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기능회복(肝機能回復)
의 익생양술 단방처방 처방목차
51 건
51 건
씨(결명자) 또는 잎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5~20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삼(대마)을 금한다.
씨(결명자) 9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0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삼(대마)을 금한다.
덩이뿌리 100~120g을 1회분 기준으로 굽거나 쪄서 1일 2회 15일 이상 복용한다. 치루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뿌리 2~3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회 4~6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갈퀴꼭두서니, 인삼, 여로를 금한다. 간장, 비장, 또는 신장이 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장복을 금한다.
온포기 5~10g 또는 익은 열매 80~100g을 1회분 기준으로 온포기를 달이거나 익은 열매를 날것으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를 말려서 가루를 내어 8~12g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 5일 정도 따뜻한 물에 타서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 3~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20~30g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 1주일 정도 날것으로 먹는다.
뿌리 300g과 사과나무 열매 200g을 1회분 기준으로 주스로 만들어 1일 2~3회 10일 이상 복용한다.
잔가지 또는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이상 복용한다.
잎 또는 나무껍질(15년 이상 된 나무)을 소금물에 하루 정도 담근 후 말려서 노랗게 볶아 가루를 내어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 10일 이상 복용한다. 신기가 허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나무껍질 20~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5일 이상 공복에 복용한다.
비늘줄기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구워서 1일 2~3회 1주일 이상 복용한다. 복용 중에 백하수오, 맥문동, 개고기를 금한다. 음기가 허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덜 익은 열매 8~10개를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이상 복용한다. 복용 중에 돼지고기를 금한다.
잔가지 또는 뿌리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이상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 10~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0~15일 정도 복용한다.
겉보리를 볶아 반 주먹을 1회분 기준으로 차로 달여서 매일 장복한다.
10~15g을 1회분 기준으로 통째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0일 이상 장복한다. 복용 중에 뽕나무, 오이풀, 인삼, 자라, 진범을 금한다. 신기나 음기가 허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잎 5~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1~2회 25일 이상 장복한다. 단, 맛이 약간 메스꺼워지므로 오래 달이지 않는다.
씨를 빼고 말린 열매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이상 복용한다. 복용 중 방기, 도라지를 금한다. 소변불리 증세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줄기 4~6g 또는 씨 2~3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0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모란을 금한다.
햇순 4~5g 또는 잎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5일 이상 복용한다.
적송의 송진 0.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0일 이상 복용한다.
온포기 2~3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0~15일 정도 복용한다. 독성이 있으므로 기준량과 사용법을 지킨다.
온포기 또는 비늘줄기 15~20g(1개 정도)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20일 정도 복용한다. 또는 날것으로 고추장이나 기타 식품과 함께 먹어도 좋다.
버섯 2~4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20일 이상 복용한다. 영지에 마를 반반씩 넣어 사용한다.
말린 열매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0일 정도 복용한다. 폐가 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뿌리 1.0~1.5g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회 8~10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지황을 금한다. 독성이 강하므로 기준량을 엄격히 지킨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불,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만성간장질환)
뿌리줄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8~10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또는 열매 8~9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비위가 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뿌리줄기 3~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0~15일 정도 복용한다. 과다 복용이나 장복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덩이뿌리(백하수오) 4~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5~20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개고기, 마늘, 무, 바닷물고기류, 쇠고기, 파를 금한다. 출혈증세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뿌리 4~6g 또는 익은 열매 40~6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20일 정도 복용한다. 익은 열매는 날것으로 먹어도 좋다.
열매를 여러 날 공복에 양껏 먹는다.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0~15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모란, 생강, 쇠무릎, 패모를 금한다. 설사 증세가 있거나 위한증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덩이뿌리(적하수오)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개고기, 겨우살이, 마늘, 무, 바닷물고기, 파를 금한다. 출혈증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껍질 벗긴 씨 속알맹이 20~2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회 20일 정도 달인 물과 씨를 함께 복용한다.
검은 개 1마리를 개소주로 만들어 복용한다. 복용 중에 마늘 비늘줄기를 금한다.
1마리를 1회분 기준으로 통째 푹 고아서 적당한 양념을 하여 반찬으로 1일 1~2회 20일 정도 거르지 않고 먹는다. 당뇨병, 심장병, 신장병이 있거나 알레르기 체질인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두드러기, 복통, 설사의 위험이 있다.
조갯살 400~500g을 1회분 기준으로 푹 고아서 소금으로 간을 하여 국물과 조갯살을 함께 1일 1~2회 10일 이상 장복한다. 간이 나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200~300g을 1회분 기준으로 통째 푹 고아서 파, 고추, 소금을 넣고 1일 1~2회 15일 이상 반찬으로 복용한다.
250~350g을 1회분 기준으로 통째 푹 삶아서 국물과 건더기를 함께 1일 2회 20일 정도 복용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알레르기 체질이나 두드러기가 잘 나는 사람, 혈압이 낮거나 위하수가 있거나 복냉통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조갯살 100g을 1회분 기준으로 푹 삶아서 국물과 조갯살을 함께 1일 1~2회 1개월 정도 공복에 장복한다.
뿔(녹용) 1~4g을 1회분 기준으로 따뜻한 물에 타서 1일 2회 10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황기를 금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150~250g을 1회분 기준으로 통째 푹 삶아서 국물과 조갯살을 1일 2~3회 15~20일 정도 복용한다.
흑설탕
흑설탕 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5일 이상 장복한다.
온포기 5~8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12~15일 복용한다.
호두알맹이 10~15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12~15일 복용한다.
전체 3~5마리를 1회분으로 1일 2~3회 15~20일 정도 탕전복용한다.
뿔 3~4g을 1회분으로 1일 2~3회 15~20일 정도 탕전복용한다.
재첩 적당량을 1회분으로 1일 2~3회 10~12일 정도 탕전복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