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라틴명 | 
Paeoniae Radix Rubra |  
| 약재의 효능 | 
청열(淸熱)
 (열기를 성질이 차거나 서늘한 약으로 식히는 효능임)
 |  
 | 
양혈(凉血)
 (청열법(淸熱法)의 일종으로서, 혈분(血分)의 열사(熱邪)를 제거하는 치법.)
 |  
 | 
소종(消腫)
 (옹저(癰疽)나 상처가 부은 것을 가라앉히는 치료법임)
 |  
 | 
산어(散瘀)
 (어혈(瘀血)을 제거하는 효능임)
 |  
 | 
지통(止痛)
 (통증(痛症)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  
 | 
제번(除煩)
 (번조(煩躁)한 것을 제거하는 효능임)
 |  
| 작용부위 | 
간(肝)
 | 
| 성미 | 
산(酸)
, 양(凉)
 | 
| 약전기재 | 
중국약전
, 한국생약규격집
 | 
| 약재사용처방 | 
가감통성산(加減通聖散) / 
양매창(楊梅瘡)
 | 
 | 
가감통성환(加減通聖丸) / 
양매창(楊梅瘡)
 | 
 | 
가미소요산(加味逍遙散)[1] / 
타혈(唾血)
, 수혈(嗽血)
 | 
 | 
가미익모환(加味益母丸) / 
무자(無子)
 | 
 | 
가미패독산(加味敗毒散)[2] / 
온역(瘟疫)
, 온독발반(溫毒發斑)
 | 
 | 
갈근맥문동산(葛根麥門冬散) / 
반진(斑疹)
 | 
 | 
거풍제습탕(祛風除濕湯) / 
수족탄탄(手足癱瘓)
 | 
 | 
견비탕(蠲痺湯) / 
냉비(冷痺)
 | 
 | 
결명산(決明散) / 
예막(翳膜)
, 안목적종(眼目赤腫)
 | 
 | 
경효산(輕效散) / 
예막(翳膜)
, 안피물타당(眼被物打撞)
, 혈관동인(血灌瞳仁)
 | 
 | 
계령탕(桂苓湯) / 
혈분증(血分證)
 | 
 | 
계지도인탕(桂枝桃仁湯) / 
한산(寒疝)
 | 
 | 
계지작약탕(桂枝芍藥湯) / 
열학(熱瘧)
, 태양학(太陽瘧)
 | 
 | 
궁귀별갑산(芎歸鱉甲散) / 
노학(勞瘧)
 | 
 | 
귀출파징탕(歸朮破徵湯) / 
혈가(血瘕)
, 월경불통(月經不通)
 | 
 | 
기진탕(芪蔯湯) / 
황한(黃汗)
 | 
 | 
남엽산(藍葉散) / 
단독(丹毒)
 | 
 | 
내소승마탕(內消升麻湯) / 
부골저(附骨疽)
 | 
 | 
내소황련탕(內疏黃連湯) / 
옹저(癰疽)
 | 
 | 
내탁백렴산(內托白斂散) / 
담핵(痰核)
 | 
 | 
내탁복전산(內托復煎散) / 
음저(陰疽)
 | 
 | 
내탁천금산(內托千金散) / 
옹저(癰疽)
, 악창(惡瘡)
 | 
 | 
누로음자(漏蘆飮子) / 
악창(惡瘡)
, 부골저(附骨疽)
 | 
 | 
단삼고(丹蔘膏) / 
유옹궤후불렴(乳癰潰後不斂)
 | 
 | 
당귀산(當歸散)[1] / 
부인요혈(婦人尿血)
 | 
 | 
당귀수산(當歸鬚散) / 
혈결흉(血結胸)
, 타박상(打撲傷)
 | 
 | 
당귀음(當歸飮) / 
혈수(血嗽)
 | 
 | 
당귀음자(當歸飮子) / 
악창(惡瘡)
, 개선(疥癬)
 | 
 | 
당귀활혈탕(當歸活血湯) / 
혈울(血鬱)
, 기체(氣滯)
 | 
 | 
대고삼환(大苦蔘丸) / 
면창(面瘡)
, 염창(臁瘡)
 | 
 | 
대연교음(大連翹飮) / 
소아제창(小兒諸瘡)
 | 
 | 
도계당귀환(桃桂當歸丸) / 
산후요통(産後腰痛)
, 산후사한사열(産後乍寒乍熱)
 | 
 | 
도씨생지금련탕(陶氏生地芩連湯) / 
육혈(衄血)
 | 
 | 
도적원(導赤元) / 
소변불통(小便不通)
 | 
 | 
도적지유탕(導赤地楡湯) / 
혈리(血痢)
, 적리(赤痢)
 | 
 | 
동원탁리산(東垣托裏散) / 
위완옹(胃脘癰)
, 내저(內疽)
 | 
 | 
마황승마탕(麻黃升麻湯)[1] / 
상한육혈(傷寒衄血)
 | 
 | 
마황승마탕(麻黃升麻湯)[2] / 
구설(久泄)
 | 
 | 
만형자산(蔓荊子散) / 
이롱(耳聾)
, 이명(耳鳴)
 | 
 | 
목단피탕(牡丹皮湯)[2] / 
폐옹(肺癰)
 | 
 | 
목향산(木香散)[1] / 
활설(滑泄)
 | 
 | 
방풍당귀음자(防風當歸飮子) / 
하초열(下焦熱)
 | 
 | 
방풍통성산(防風通聖散)[1] / 
중풍열증(中風熱證)
 | 
 | 
백지탕(白芷湯) / 
풍치(風齒)
, 위열치통(胃熱齒痛)
 | 
 | 
보진탕(保眞湯) / 
유정(遺精)
, 골증(骨蒸)
, 조열(潮熱)
 | 
 | 
복령조혈탕(茯苓調血湯) / 
요혈(尿血)
 | 
 | 
복신탕(茯神湯)[2] / 
부인귀교(婦人鬼交)
, 언어섬란(言語譫亂)
 | 
 | 
부평산(浮萍散)[2] / 
개선(疥癬)
, 나창(癩瘡)
 | 
 | 
비방탈명산(秘方奪命散) / 
옹저(癰疽)
, 무명종독(無名腫毒)
 | 
 | 
비약환(脾約丸) / 
비약증(脾約證)
 | 
 | 
사간탕(射干湯)[2] / 
위완옹(胃脘癰)
 | 
 | 
사물용담탕(四物龍膽湯) / 
운예(雲翳)
, 목적종통(目赤腫痛)
 | 
 | 
사순청량음(四順淸凉飮) / 
혈열(血熱)
 | 
 | 
사양보음탕(瀉陽補陰湯) / 
음허화동(陰虛火動)
 | 
 | 
사위탕(瀉胃湯)[2] / 
위열치통(胃熱齒痛)
 | 
 | 
산치지황탕(山梔地黃湯) / 
타혈(唾血)
, 담수(痰嗽)
 | 
 | 
삼황패독산(三黃敗毒散) / 
양매창(楊梅瘡)
, 천포창(天疱瘡)
 | 
 | 
생료사물탕(生料四物湯) / 
소아제창(小兒諸瘡)
 | 
 | 
생서산(生犀散) / 
골증(骨蒸)
 | 
 | 
생지금련탕(生地芩連湯) / 
실혈현훈(失血眩暈)
 | 
 | 
생지황산(生地黃散) / 
안피물타당(眼被物打撞)
 | 
 | 
생지황탕(生地黃湯)[2] / 
태열(胎熱)
 | 
 | 
서각음자(犀角飮子) / 
이롱(耳聾)
, 농이(膿耳)
 | 
 | 
서각지황탕(犀角地黃湯) / 
토혈(吐血)
, 육혈(衄血)
 | 
 | 
서경탕(舒經湯) / 
견비통(肩臂痛)
 | 
 | 
서금산(瑞金散) / 
월경불통(月經不通)
 | 
 | 
석결명산(石決明散)[1] / 
선라풍(旋螺風)
, 해정(蟹睛)
 | 
 | 
석위산(石韋散) / 
임(淋)
 | 
 | 
선방활명음(仙方活命飮) / 
악창(惡瘡)
, 옹저(癰疽)
 | 
 | 
선복화탕(旋覆花湯) / 
산후천급(産後喘急)
 | 
 | 
선응고(善應膏)[1] / 
악창(惡瘡)
 | 
 | 
선응고(善應膏)[2] / 
악창(惡瘡)
 | 
 | 
섬료오림산(澹寮五淋散) / 
오림(五淋)
 | 
 | 
성산자(聖散子) / 
습온(濕溫)
, 풍온(風溫)
, 역려(疫癘)
 | 
 | 
세간명목탕(洗肝明目湯) / 
풍열(風熱)
, 안목적종(眼目赤腫)
 | 
 | 
세심산(洗心散) / 
중초열(中焦熱)
, 구설생창(口舌生瘡)
 | 
 | 
세안탕(洗眼湯) / 
목적종통(目赤腫痛)
 | 
 | 
소감패독산(消疳敗毒散) / 
하감창(下疳瘡)
 | 
 | 
소독탕(消毒湯) / 
두후옹절(痘後癰癤)
 | 
 | 
소방산(蘇方散) / 
변옹(便癰)
 | 
 | 
소어음(消瘀飮) / 
어혈복통(瘀血腹痛)
 | 
 | 
소조경산(小調經散) / 
산후부종(産後浮腫)
 | 
 | 
소풍패독산(消風敗毒散) / 
천포창(天疱瘡)
, 양매창(楊梅瘡)
 | 
 | 
소풍해독산(疎風解毒散) / 
편신생창(遍身生瘡)
 | 
 | 
소풍화담탕(疏風化痰湯) / 
나력(瘰癧)
 | 
 | 
소해산(消解散) / 
후류(喉瘤)
, 후균(喉菌)
 | 
 | 
승마탕(升麻湯)[1] / 
비사(鼻齄)
 | 
 | 
승마화기음(升麻和氣飮) / 
개선(疥癬)
 | 
 | 
시향산(柴香散) / 
징가(癥瘕)
, 비괴(痞塊)
 | 
 | 
시호궁귀탕(柴胡芎歸湯) / 
야발음학(夜發陰瘧)
 | 
 | 
시호사물탕(柴胡四物湯)[1] / 
삼음경온학(三陰經溫瘧)
 | 
 | 
시호사물탕(柴胡四物湯)[2] / 
산후발열(産後發熱)
 | 
 | 
시호승마탕(柴胡升麻湯)[2] / 
온역(瘟疫)
 | 
 | 
시호억간탕(柴胡抑肝湯) / 
과거독음치병(寡居獨陰致病)
 | 
 | 
시호연교탕(柴胡連翹湯) / 
발열(發熱)
, 상한섬어(傷寒譫語)
 | 
 | 
시호음자(柴胡飮子) / 
간실열(肝實熱)
 | 
 | 
시호탕(柴胡湯) / 
간화성목적종통(肝火盛目赤腫痛)
 | 
 | 
시호파어탕(柴胡破瘀湯)[1] / 
열입혈실(熱入血室)
, 축혈(畜血)
 | 
 | 
시호파어탕(柴胡破瘀湯)[2] / 
산후발열(産後發熱)
, 산후오로불하(産後惡露不下)
 | 
 | 
신기산(神奇散)[1] / 
반위(反胃)
, 열격(噎膈)
 | 
 | 
신선태을고(神仙太乙膏) / 
동창(凍瘡)
 | 
 | 
신수태을산(神授太乙散) / 
온역(瘟疫)
, 상한양감(傷寒兩感)
 | 
 | 
십미도적산(十味導赤散) / 
심열(心熱)
, 구설생창(口舌生瘡)
 | 
 | 
십신탕(十神湯)[1] / 
상한표증(傷寒表證)
 | 
 | 
십신탕(十神湯)[2] / 
온역(瘟疫)
 | 
 | 
쌍해산(雙解散)[1] / 
상한표리불해(傷寒表裏不解)
 | 
 | 
양독치자탕(陽毒梔子湯) / 
상한양독(傷寒陽毒)
 | 
 | 
양혈음(凉血飮)[2] / 
심옹(心癰)
 | 
 | 
양혈음(凉血飮)[3] / 
혈열생창(血熱生瘡)
 | 
 | 
양혈지황탕(凉血地黃湯)[3] / 
산후발열(産後發熱)
 | 
 | 
억음지황환(抑陰地黃丸) / 
과거독음치병(寡居獨陰致病)
 | 
 | 
연교음(連翹飮) / 
악창(惡瘡)
 | 
 | 
영선제통음(靈仙除痛飮) / 
역절풍(歷節風)
 | 
 | 
영양각산(羚羊角散)[3] / 
해정(蟹睛)
 | 
 | 
영위반혼탕(榮衛返魂湯) / 
발배(發背)
, 옹저(癰疽)
 | 
 | 
오금산(烏金散)[2] / 
산후오로부진(産後惡露不盡)
, 산후혈훈(産後血暈)
 | 
 | 
오림산(五淋散) / 
오림(五淋)
 | 
 | 
옥촉산(玉燭散)[2] / 
변옹(便癰)
 | 
 | 
용담탕(龍膽湯)[2] / 
소아기병(小兒鬾病)
 | 
 | 
운모고(雲母膏)[1] / 
나력(瘰癧)
, 골저(骨疽)
, 내저(內疽)
 | 
 | 
운모고(雲母膏)[2] / 
옹저(癰疽)
 | 
 | 
유향정통산(乳香定痛散) / 
상손동통(傷損疼痛)
 | 
 | 
유향진통산(乳香趂痛散) / 
좌섬요통(挫閃腰痛)
 | 
 | 
음학환(陰瘧丸) / 
해학(痎瘧)
, 야발음학(夜發陰瘧)
 | 
 | 
이활산(二活散) / 
정창(釘瘡)
 | 
 | 
인삼청기산(人蔘淸肌散) / 
골증(骨蒸)
, 무한(無汗)
 | 
 | 
인삼형개산(人蔘荊芥散)[2] / 
혈풍(血風)
 | 
 | 
인삼황기산(人蔘黃芪散) / 
폐허(肺虛)
 | 
 | 
입응산(立應散) / 
마도창(馬刀瘡)
, 나력(瘰癧)
 | 
 | 
자운풍환(紫雲風丸) / 
자운풍(紫雲風)
, 자전풍(紫癜風)
 | 
 | 
작약탕(芍藥湯)[2] / 
구창(口瘡)
 | 
 | 
저성탕(抵聖湯) / 
산후구토(産後嘔吐)
 | 
 | 
적복령탕(赤茯苓湯) / 
소장열(小腸熱)
 | 
 | 
적소두탕(赤小豆湯) / 
창개(瘡疥)
, 수종(水腫)
 | 
 | 
전생호골산(全生虎骨散) / 
중풍(中風)
, 반신불수(半身不遂)
 | 
 | 
정통산(定痛散)[2] / 
역절풍(歷節風)
 | 
 | 
조경탕(調經湯) / 
축혈(畜血)
 | 
 | 
조태산(罩胎散)[2] / 
임신두창(妊娠痘瘡)
 | 
 | 
죽엽황기탕(竹葉黃芪湯) / 
옹저번갈(癰疽煩渴)
 | 
 | 
증미도적산(增味導赤散) / 
혈림(血淋)
 | 
 | 
지모마황탕(知母麻黃湯) / 
상한괴증(傷寒壞症)
 | 
 | 
지유산(地楡散)[3] / 
혈리(血痢)
, 적리(赤痢)
 | 
 | 
지황산(地黃散)[1] / 
혼정장(混睛障)
 | 
 | 
창귤탕(蒼橘湯) / 
주습(酒濕)
 | 
 | 
천궁복령탕(川芎茯苓湯) / 
착비(着痺)
 | 
 | 
천금내소산(千金內消散) / 
장옹(腸癰)
, 유옹(乳癰)
, 옹저(癰疽)
 | 
 | 
천금누로탕(千金漏蘆湯) / 
발배(發背)
, 내저(內疽)
, 정창(釘瘡)
 | 
 | 
천금소독산(千金消毒散) / 
정창(釘瘡)
 | 
 | 
천화산(天花散)[2] / 
나력(瘰癧)
 | 
 | 
청뉵탕(淸衄湯) / 
육혈(衄血)
 | 
 | 
청단죽엽탕(淸膻竹葉湯) / 
옹저번갈(癰疽煩渴)
 | 
 | 
청심산(淸心散) / 
심옹(心癰)
 | 
 | 
청열사습탕(淸熱瀉濕湯) / 
습각기(濕脚氣)
 | 
 | 
청열소독음(淸熱消毒飮) / 
창양양증(瘡瘍陽證)
 | 
 | 
청열자음탕(淸熱滋陰湯) / 
요혈(尿血)
, 변혈(便血)
 | 
 | 
청열해기탕(淸熱解肌湯) / 
천행온역(天行瘟疫)
 | 
 | 
청열해독탕(淸熱解毒湯) / 
육혈(衄血)
, 토혈(吐血)
 | 
 | 
청장탕(淸腸湯) / 
요혈(尿血)
 | 
 | 
청폐산(淸肺散)[2] / 
목적종통(目赤腫痛)
 | 
 | 
청폐탕(淸肺湯)[1] / 
타혈(唾血)
 | 
 | 
청혈사물탕(淸血四物湯) / 
주사비(酒齄鼻)
, 비사(鼻齄)
 | 
 | 
청화자음탕(淸火滋陰湯) / 
타혈(唾血)
, 객혈(喀血)
, 토혈(吐血)
 | 
 | 
축어탕(逐瘀湯) / 
치(痔)
 | 
 | 
치자청간탕(梔子淸肝湯) / 
결핵(結核)
 | 
 | 
침향산(沈香散) / 
기림(氣淋)
 | 
 | 
침향음(沈香飮)[1] / 
기림(氣淋)
 | 
 | 
탈명환(奪命丸) / 
사태불하(死胎不下)
 | 
 | 
탕포산(湯泡散)[1] / 
화예(花瞖)
, 안적종통(眼赤腫痛)
 | 
 | 
탕포산(湯泡散)[2] / 
화예백함(花瞖白陷)
, 안적종통(眼赤腫痛)
 | 
 | 
태을고(太乙膏) / 
탕화상(燙火傷)
, 오발옹저(五發癰疽)
 | 
 | 
통령산(通靈散) / 
구종심통(九種心痛)
 | 
 | 
통명산(通明散) / 
두후생예막(痘後生瞖膜)
 | 
 | 
통성산가감법(通聖散加減法) / 
안병(眼病)
 | 
 | 
통초탕(通草湯)[2] / 
유즙불행(乳汁不行)
 | 
 | 
통혈환(通血丸) / 
혈관동인(血灌瞳仁)
 | 
 | 
퇴열탕(退熱湯) / 
야간발열(夜間發熱)
 | 
 | 
파혈단(破血丹) / 
설단(舌斷)
 | 
 | 
팔미흑신산(八味黑神散) / 
산후오로부진(産後惡露不盡)
, 혈훈(血暈)
 | 
 | 
해독금화산(解毒金花散) / 
농혈리(膿血痢)
 | 
 | 
해독탕(解毒湯)[2] / 
옹저(癰疽)
 | 
 | 
해울조위탕(解鬱調胃湯) / 
기울(氣鬱)
 | 
 | 
현호색산(玄胡索散) / 
혈결흉(血結胸)
 | 
 | 
형개연교탕(荊芥連翹湯)[2] / 
비연(鼻淵)
 | 
 | 
호박산(琥珀散)[3] / 
나력(瘰癧)
, 결핵(結核)
 | 
 | 
홍보고(洪寶膏) / 
독종(毒腫)
 | 
 | 
홍설통중산(紅雪通中散) / 
구창(口瘡)
, 중설(重舌)
 | 
 | 
홍화당귀산(紅花當歸散) / 
실녀월경불통(室女月經不通)
 | 
 | 
화류고(化瘤膏) / 
영류(瘿瘤)
 | 
 | 
화중음(和中飮) / 
적백리(赤白痢)
, 구리(久痢)
 | 
 | 
환기산(換肌散) / 
대풍창(大風瘡)
 | 
 | 
활혈산(活血散)[1] / 
도창상(刀槍傷)
 | 
 | 
황금탕(黃芩湯)[1] / 
비창(鼻瘡)
 | 
 | 
황기별갑산(黃芪鱉甲散) / 
노손(勞損)
, 허로(虛勞)
 | 
 | 
황련탕(黃連湯)[1] / 
설종(舌腫)
 | 
 | 
황련통성산(黃連通聖散) / 
비연(鼻淵)
 | 
 | 
황련해독탕(黃連解毒湯)[2] / 
번조(煩躁)
, 대열(大熱)
 | 
 | 
황룡탕(黃龍湯)[1] / 
임신상한(妊娠傷寒)
 | 
 | 
회춘양격산(回春凉膈散) / 
구설생창(口舌生瘡)
 | 
 | 
흑신산(黑神散)[3] / 
산후발열(産後發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