2일 정도 복용한다.(급, 만성)
꽃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30g, 백복령 6g, 뽕나무 껍질 4g을 함께 환제로 하여 1~2g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 10일 정도 복용한다. 고지방혈증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씨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2일 정도 복용한다. 또는 생즙 80~100g을 1회분 기준으로 4~5회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맥문동, 지황(생지황, 건지황, 숙지황)을 금한다. 비위가 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꽃봉오리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비늘줄기 20~25g을 1회분 기준으로 죽같이 고아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열매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나무껍질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잎 또는 줄기 20~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10~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8~10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 10~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8~10일 정도 복용한다.
덩이뿌리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양의 피, 해조류(김, 다시마, 미역, 바닷말, 서실, 청각, 파래)를 금한다.(만성)
잔가지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줄기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25~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씨 속알맹이 3~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쌍인(씨 속알맹이가 두 개인 것)을 쓰지 않는다. 복용 중에 도라지, 복령, 삽주, 지네를 금한다. 씨나 꽃의 과다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열매 1개(300g), 감자 덩이줄기 1개, 당근 뿌리 1개, 인삼 뿌리 1개를 1회분 기준으로 함께 믹서에 갈아서 1일 2회 15일 정도 아침저녁으로 공복에 복용한다. 사과 씨에는 독성이 있으므로 제거하고 사용한다. 과다 복용이나 장복을 하지 않는다.
온포기 또는 꽃 6~9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남자가 20일 이상 장복하면 양기가 준다고 전해진다.
열매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2일 정도 복용한다. 비위가 약하거나 입병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급성)
뿌리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8~10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줄기(창출) 3g, 인삼 뿌리3g, 벌꿀 1숟가락(10g)을 1회분 기준으로 함께 달여서 1일 2~3회 20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할 때 물을 마시지 않는다. 고등어, 고삼, 복령, 복숭아, 자두를 금한다. 땀이 많이 나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만성)
뿌리줄기(백출, 창출) 1kg, 사철쑥 온포기 1kg, 백복령 1kg을 함께 가루를 내어 환으로 하여 30알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3~4회 20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복용 중에 고등어, 복숭아, 자두, 참새고기를 금한다. 땀이 많이 나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뿌리줄기(백출, 창출) 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5~20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고등어, 복숭아, 자두, 참새고기를 금한다. 땀이 많이 나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열매(상수리) 25~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8~10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2kg과 사철쑥 2kg을 말려서 가루를 낸 다음 환으로 하여(녹두알 크기) 10~15알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 20~30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온포기(식용) 10~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어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열매송이(솔방울) 3~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만성)
솔잎 가루 2kg, 씨를 뺀 대추 60g, 찹쌀가루 60g, 벌꿀 40g을 함께 넣고 환제로 하여 30알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3~4회 1개월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뿌리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측백나무를 금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 5~7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5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복용 중에 측백나무를 금한다.
열매 2개를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7~8일 정도 복용한다.
나무껍질 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7~10일 정도 복용한다. 복통, 경련의 위험이 있으므로 기준량을 지킨다.
온포기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8~10일 정도 복용한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줄기 3~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남자가 20일 이상 장복하면 양기가 준다고 전해진다.(급성)
잎 300g, 삽주 뿌리줄기(백출, 창출) 300g, 고삼 300g을 함께 섞어서 산제나 환제로 하여 12~15알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 15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남자가 20일 이상 장복하면 양기가 준다고 전해진다.
온포기 4~5g을 1회분 기준으로 생즙을 내어 1일 2~3회 3~5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20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로 하여 꿀 1숟가락과 함께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급, 만성)
비늘줄기 2~3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씨 제거) 0.5~1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정도 복용한다. 기가 허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3회 이상 사용을 금한다.
양배추
온포기 40~60g을 1회분 기준으로 생즙을 내어 1일 2~3회 15일 정도 복용한다.
씨 7~9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씨 또는 비늘줄기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5일 정도 복용한다.(만성)
온포기 또는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7~8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7~10일 정도 복용한다.
나무껍질이나 열매 또는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5일 정도 복용한다.(급, 만성)
나무껍질 또는 열매 5g 정도를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열매와 율무쌀을 같은 비율로 섞어서 산제로 하여 1숟가락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 10일 정도 복용한다.
씨와 율무쌀을 볶아서 파와 함께 1일 3~4회 10일 정도 복용한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유산의 위험이 있으므로 임신부는 장복을 금한다.
뿌리 0.5~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회 10~15일 정도 식후에 복용한다. 복용 중에 지황(생지황, 건지황, 숙지황)을 금한다. 독성이 강하므로 기준량을 엄격히 지킨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불,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덜 익은 열매껍질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어 1일 2회 7~8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급, 만성)
율무쌀 25~30g 또는 뿌리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율무쌀을 삶아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유산의 위험이 있으므로 임신부는 장복을 금한다.
줄기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잎 5~6g 또는 씨 속알맹이 10~20개를 1회분 기준으로 잎을 달이거나 씨 속알맹이를 구워서 1일 2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잔가지 또는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급, 만성)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급, 만성)
뿌리(재배삼) 25~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3~5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복령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혈압이 높은 사람은 신중히 사용한다.
뿌리(재배삼) 8~10g, 꿀 30g, 물 200㎖를 1회분 기준으로 함께 넣고 반으로 달여서 1일 2회 10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고삼, 복령을 금한다. 혈압이 높은 사람은 신중히 사용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온포기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1~2g을 1회분 기준으로 환제로 하여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용담의 10배 이상 쓴 풀이다. 맛이 매우 쓰기 때문에 탕제로 만들지 않는다. 몹시 쓰지만 독성은 없다.
씨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달인 물만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줄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0~15일 정도 복용한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줄
햇싹 또는 햇줄기 30~3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10~15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나 뿌리 또는 씨 4~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정수고갈 증세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줄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씨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어 1일 2~3회 10~15일 정도 복용한다.
씨(검은깨) 20~2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0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감나무, 고욤나무를 금한다. 비위가 약하거나 풍증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참기름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1주일 정도, 급성에는 소주를 1/2잔 섞어서 3~4회 정도 마시고 만성에는 식사 30분 전 공복에 복용한다. 복용 중에 감나무, 고욤나무를 금한다. 비위가 약하거나 풍증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달걀 흰자위에 참기름을 섞어서 1/2숟가락을 1회분 기준으로 1주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복용 중에 감나무, 고욤나무를 금한다. 비위가 약하거나 풍증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뿌리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줄기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만성)
덩이줄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죽같이 쑤어서 1일 2~3회 10일 정도 복용한다.(급성)
뿌리줄기(토복령)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간장, 신장이 약하거나 정력이 부족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뿌리 4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8~10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살구 씨를 금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어 1일 2~3회 8~10일 정도 복용한다.
씨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1회분으로 10g 이상 복용하면 설사의 위험이 따르므로 기준량을 지킨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비늘줄기 3~4개를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복용 중에 대추, 맥문동, 백하수오를 금한다.(만성)
꽃 또는 열매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8~10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독성이 약간 있으므로 기준량을 지킨다.
뿌리를 말려 가루를 내어 2~3g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 15~20일 정도 식후에 복용한다. 독성이 약간 있으므로 기준량을 지킨다.
나무껍질 또는 열매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덩이뿌리 7~9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2일 정도 복용한다.(급성)
씨 20~25g 또는 잎 25~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양고기를 금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8~10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명아주, 모란, 살구 씨, 생강, 토란을 금한다.
황련
뿌리줄기 2~3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생강을 금한다. 비위가 허약하거나 조갈증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나무껍질 또는 열매 2g, 삽주 뿌리줄기(창출) 2g, 감초 2g, 솔잎 2g을 1회분 기준으로 함께 산제로 하여 1일 3회 2~3일 정도 식후 30분경에 복용한다.
열매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급, 만성)
잎이나 나무껍질 25~30g 또는 열매 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뼛가루 3~4g을 1회분 기준으로 물에 타서 1일 2~3회 2일 정도 복용한다.
뼛가루 4g과 흑설탕 4g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 8~10일 정도 복용한다.
벌꿀 10~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2일 정도 복용한다.
로열젤리 가루 10~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찬물을 금한다.
달걀 흰자위 1개와 검은깨 기름 1숟가락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3회 1주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만성) 과다 복용을 하면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아져 몸에 해롭다.
달걀껍질 2개분을 갈아서 식초 1㎖와 결명자 가루 10g을 1회분 기준으로 섞어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말린 계내금(닭 모이주머니 안쪽의 노란 막) 5~6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물에 타서 복용한다.
동충하초
통째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8~10일 정도 복용한다.
백반가루 0.5~1.5g과 꿀 5~6g을 1회분 기준으로 섞어서 1일 2~3회 10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통째 푹 고아서 1사발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회 3~4일 정도 복용한다.(만성)
술 1잔을 1회분 기준으로 2회 정도 마신다.(급성)
뿌리 4~6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12~15일 복용한다.
온포기 5~8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10~12일 복용한다.
온포기 10~15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8~10일 복용한다.
뿌리 10~15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7~8일 복용한다.
속줄기 25~30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7~8일 복용한다.
뿌리 8~10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10~12일 복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