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틴명 |
Gardeniae Fructus |
약재의 효능 |
사화(瀉火)
(청법(淸法)에 속함. ‘화(火)’는 열(熱)이 심한 것으로, 사화하는 방법은 단순히 청열(淸熱)하는 약물보다는 맹렬하며, 화는 상염하는 성질이 있으므로 사화할 때는 반드시 하강하거나 사하(瀉下)하는 치법이 수반되어야 한다. 단, 화증에는 허실의 구분이 있어, 실화(實火)인 경우는 사열(瀉熱)하고, 허화(虛火)인 경우는 보수(補水)하는데, 사화는 실열화증(實熱火證)에 알맞은 치법으로 항상 청열(淸熱)과 사하(瀉下)하는 약물을 조합하여 그 열을 없애는, 즉.)
|
|
제번(除煩)
(번조(煩躁)한 것을 제거하는 효능임)
|
|
청열(淸熱)
(열기를 성질이 차거나 서늘한 약으로 식히는 효능임)
|
|
양혈(凉血)
(청열법(淸熱法)의 일종으로서, 혈분(血分)의 열사(熱邪)를 제거하는 치법.)
|
|
해독(解毒)
(독성(毒性)을 풀어주는 효능임)
|
|
명목(明目)
(눈을 밝게 하는 효능임)
|
|
지사(止瀉)
(설사(泄瀉)를 치료하는 효능임)
|
|
제열울(除熱鬱)
|
|
행결기(行結氣)
|
|
청위혈(淸胃血)
|
|
통소변(通小便)
(소변을 잘 나오게 하는 효능임)
|
|
사심폐삼초화(瀉心肺三焦火)
|
작용부위 |
삼초(三焦)
, 심(心)
, 폐(肺)
|
성미 |
고(苦)
, 한(寒)
|
약전기재 |
대한약전
, 중국약전
|
독성 |
It can inhibit gastric secretion and mobility.1).Mild; active, but toxicity appears very mild unless used for long time 2,3). 1) Huang, K.C., The pharmacology of Chinese herbs II, CRC press, 1999. 2)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3)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
약재사용처방 |
가감시령탕(加減柴苓湯) /
근산(筋疝)
|
|
가감양격산(加減凉膈散) /
상초열(上焦熱)
, 육경열(六經熱)
|
|
가감온담탕(加減溫膽湯) /
경계(驚悸)
, 정충(怔忡)
|
|
가감용회환(加減龍薈丸) /
담화이명(痰火耳鳴)
|
|
가미금화환(加味金花丸) /
삼초열(三焦熱)
|
|
가미사물탕(加味四物湯)[3] /
기궐두통(氣厥頭痛)
, 혈허두통(血虛頭痛)
|
|
가미소요산(加味逍遙散)[2] /
혈허(血虛)
, 도한(盜汗)
, 담수(痰嗽)
, 조열(潮熱)
|
|
가미월국환(加味越麴丸) /
울증(鬱證)
|
|
가미이진탕(加味二陳湯)[1] /
유정(遺精)
|
|
가미이진탕(加味二陳湯)[2] /
기담(氣痰)
, 매핵기(梅核氣)
|
|
가미이진탕(加味二陳湯)[4] /
매핵기(梅核氣)
|
|
가미통심음(加味通心飮) /
퇴산(㿉疝)
|
|
갈근탕(葛根湯) /
상한양독(傷寒陽毒)
|
|
갈출탕(葛朮湯) /
주달(酒疸)
|
|
강국산(羌菊散) /
두후생예막(痘後生瞖膜)
, 수명(羞明)
|
|
개울도기탕(開鬱導氣湯) /
복통(腹痛)
|
|
거담화환(祛痰火丸) /
애기(噯氣)
|
|
거풍지보단(祛風至寶丹) /
풍중장(風中臟)
, 혼모(昏冒)
|
|
과루기실탕(瓜蔞枳實湯)[1] /
울담(鬱痰)
|
|
과루기실탕(瓜蔞枳實湯)[2] /
담화치(痰火痓)
|
|
구풍고(驅風膏) /
급경풍(急驚風)
|
|
규화산(葵花散) /
열창(熱瘡)
|
|
금련반하탕(芩連半夏湯) /
오조(惡阻)
|
|
기제청신산(旣濟淸神散) /
중초열(中焦熱)
|
|
남엽산(藍葉散) /
단독(丹毒)
|
|
내소황련탕(內疏黃連湯) /
옹저(癰疽)
|
|
당귀강활탕(當歸羌活湯) /
오발옹저(五發癰疽)
|
|
당귀보혈탕(當歸補血湯)[4] /
경계(驚悸)
, 조잡(嘈雜)
, 정충(怔忡)
|
|
당귀연교음(當歸連翹飮) /
아주공(牙蛀孔)
|
|
대고삼환(大苦蔘丸) /
염창(臁瘡)
, 면창(面瘡)
|
|
대연교음(大連翹飮) /
소아제창(小兒諸瘡)
|
|
대황음자(大黃飮子) /
대변비결(大便秘結)
|
|
도씨도적각반탕(陶氏導赤各半湯) /
상한차후혼침(傷寒差後昏沈)
|
|
도씨생지금련탕(陶氏生地芩連湯) /
육혈(衄血)
|
|
도적원(導赤元) /
소변불통(小便不通)
|
|
만병사령산(萬病四苓散) /
화설(火泄)
|
|
명목유기음(明目流氣飮) /
유루(流淚)
, 간허예장(肝虛翳障)
|
|
방풍산(防風散)[2] /
열궐두통(熱厥頭痛)
|
|
방풍통성산(防風通聖散)[1] /
중풍열증(中風熱證)
|
|
방풍통성산(防風通聖散)[2] /
열풍(熱風)
|
|
보간산(保肝散) /
간일성이(看一成二)
, 내장(內障)
|
|
보정탕(保精湯) /
몽설(夢泄)
, 음허화동(陰虛火動)
|
|
보중탕(保中湯) /
담음구토(痰飮嘔吐)
|
|
복령삼습탕(茯苓渗濕湯) /
습열황달(濕熱黃疸)
|
|
복령탕(茯苓湯)[3] /
자종(子腫)
|
|
부연산(赴宴散)[3] /
구창(口瘡)
|
|
사간탕(射干湯)[2] /
위완옹(胃脘癰)
|
|
사궁산(莎芎散)[2] /
열심통(熱心痛)
|
|
사물안신탕(四物安神湯) /
정충(怔忡)
|
|
사백산우방(瀉白散又方) /
폐기상역(肺氣上逆)
|
|
사백탕(瀉白湯) /
대장실열(大腸實熱)
, 제복통(臍腹痛)
|
|
사위탕(瀉胃湯)[2] /
위열치통(胃熱齒痛)
|
|
사청환(瀉靑丸)[1] /
간기울결(肝氣鬱結)
|
|
사청환(瀉靑丸)[2] /
급경풍(急驚風)
, 축닉(搐搦)
|
|
사화청폐탕(瀉火淸肺湯) /
화천(火喘)
|
|
사황산(瀉黃散) /
비열(脾熱)
, 구취(口臭)
, 구창(口瘡)
|
|
산울탕(散鬱湯) /
식울(食鬱)
|
|
산치자산(山梔子散) /
담음(痰飮)
|
|
삼출음우방(蔘朮飮又方) /
전포(轉胞)
|
|
삼화탕(三和湯)[1] /
혈폐(血閉)
, 열결(熱結)
|
|
삼황탕(三黃湯)[1] /
구감(口甘)
|
|
삼황패독산(三黃敗毒散) /
양매창(楊梅瘡)
, 천포창(天疱瘡)
|
|
서시시탕(鼠屎豉湯) /
상한노복발열(傷寒勞復發熱)
|
|
서점자탕(鼠粘子湯)[1] /
농이(膿耳)
|
|
석결명산(石決明散)[1] /
해정(蟹睛)
, 선라풍(旋螺風)
|
|
선기산(宣氣散) /
소변불통(小便不通)
|
|
선화산(蟬花散)[1] /
예막(翳膜)
, 안목적종(眼目赤腫)
, 유루(流淚)
|
|
선화산(蟬花散)[2] /
예막(翳膜)
|
|
성반탕(星半湯) /
애기(噯氣)
|
|
세간명목탕(洗肝明目湯) /
안목적종(眼目赤腫)
, 풍열(風熱)
|
|
세간산(洗肝散) /
간실(肝實)
|
|
소반청대음(消斑靑黛飮) /
양독발반(陽毒發斑)
, 반진(斑疹)
|
|
소식청울탕(消食淸鬱湯) /
조잡(嘈雜)
|
|
소용회환(小龍薈丸) /
기울협통(氣鬱脇痛)
|
|
소적보중환(消積保中丸) /
비괴(痞塊)
|
|
소통성산(小通聖散) /
중풍열증(中風熱證)
|
|
소핵환(消核丸) /
경항결핵(頸項結核)
|
|
속효산(速效散)[1] /
예장(翳障)
|
|
순기화중탕(順氣和中湯)[2] /
구토(嘔吐)
, 반위(反胃)
, 조잡(嘈雜)
|
|
시호기각탕(柴胡枳殼湯) /
임신상한(妊娠傷寒)
|
|
시호억간탕(柴胡抑肝湯) /
과거독음치병(寡居獨陰致病)
|
|
시호청간탕(柴胡淸肝湯) /
발저(發疽)
|
|
시호탕(柴胡湯) /
간화성목적종통(肝火盛目赤腫痛)
|
|
신선기제단(神仙旣濟丹) /
오로(五勞)
, 칠상(七傷)
|
|
십회산(十灰散)[1] /
객혈(喀血)
, 수혈(嗽血)
, 구혈(嘔血)
, 토혈(吐血)
|
|
십회산(十灰散)[2] /
허로(虛勞)
|
|
쌍해산(雙解散)[1] /
상한표리불해(傷寒表裏不解)
|
|
양격산(凉膈散) /
구설생창(口舌生瘡)
, 적열(積熱)
|
|
양독치자탕(陽毒梔子湯) /
상한양독(傷寒陽毒)
|
|
양혈사물탕(養血四物湯) /
조잡(嘈雜)
|
|
양혈음(凉血飮)[2] /
심옹(心癰)
|
|
억청명목탕(抑靑明目湯) /
임신안병(妊娠眼病)
|
|
연교산(連翹散) /
면상잡병(面上雜病)
|
|
연교음(連翹飮) /
악창(惡瘡)
|
|
연라환(連蘿丸) /
비괴(痞塊)
, 현훈(眩暈)
, 조잡(嘈雜)
|
|
영양각산(羚羊角散)[2] /
검경정동(瞼硬睛疼)
|
|
영양각환(羚羊角丸) /
녹풍내장(綠風內障)
|
|
오리대황탕(五利大黃湯) /
옹저(癰疽)
|
|
오매탕(烏梅湯)[1] /
상한허번(傷寒虛煩)
|
|
오회산(五灰散) /
혈붕(血崩)
, 실혈(失血)
|
|
온청음(溫淸飮) /
오색대하(五色帶下)
|
|
용뇌음자(龍腦飮子) /
상초열(上焦熱)
, 인후종통(咽喉腫痛)
|
|
용담탕(龍膽湯)[1] /
이롱(耳聾)
|
|
용호탕(龍虎湯) /
열학(熱瘧)
|
|
월국보화환(越麴保和丸) /
울증(鬱證)
|
|
월국환(越麴丸) /
울증(鬱證)
|
|
육울탕(六鬱湯)[2] /
육울(六鬱)
|
|
음허생내열탕(陰虛生內熱湯) /
음허화동(陰虛火動)
|
|
이모영수탕(二母寧嗽湯) /
식적수(食積嗽)
|
|
익기양신탕(益氣養神湯) /
상한노복발열(傷寒勞復發熱)
|
|
인삼복령산(人蔘茯苓散) /
신소(腎消)
|
|
인삼사폐탕(人蔘瀉肺湯)[1] /
폐실열(肺實熱)
|
|
인삼사폐탕(人蔘瀉肺湯)[2] /
열수(熱嗽)
|
|
인진대황탕(茵蔯大黃湯) /
상한황달(傷寒黃疸)
|
|
인진사황탕(茵蔯瀉黃湯) /
온황(瘟黃)
|
|
인진산(茵蔯散) /
황달(黃疸)
|
|
인진삼물탕(茵蔯三物湯) /
소변불리(小便不利)
, 황달(黃疸)
|
|
인진치자탕(茵蔯梔子湯) /
곡달(穀疸)
|
|
인진탕(茵蔯湯) /
곡달(穀疸)
|
|
인진호탕(茵蔯蒿湯) /
상한발황(傷寒發黃)
|
|
인진환(茵蔯丸) /
장학(瘴瘧)
, 온역(瘟疫)
, 황달(黃疸)
|
|
입효산(立效散)[8] /
하초열(下焦熱)
|
|
자신명목탕(滋腎明目湯) /
혈소신로(血少神勞)
, 신허내장(腎虛內障)
|
|
자음청위환(滋陰淸胃丸) /
위열치통(胃熱齒痛)
|
|
작약탕(芍藥湯)[2] /
구창(口瘡)
|
|
장달환(瘴疸丸) /
역려발황(疫癘發黃)
, 시행황병(時行黃病)
|
|
쟁공산(爭功散) /
열학(熱瘧)
|
|
전설고(轉舌膏) /
중풍불어(中風不語)
|
|
제생인진탕(濟生茵蔯湯) /
역려발황(疫癘發黃)
|
|
주사양격환(朱砂凉膈丸) /
상초열(上焦熱)
|
|
증미이진탕(增味二陳湯) /
탄산(呑酸)
|
|
지유산(地楡散)[4] /
농혈리(膿血痢)
|
|
청객탕(淸喀湯) /
객혈(喀血)
|
|
청기선풍산(淸氣宣風散) /
중풍열증(中風熱證)
|
|
청기화담환(淸氣化痰丸)[1] /
열담(熱痰)
|
|
청뉵탕(淸衄湯) /
육혈(衄血)
|
|
청량산(淸凉散)[1] /
수하심예(水瑕深翳)
, 빙예(氷翳)
|
|
청량산(淸凉散)[2] /
인후종통(咽喉腫痛)
, 실화(實火)
|
|
청상방풍탕(淸上防風湯) /
절풍(癤風)
, 두면창(頭面瘡)
|
|
청신양영탕(淸神養榮湯) /
두목불청(頭目不淸)
|
|
청심보혈탕(淸心補血湯) /
경계(驚悸)
|
|
청심탕(淸心湯) /
상초열(上焦熱)
|
|
청열이진탕(淸熱二陳湯) /
담음구토(痰飮嘔吐)
|
|
청열자음탕(淸熱滋陰湯) /
요혈(尿血)
, 변혈(便血)
|
|
청열해독탕(淸熱解毒湯) /
토혈(吐血)
, 육혈(衄血)
|
|
청울산(淸鬱散) /
위심통(胃心痛)
|
|
청위탕(淸胃湯) /
아상종통(牙床腫痛)
, 치근동요(齒根動搖)
|
|
청인이격산(淸咽利膈散) /
유아(乳蛾)
, 후폐(喉閉)
|
|
청장탕(淸腸湯) /
요혈(尿血)
|
|
청장탕(淸臟湯) /
변혈(便血)
|
|
청폐음자(淸肺飮子) /
비사(鼻齄)
|
|
청폐탕(淸肺湯)[1] /
타혈(唾血)
|
|
청폐탕(淸肺湯)[2] /
구수(久嗽)
, 담수(痰嗽)
|
|
청해탕(淸咳湯) /
해혈(咳血)
|
|
청화탕(淸火湯) /
삼초열(三焦熱)
|
|
청화화담탕(淸火化痰湯) /
담궐(痰厥)
, 담결(痰結)
|
|
청화활담환(淸火豁痰丸) /
울담(鬱痰)
|
|
치시감초탕(梔豉甘草湯) /
상한허번(傷寒虛煩)
|
|
치시기실탕(梔豉枳實湯) /
상한노복발열(傷寒勞復發熱)
|
|
치시기황탕(梔豉枳黃湯) /
상한식복(傷寒食復)
, 발열(發熱)
|
|
치시생강탕(梔豉生薑湯) /
상한허번(傷寒虛煩)
|
|
치시탕(梔豉湯) /
흉격비민(胸膈痞悶)
|
|
치오심열일방(治五心熱一方) /
오심번열(五心煩熱)
|
|
치자(梔子)[1] /
심열(心熱)
|
|
치자(梔子)[2] /
소장열(小腸熱)
|
|
치자(梔子)[3] /
대장열(大腸熱)
, 소장열(小腸熱)
|
|
치자(梔子)[4] /
열림(熱淋)
, 혈림(血淋)
|
|
치자(梔子)[5] /
위열심통(胃熱心痛)
|
|
치자(梔子)[6] /
흉격번조(胸膈煩燥)
|
|
치자(梔子)[7] /
상한노복발열(傷寒勞復發熱)
, 상한발열(傷寒發熱)
|
|
치자(梔子)[8] /
삼초화(三焦火)
, 심열(心熱)
|
|
치자(梔子)[9] /
식달(食疸)
|
|
치자금화환(梔子金花丸) /
삼초열(三焦熱)
|
|
치자대청탕(梔子大靑湯)[1] /
반진(斑疹)
, 임신상한(妊娠傷寒)
|
|
치자대청탕(梔子大靑湯)[2] /
온독발반(溫毒發斑)
, 임신상한(妊娠傷寒)
|
|
치자대황탕(梔子大黃湯) /
주달(酒疸)
|
|
치자시탕(梔子豉湯) /
상한허번(傷寒虛煩)
|
|
치자죽여탕(梔子竹茹湯) /
건구(乾嘔)
, 위열(胃熱)
, 오심(惡心)
|
|
치자청간탕(梔子淸肝湯) /
결핵(結核)
|
|
치자후박탕(梔子厚朴湯) /
상한번조(傷寒煩躁)
|
|
침사환(鍼砂丸) /
주달(酒疸)
, 곡달(穀疸)
|
|
통명이기탕(通明利氣湯) /
담화이명(痰火耳鳴)
|
|
통성산가감법(通聖散加減法) /
안병(眼病)
|
|
퇴황산(退黃散) /
황달(黃疸)
|
|
투빙단(透氷丹) /
중풍열증(中風熱證)
, 탄탄(癱瘓)
, 중풍(中風)
|
|
팔정산(八正散) /
융폐(癃閉)
|
|
평간순기보중환(平肝順氣保中丸) /
조잡(嘈雜)
, 탄산(呑酸)
|
|
필효산(必效散)[2] /
황달(黃疸)
|
|
해독사물탕(解毒四物湯) /
붕루(崩漏)
|
|
해독탕(解毒湯)[1] /
장독(臟毒)
|
|
해독환(解毒丸)[1] /
경계(驚悸)
, 창양(瘡瘍)
|
|
해백탕(薤白湯)[1] /
상한소음병(傷寒少陰病)
|
|
해울조위탕(解鬱調胃湯) /
기울(氣鬱)
|
|
해울화중탕(解鬱和中湯) /
흉비통(胸痞痛)
|
|
해척촉독일방(解躑躅毒一方) /
척촉독(躑躅毒)
|
|
형개연교탕(荊芥連翹湯)[1] /
이롱(耳聾)
|
|
형개연교탕(荊芥連翹湯)[2] /
비연(鼻淵)
|
|
홍설통중산(紅雪通中散) /
중설(重舌)
, 구창(口瘡)
|
|
화담청화탕(化痰淸火湯) /
조잡(嘈雜)
|
|
환골산(換骨散) /
천포창(天疱瘡)
|
|
황금탕(黃芩湯)[1] /
비창(鼻瘡)
|
|
황금탕(黃芩湯)[3] /
상초열(上焦熱)
|
|
황금탕(黃芩湯)[4] /
상소(上消)
|
|
황련계자탕(黃連鷄子湯) /
상한소음병(傷寒少陰病)
|
|
황련아교탕(黃連阿膠湯)[1] /
농혈리(膿血痢)
|
|
황련탕(黃連湯)[1] /
설종(舌腫)
|
|
황련통성산(黃連通聖散) /
비연(鼻淵)
|
|
황련해독탕(黃連解毒湯)[1] /
상한대열(傷寒大熱)
, 상한번조(傷寒煩躁)
|
|
황련해독탕(黃連解毒湯)[2] /
대열(大熱)
, 번조(煩躁)
|
|
회춘양격산(回春凉膈散) /
구설생창(口舌生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