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비위(健脾胃)
의 익생양술 단방처방 처방목차
50 건
50 건
씨나 꽃 또는 뿌리줄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줄기 3~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덩이뿌리 6~9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5~6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씨 속알맹이 15~20개를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날것으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나무껍질(계피) 5~6g을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옻나무를 금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잔가지 또는 뿌리 8~9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를 말려서 가루를 내어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 5~7일 정도 따뜻한 물에 타서 복용한다.
줄기 또는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8~10g 또는 꽃 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0일 이상 복용한다.
씨 10~2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주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씨 15~20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뿌리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덩이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날것으로 1일 2~3회 10일 이상 복용한다.
씨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4~6일 정도 복용한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6년 이상 된 뿌리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이상 복용한다. 설사 증세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잔가지 또는 열매 6~9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잔가지를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줄기잎 또는 꽃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3~5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열매 반개와 생강 덩이줄기 2쪽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5일 정도 복용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 5g과 생강 덩이줄기 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고지혈증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반쯤 핀 꽃봉오리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열매나 잎 또는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5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콩깍지, 여로를 금한다.
덩이줄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1~2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양의 피, 해조류(김, 다시마, 미역, 바닷말, 서실, 청각, 파래)를 금한다.
껍질 벗긴 열매 35~50g을 1회분 기준으로 날것으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중풍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볏짚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2일 정도 복용한다. 단, 볏짚은 바싹 마르지 않은 것, 공해가 없는 것을 골라 깨끗이 씻어서 달여야 한다.
통째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뽕나무, 오이풀, 인삼, 진범, 자라를 금한다. 신기나 음기가 허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잎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3~4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고등어, 복숭아, 자두, 참새고기를 금한다. 땀이 많이 나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생강
덩이줄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당귀, 박쥐 똥, 하눌타리, 현삼, 황련을 금한다.
씨 10~15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4~6일 정도 복용한다.
염주
뿌리줄기 또는 씨 10~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5~6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온포기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율무쌀 25~30g 또는 뿌리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임신부는 20일 이상 장복하면 낙태의 위험이 따르므로 복용을 삼간다.
뿌리(재배삼) 25~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고삼, 백복령을 금한다. 고혈압이 있는 사람은 신중히 사용한다. 약재를 다룰 때 쇠붙이 도구(철)를 쓰지 않는다.
온포기 4~6g 또는 씨 3~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임산부는 복용을 금한다.
뿌리를 환제로 하여 40~60알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회 5~7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나 줄기잎 또는 열매 4~8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4~6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복용 중에 옻나무, 옻닭을 금한다. 두통이 있거나 위장이 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약재를 다룰 때 불을 쓰지 않는다.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5~6일 정도 복용한다.
잎, 열매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국화, 밀가루 음식, 소리쟁이, 참소리쟁이를 금한다.
온포기 또는 뿌리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생즙을 내어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줄기 또는 줄기 10~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6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씨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달걀기름(달걀을 프라이팬에 넣고 달구면 갈색 기름이 나온다) 2~3g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3회 2~3일 정도 복용한다.
말린 계내금(닭 모이주머니 안쪽의 노란 막) 가루 4~6g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3회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생식기(해구신) 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열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통째 약탕으로 하여 2회 정도 복용한다. 복용 중에 차조기를 금한다.
뼈 20~3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인 물을 1일 1~2회 4~5일 정도 복용한다.
뿌리 4~6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8~10일 복용한다.
온포기 3~5g을 1회분으로 1일 3~4회씩 식간으로 7~8일 복용한다.
덩이줄기 3~6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8~10일 복용한다.
뿌리 7~9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7~8일 복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