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틴명 |
Alpiniae Katsumadaii Semen |
약재의 효능 |
건비(健脾)
(비(脾)가 허(虛)한 것을 보(補)하여 운화기능(運化機能)이 약화된 것을 치료하는 방법)
|
|
온중(溫中)
(중초(中焦)를 따뜻하게 하는 효능임)
|
|
산한(散寒)
(한사(寒邪)를 없애는 효능임)
|
|
조습(燥濕)
(고조(苦燥)한 약물로 습사(濕邪)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중초습증(中焦濕證)에 적용.)
|
|
개울(開鬱)
(막힌 것을 열어주는 효능임)
|
|
파기(破氣)
(기기(氣機)의 소통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울결, 적체된 기(氣)를 풀어주는 치법.)
|
|
지구(止嘔)
(구역(嘔逆)을 멈추게 하는 효능임)
|
|
해독(解毒)
(독성(毒性)을 풀어주는 효능임)
|
|
거한습울체(祛寒濕鬱滯)
|
작용부위 |
비(脾)
, 위(胃)
|
성미 |
신(辛)
, 온(溫)
|
약전기재 |
중국약전
, 한국생약규격집
|
주의사항 |
철기(鐵器)를 쓰지 말 것. |
약재사용처방 |
가감백통탕(加減白通湯) /
제복냉통(臍腹冷痛)
, 고냉(痼冷)
|
|
가미기출환(加味枳朮丸) /
위심통(胃心痛)
, 식적(食積)
|
|
갈초산(蝎梢散)[1] /
치통(齒痛)
|
|
강활산(羌活散) /
치근동요(齒根動搖)
, 풍랭치통(風冷齒痛)
, 치아탈락(齒牙脫落)
|
|
개회산(開懷散) /
비괴(痞塊)
|
|
계향산(桂香散)[2] /
한복통(寒腹痛)
|
|
관중진식환(寬中進食丸) /
불사식(不思食)
, 내상비위증(內傷脾胃證)
|
|
광출궤견탕(廣朮潰堅湯) /
복창(腹脹)
, 중만(中滿)
, 대소변불통(大小便不通)
|
|
교해음(交解飮) /
한학(寒瘧)
|
|
균기환(均氣丸) /
애기(噯氣)
|
|
당귀용담산(當歸龍膽散) /
치통(齒痛)
|
|
마황창출탕(麻黃蒼朮湯) /
야수(夜嗽)
|
|
목향견현환(木香見睍丸) /
상식(傷食)
|
|
목향순기탕(木香順氣湯) /
진창(䐜脹)
|
|
목향화체탕(木香化滯湯) /
상식(傷食)
, 심하비만(心下痞滿)
|
|
반하후박탕(半夏厚朴湯) /
창만(脹滿)
|
|
부양조위탕(扶陽助胃湯) /
냉심통(冷心痛)
|
|
부자온중탕(附子溫中湯) /
한설(寒泄)
|
|
성비음자(醒脾飮子) /
한학(寒瘧)
, 자학(子瘧)
|
|
성산자(聖散子) /
역려(疫癘)
, 습온(濕溫)
, 풍온(風溫)
|
|
세신산(細辛散) /
치통(齒痛)
|
|
승마부자탕(升麻附子湯) /
면한(面寒)
|
|
승마위풍탕(升麻胃風湯) /
면종(面腫)
, 위풍(胃風)
|
|
승양순기탕(升陽順氣湯)[1] /
노기상간(怒氣傷肝)
, 전광(癲狂)
|
|
승양순기탕(升陽順氣湯)[2] /
내상(內傷)
, 중기부족(中氣不足)
, 노권(勞倦)
|
|
신성복기탕(神聖復氣湯) /
신심통(腎心痛)
|
|
쌍해음자(雙解飮子) /
장학(瘴瘧)
, 한학(寒瘧)
|
|
인진부자건강탕(茵蔯附子乾薑湯) /
음황(陰黃)
|
|
정향안위탕(丁香安胃湯) /
위한건구(胃寒乾嘔)
|
|
중만분소탕(中滿分消湯) /
중만(中滿)
, 한창(寒脹)
|
|
초두구(草豆蔲) /
심복냉통(心腹冷痛)
|
|
초두구환(草豆蔲丸) /
심흉통(心胸痛)
|
|
충화보기탕(沖和補氣湯) /
마목(麻木)
|
|
후박온중탕(厚朴溫中湯) /
한복통(寒腹痛)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