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생양술처방: 간염(肝炎)

간염(肝炎) 의 익생양술 단방주침법 처방목차
15 건
술담기 : 1) 온포기 또는 뿌리에 약효가 있다.
           2) 여름에서 가을 사이에 채취하여 씻은 후, 생으로 또는 말려서 쓴다.
           3) 음지에서 말리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다.
           4) 생으로 쓸 경우는 210g, 건초는 180g을 소주 3.6ℓ에 넣어 밀봉한다.
           5) 4~6개월 정도 숙성시킨 다음 사용할 수 있으며, 18개월 숙성한 후에 찌꺼기를 걸러버리고 보관 사용한다.
맛은 쓰고 떫다. 흑설탕을 100g 정도 첨가할 수 있다. 독성은 없다.
소주잔 1잔을 1회분으로 1일 1~2회씩, 15~20일 정도 복용한다.
주의사항 : 1) 장복해도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가 되는대로 중단한다.
              2) 본 약술은 복용 중에 특히 가리는 음식은 없다.
술담기 : 1) 온포기 또는 뿌리에 약효가 있다.
           2) 여름에서 가을 사이에 채취하여 씻은 후, 생으로 또는 말려서 쓴다.
           3) 음지에서 말리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다.
           4) 생으로 쓸 경우는 210g, 건초는 180g을 소주 3.6ℓ에 넣고 밀봉한다.
           5) 4~6개월 정도 숙성시킨 다음 사용하며, 2년 정도 숙성한 후에 찌꺼기를 걸러버리고보관 사용한다.
맛은 쓰고 떫다. 흑설탕을 100g정도 가미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독성은 없다.
소주잔 1잔을 1회분으로 1일 1~2회씩, 15~20일 정도 복용한다.
주의사항 : 1) 장복해도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가 되는대로 금한다.
              2) 본 약술은 복용 중에 특별히 가리는 음식은 없다.
계뇨등
술담기 : 1) 약효는 온포기에 있다.
           2) 공해 없는 곳에서 채취하며, 적당한 크기로 잘라 깨끗이 씻은 후 말려서 사용한다.
           3) 생약 210g 건재 180g을 소주 3.6ℓ에 넣고 밀봉한다.
           4) 6~8개월 정도 숙성시킨 다음 사용하며, 2년 정도 숙성한 다음 찌꺼기를 걸러 버리고보관 사용한다.
맛은 시고 달다. 황설탕 100g 정도를 넣으면 술맛이 부드러워진다. 독성은 없다.
소주잔 1잔을 1회분으로 1일 1~2회씩, 20~25일 정도 복용한다.
주의사항 : 1) 장복해도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가 되는대로 금한다.
              2) 본 약술은 복용 중에 특별히 가리는 음식은 없다.
술담기 : 1) 뿌리나 온포기를 5월경에 채취하여 그대로 씻어 사용한다.
           2) 경우에 따라서 말린 뿌리는 210g, 생으로 쓸 경우는 260~280g을 소주 3.6ℓ에 넣고밀봉한다.
           3) 대개 6~7개월 숙성한 다음 찌꺼기는 버리고 보관 사용한다.
맛은 쓰다. 독성은 없다.
소주잔 1잔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15~20일 정도 복용한다.
주의사항 : 주의점 장기간 복용해도 무방하다.
술담기 : 1) 약효는 온포기에 있다. 7~8월에 채취한다.
           2) 온포기를 채취하여 깨끗이 씻어 말려서 사용한다.
           3) 말린 온포기 250g을 소주 3.6ℓ에 넣고 밀봉한다.
           4) 6~7개월 숙성한 다음 찌꺼기는 꺼내고 보관 사용한다.
맛은 시다. 독성은 없다.
소주잔 1잔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15~20일 정도 복용한다.
주의사항 : 주의점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가 되는대로 중단한다.
술담기 : 1) 약효는 온포기에 있다. 여름~가을에 채취한다.
           2) 온포기를 구입하여 깨끗이 씻어 말려 썰어서 사용한다.
           3) 말린 온포기 250g을 소주 3.6ℓ에 넣고 밀봉한다.
           4) 6~7개월 숙성한 후 찌꺼기는 걸러내고 보관 사용한다.
맛은 쓰고 맵다. 독성은 없다.
소주잔 1잔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15~20일 정도 복용한다.
주의사항 : 주의점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가 되는대로 중단한다.
술담기 : 1) 약효는 뿌리나 꽃에 있다. 꽃은 개화기에, 뿌리는 가을에 채취한다.
           2) 채취한 것은 물에 깨끗이 씻어 반쯤 말린 다음 사용한다.
           3) 뿌리는 230g, 꽃은 250g을 소주 3.6ℓ에 넣고 밀봉한다.
           4) 뿌리나 꽃을 6~8개월 숙성한 후 찌꺼기는 꺼내고 보관 사용한다.
맛은 쓰다. 독성은 없다.
소주잔 1잔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12~15일 정도 복용한다.
주의사항 : 주의점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가 되는대로 중단한다.
술담기 : 1) 약효는 뿌리와 잎에 있다. 가을~이듬해 봄에 채취한다.
           2) 주침에는 뿌리를 사용한다. 깨끗이 씻어 말려 썰어서 쓴다.
           3) 말린 뿌리 240g을 소주 3.6ℓ에 넣고 밀봉한다.
           4) 7~8개월 숙성한 후 찌꺼기는 걸러내고 보관 사용한다.
맛은 달다. 독성은 없다.
소주잔 1잔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10~12일 정도 복용한다.
주의사항 : 1)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가 되는대로 중단한다.
              2) 몸이 약한 자, 설사가 있을 시는 금한다.
              3) 몸에 열이 있을시는 금한다.
술담기 : 1) 약효는 잘 익은 열매에 있다.
           2) 10~11월경에 채취하여 씨를 제거하고 과육을 건조시킨다.
           3) 말린 과육 175g을 소주 3.6ℓ에 넣고 밀봉한다.
           4) 3~4개월 정도 숙성한 후 사용하며, 15개월 정도 숙성한 후에 찌꺼기를 걸러버리고보관 하용한다.
맛은 시고 약간 떫다. 황설탕 100g을 가미하여 쓰면 더욱 효과적이다. 독성은 없다.
소수잔 1잔을 1회분으로 1일 1~2회씩, 15~20일 정도 복용한다.
주의사항 : 1) 장복해도 해롭지는 않으나 씨까지 담근 술은 3일에 1일 정도 쉬어가며 복용하는 것이 좋다.
              2) 신맛이 강하므로 꿀을 150~200g 정도 타서 복용한다. 물은 곱으로 타서 복용하는 것이 좋다.
              3) 복용 중에는 도라지와 방기 등을 금하며, 소변부실자도 금한다.
술담기 : 1) 약효는 덩이뿌리(과근)에 있다.
           2) 덩이뿌리를 채취하여 물에 깨끗이 씻어 적당한 크기로 썰어 말린 다음 사용한다.
           3) 말린 덩이뿌리 180g을 소주 3.6ℓ에 넣고 밀봉한다.
           4) 8개월 이상 숙성한 후 사용하며 2년 정도 숙성한 후에 찌꺼기는 걸러내고 보관 사용한다.
맛은 달다. 다른 당류 등을 가미하지 않는다. 독성은 없다.
소주잔 1잔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25~30일 정도 복용한다.
주의사항 : 1) 치유가 되는대로 중단한다.
              2) 본 약술은 복용 중에 가리는 음식은 없다.
술담기 : 1) 약효는 온포기(전초) 또는 뿌리에 있다.
           2) 온포기나 뿌리를 채취하여 물에 깨끗이 씻어 온포기는 말려놓고 쓰며 뿌리는 생으로 쓰는 것이 효험이 있다.
           3) 말린 온포기 200g, 생뿌리 210g을 소주 3.6ℓ에 넣고 밀봉한다.
           4) 온포기는 3개월, 뿌리는 8개월 간 숙성한 후 사용하며 온포기는 1년, 뿌리는 18개월정도 숙성한 후에 찌꺼기는 걸러내고 보관 사용한다.
맛은 쓰다. 황설탕 100g을 가미할 수 있다. 독성은 없다.
소주잔 1잔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20~25일 정도 복용한다.
주의사항 : 주의점 여러 날 장복하여도 무방하다. 본 약술은 복용 중에 가리는 음식은 없다.
술담기 : 1) 약효는 뿌리나 꽃에 있다. 가을~이듬해 봄 사이에 채취한다.
           2) 주침에는 뿌리를 쓰며 깨끗이 씻어 말려 썰어 사용한다.
           3) 씻어 말린 뿌리 260g을 소주 3.6ℓ에 넣고 밀봉한다.
           4) 6~8개월 숙성한 후에 찌꺼기는 걸러내고 보관 사용한다.
맛은 맵다. 독성이 있다.
소주잔 반잔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15~20일 정도 복용한다.
주의사항 : 주의점 치유가 되는대로 중단한다.
술담기 : 1) 약효는 햇순이나 어린잎에 있다.
           2) 꽃이 피는 5월서부터 10월경까지 채취하여 깨끗이 물로 씻어 말린 것을 사용한다.
           3) 햇순이나 어린잎의 말린 것 180g을 소주 3.6ℓ에 넣고 밀봉한다.
           4) 3개월 이상 숙성한 후 사용하며 숙성한 후에 찌꺼기는 걸러내고 보관 사용한다.
맛은 쓰다. 황설탕 100g을 가미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독성이 있다.
소주잔 1잔을 1회분으로 1일 3~4회씩, 10~12일 정도 복용한다.
주의사항 : 1) 장복해도 해롭지 않으나 치유가 되는대로 중단한다.
              2) 본 약술은 복용 중에 가리는 음식은 없다.
술담기 : 1) 약효는 뿌리나 줄기에 있다. 가을~이듬해 봄에 채취한다.
           2) 술을 담글 때는 뿌리를 사용하며 잘 씻어 말려 썰어 사용한다.
           3) 말린 뿌리 260g을 소주 3.6ℓ에 넣고 밀봉한다.
           4) 6~8개월 숙성한 후에 찌꺼기는 걸러내고 보관 사용한다.
맛은 쓰다. 독성은 없다.
소주잔 1잔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12~15일 정도 복용한다.
주의사항 : 1)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가 되는대로 중단한다.
              2) 임산부는 금한다.
술담기 : 1) 약효는 나무껍질(10년 이상 묵은) 또는 뿌리껍질에 있다. 방향성이다.
           2) 구입한 뿌리나 나무껍질을 깨끗이 씻어 말려 썰어 사용한다.
           3) 뿌리나 나무껍질 모두 180g을 소주 3.6ℓ에 넣고 밀봉한다.
           4) 10개월 이상 숙성한 다음 사용하며 2년 정도 숙성한 후에 찌꺼기는 걸러내고 보관사용한다.
맛은 쓰다. 황설탕 150g을 가미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독성은 없다. 방향성이다.
소주잔 1잔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20~25일 정도 복용한다.
주의사항 : 장복해도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가 되는대로 중단한다. 본 약술은 복용 중에 가리는 음식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