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틴명 |
Trichosanthis Semen |
약재의 효능 |
윤폐(潤肺)
(폐(肺)를 적셔주는 효능임)
|
|
화담(化痰)
(담(痰)을 삭이는 방법을 말함)
|
|
활장(滑腸)
(장(腸)을 윤활하게 하여 대변을 잘 보게 하는 효능임)
|
|
통변(通便)
(변이 막혀 나오지 않는 것을 소통시키는 효능임)
|
|
사화(瀉火)
(청법(淸法)에 속함. ‘화(火)’는 열(熱)이 심한 것으로, 사화하는 방법은 단순히 청열(淸熱)하는 약물보다는 맹렬하며, 화는 상염하는 성질이 있으므로 사화할 때는 반드시 하강하거나 사하(瀉下)하는 치법이 수반되어야 한다. 단, 화증에는 허실의 구분이 있어, 실화(實火)인 경우는 사열(瀉熱)하고, 허화(虛火)인 경우는 보수(補水)하는데, 사화는 실열화증(實熱火證)에 알맞은 치법으로 항상 청열(淸熱)과 사하(瀉下)하는 약물을 조합하여 그 열을 없애는, 즉.)
|
|
청인(淸咽)
(열로 인해 목구멍이 붓고 아프고 건조해지는 증상을 다스리는 효능임)
|
|
지혈(止血)
(출혈(出血)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
|
생진(生津)
(진액을 자양하는 약물을 사용하여 고열 등의 원인으로 인한 진액 손상을 치료하는 방법.)
|
|
지갈(止渴)
(갈증을 그치게하는 효능임)
|
|
통유(通乳)
(유즙을 소통시켜 잘 나오게 하는 효능임)
|
|
소종(消腫)
(옹저(癰疽)나 상처가 부은 것을 가라앉히는 치료법임)
|
작용부위 |
대장(大腸)
, 위(胃)
, 폐(肺)
|
성미 |
감고(甘苦)
, 한(寒)
|
약전기재 |
중국약전
|
주의사항 |
오두(烏頭) 종류의 약재와 같이 쓰지 말 것. |
독성 |
This herb is a potent immunosuppressant and irritative agent. Overdosage can cause a rise in body temperature, extreme malaise, sore throat, and severe headache. Hypersensitivity to the herb produces symptoms of itching, rash, local swelling, and irritation, especially after parenteral injection. The herb is eliminated mainly by renal excretion and partially by hepatic metabolism. Overdosage may cause renal and hepatic damage.1). Not to be used during pregnancy 2). Herb causes allergic reaction 3). Mild; active, but toxicity appears very mild unless used for long time 4,5). 1) Huang, K.C., The pharmacology of Chinese herbs II, CRC press, 1999. 2) AHPA Safety & Labeling Guideliness SubCommittee;Michael McGuffin, Chair; Christopher Hobbs, L.Ac; and Roy Upton. 3) Chang H.M. et al., Advances in chinese medicinal research, world scientific pub. Co., Singapore, 117, 1984. 4)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5)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
약재사용처방 |
가감도담탕(加減導痰湯) /
중풍불어(中風不語)
|
|
가려륵환(訶黎勒丸)[2] /
울수(鬱嗽)
|
|
가미기출환(加味枳朮丸) /
식적(食積)
, 위심통(胃心痛)
|
|
가미지패산(加味芷貝散) /
유옹(乳癰)
|
|
가미함흉탕(加味陷胸湯) /
흉비통(胸痞痛)
|
|
과루기각탕(瓜蔞枳殼湯) /
담울(痰鬱)
|
|
과루기실탕(瓜蔞枳實湯)[2] /
담화치(痰火痓)
|
|
과루산(瓜蔞散) /
유옹(乳癰)
|
|
과루실환(瓜蔞實丸)[1] /
흉비통(胸痞痛)
|
|
과루인(瓜蔞仁) /
노담(老痰)
, 주담(酒痰)
, 조담(燥痰)
, 열담(熱痰)
|
|
과루행련환(瓜蔞杏連丸) /
주담수(酒痰嗽)
|
|
귤엽산(橘葉散) /
유옹(乳癰)
, 유방결핵(乳房結核)
|
|
기축이진탕(枳縮二陳湯) /
관격(關格)
|
|
내탁백렴산(內托白斂散) /
담핵(痰核)
|
|
당귀양혈탕(當歸養血湯) /
열격(噎膈)
|
|
대나조환(大蘿皂丸) /
기천(氣喘)
, 담천(痰喘)
|
|
대조중탕(大調中湯) /
열담(熱痰)
|
|
대황목단탕(大黃牧丹湯) /
장옹(腸癰)
|
|
도씨도담탕(陶氏導痰湯) /
담미심규(痰迷心竅)
|
|
반과환(半瓜丸) /
담수(痰嗽)
|
|
봉강환(蜂薑丸) /
주수(酒嗽)
|
|
사자조중탕(四子調中湯) /
담연옹성(痰涎壅盛)
, 반위(反胃)
, 대소변불리(大小便不利)
|
|
산치지황탕(山梔地黃湯) /
타혈(唾血)
, 담수(痰嗽)
|
|
상하분소도기탕(上下分消導氣湯) /
기울(氣鬱)
|
|
생혈윤부음(生血潤膚飮) /
조증(燥證)
|
|
소나조환(小蘿皂丸) /
구천(久喘)
|
|
소독음(消毒飮)[2] /
변독(便毒)
|
|
소조중탕(小調中湯) /
열담(熱痰)
|
|
소핵환(消核丸) /
경항결핵(頸項結核)
|
|
시경반하탕(柴梗半夏湯) /
흉비통(胸痞痛)
|
|
시함탕(柴陷湯) /
열실결흉(熱實結胸)
|
|
시호연교탕(柴胡連翹湯) /
발열(發熱)
, 상한섬어(傷寒譫語)
|
|
억담환(抑痰丸) /
울담(鬱痰)
|
|
윤폐환(潤肺丸)[2] /
노수(勞嗽)
, 건수(乾嗽)
|
|
이모영수탕(二母寧嗽湯) /
식적수(食積嗽)
|
|
이중활담탕(理中豁痰湯) /
열담(熱痰)
|
|
절제화담환(節齊化痰丸) /
울담(鬱痰)
, 노담(老痰)
|
|
정력산(葶藶散) /
폐옹(肺癰)
, 천급(喘急)
|
|
천금내소산(千金內消散) /
옹저(癰疽)
, 장옹(腸癰)
, 유옹(乳癰)
|
|
청격창사환(淸膈蒼莎丸) /
기체흉비(氣滯胸痞)
|
|
청금강화탕(淸金降火湯) /
화울수(火鬱嗽)
|
|
청기화담환(淸氣化痰丸)[2] /
식적(食積)
, 주적(酒積)
, 담음(痰飮)
|
|
청담순기탕(淸痰順氣湯) /
중풍구안와사(中風口眼喎斜)
|
|
청담환(淸痰丸) /
조잡(嘈雜)
, 탄산(呑酸)
|
|
청열도담탕(淸熱導痰湯)[1] /
열담(熱痰)
|
|
청화화담탕(淸火化痰湯) /
담결(痰結)
, 담궐(痰厥)
|
|
통천유풍탕(通天愈風湯) /
구안와사(口眼喎斜)
, 유연(流涎)
|
|
통치성음약일방(通治聲音藥一方) /
성아(聲啞)
, 건해(乾咳)
, 건수(乾嗽)
|
|
파울단(破鬱丹) /
부인애기(婦人촟氣)
|
|
해청환(海靑丸)[2] /
화수(火嗽)
|
|
향부환(香附丸) /
식적수(食積嗽)
|
|
활혈윤조생진음(活血潤燥生津飮) /
소갈(消渴)
|
|
황과루환(黃瓜蔞丸) /
식적담수(食積痰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