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장염(腎臟炎)
의 익생양술 단방처방 처방목차
46 건
46 건
[급성신장염]
뿌리 삶은 물로 목욕을 하면서 뿌리 생즙을 내어 1/2사발(1회용 종이컵 1컵 분량)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1~2회 2~3일 정도 복용한다.(부종이 심한 경우) 복용 중에 지황(생지황, 건지황, 숙지황)을 금한다.
[급성신장염]
잎 5~6개에 물 500㎖를 붓고 약간 삶아서 1일분으로 마신다. 부기가 심한 경우 2~3일 정도 복용한다. 진하게 삶으면 마시기가 쉽지 않다.
[급성신장염]
온포기 또는 뿌리 3~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회 10일 정도 식후에 복용한다. 독성이 있으므로 기준량을 지킨다.
[급성신장염]
수염 3g과 질경이 온포기 3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1~2회 3~5일 정도 달인 물을 마시면 특효가 있다. 정수고갈 증세가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만성신장염]
잔가지 또는 뿌리 6~9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5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만성신장염]
율무쌀 50g과 멥쌀 50g을 1회분 기준으로 죽을 쑤어 1일 3회 10일 정도 복용한다. 유산의 위험이 있으므로 임신부는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만성신장염]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5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만성신장염]
씨 40~45g을 1회분 기준으로 삶아서 소금과 설탕을 약간 넣은 뒤 삶은 물과 건더기를 함께 버무려 단팥죽을 만들어 1일 2회 10~15일 정도 복용한다. 신기가 허약하거나 폐가 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꽃무릇
[신장염 공통]
비늘줄기 0.2~0.3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회 10일 정도 식후에 복용한다. 독성이 강하므로 기준량을 엄격히 지킨다. 장복을 금한다.
[신장염 공통]
뿌리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5~20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신장염 공통]
뿌리 20~30g을 1회분 기준으로 갈아서 1일 2회 20일 정도 아침 공복이나 잠자리에 들기 전에 복용한다.
[신장염 공통]
나무껍질 또는 꽃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 15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땅비수리
[신장염 공통]
줄기 또는 잎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2~15일 정도 복용한다.
[신장염 공통]
온포기 또는 뿌리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5~20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신장염 공통]
온포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5일 정도 복용한다.
[신장염 공통]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0~15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신장염 공통]
잔가지 또는 뿌리 6~8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0~15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신장염 공통]
껍질 벗긴 열매(생밤) 25~35g을 1회분 기준으로 날것으로 또는 쪄서 1일 2회 15~20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중풍이 있는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신장염 공통]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0~15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신장염 공통]
나무속껍질 4~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5~20일 정도 복용한다.
[신장염 공통]
잔가지 또는 열매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잔가지를 산제로 하여 1일 2~3회 15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신장염 공통]
온포기 또는 뿌리 3~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회 10일 정도 식후에 복용한다.
[신장염 공통]
씨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생즙을 내어 1일 2회 10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신장염 공통]
열매 또는 열매껍질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0~15일 정도 복용한다.
[신장염 공통]
온포기 1~2g을 1회분 기준으로 환제로 하여 1일 2회 10~15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용담의 10배 이상 쓴 풀이다. 맛이 매우 쓰기 때문에 탕제로 만들지 않는다.
[신장염 공통]
온포기 4~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0~15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신장염 공통]
잎 또는 나무속껍질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5~20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신장염 공통]
뿌리줄기 10~12g을 1회분 기준으로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5~20일 정도 복용한다.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신장염 공통]
잎 또는 덜 익은 푸른 열매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 15~20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복용 중에 국화, 대황, 밀가루 음식, 소리쟁이, 참소리쟁이를 금한다.
[신장염 공통]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5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신장염 공통]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5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신장염 공통]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5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만성신장염)
[신장염 공통]
씨 40~45g을 1회분 기준으로 삶아서 설탕과 소금을 약간 넣은 뒤 삶은 물과 건더기를 함께 버무려 단팥죽을 만들어 1일 2~3회 10~15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신기가 허약하거나 폐가 약한 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신장염 공통]
온포기 또는 열매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온포기를 산제로 하여 1일 2~3회 10~15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신장염 공통]
온포기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3회 10~15일 정도 복용한다.
[신장염 공통]
계내금(닭 모이주머니 안쪽의 노란 막) 2~3마리분을 1회분 기준으로 삶아서 소금으로 간을 하여 1일 2~3회 15일 이상 장복한다.
[신장염 공통]
달걀 노른자위 2개분을 1회분 기준으로 1일 2회 15일 정도 공복에 복용한다. 과다 복용을 하면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아져 몸에 해롭다.
[신장염 공통]
통째 200~250g을 1회분 기준으로 국이나 찌개를 하여 끼니때마다 반찬으로 10일 이상 먹는다. 복용 중에 쇠간, 꿩고기, 사슴고기, 멧돼지고기, 형개를 금한다.(만성신장염)
[신장염 공통]
통째 200~250g을 1회분 기준으로 국이나 찌개를 하여 1일 2~3회 15일 정도 식사와 함께 먹는다.
[신장염 공통]
통째 150~200g을 1회분 기준으로 아욱국에 넣어 끼니때마다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중풍의 위험이 있으므로 20일 이상 장복을 금한다.
나무껍질 10~15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10~12일 복용한다.
뿌리 4~6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8~10일 복용한다.
뿌리 4~6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10~12일 복용한다.
온포기 4~6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10~12일 복용한다.
씨 10~12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15~20일 복용한다.
온포기 8~10g을 1회분으로 1일 2~3회씩 식간으로 8~20일 복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