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틴명 |
Schizonepetae Spica |
약재의 효능 |
해표(解表)
(인체의 가장 바깥 즉, 피부에 맺힌 사기(邪氣)를 풀어주는 효능임)
|
|
산풍(散風)
(풍사(風邪)를 흩뜨리는 효능임)
|
|
투진(透疹)
(진독(疹毒)을 배설시켜 진자(疹子)가 쉽게 나오게 하는 치료법임)
|
|
이혈(理血)
(혈(血)을 통하게 하는 효능임)
|
|
파적(破積)
(몸 안의 적취(積聚)를 깨트리는 효능임)
|
|
산어(散瘀)
(어혈(瘀血)을 제거하는 효능임)
|
|
소식(消食)
(음식을 소화시키는 효능임)
|
|
성주(醒酒)
(술을 깨는 효능임)
|
|
벽사(辟邪)
(몸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사기(邪氣)를 몰아내는 효능임)
|
|
해독(解毒)
(독성(毒性)을 풀어주는 효능임)
|
|
익력(益力)
(힘을 좋게하는 효능임)
|
|
증정(增精)
(정(精)을 더해주는 효능임)
|
|
청두목(淸頭目)
(머리와 눈을 맑게 해주는 효능임)
|
|
이인후(利咽喉)
(인후(咽喉)를 편하게 하는 효능임)
|
|
통혈맥(通血脈)
(혈맥이 잘 흐르게 하는 효능임)
|
|
조비위(助脾胃)
(비위(脾胃)를 도와주는 효능임)
|
|
통리경맥(通利經脈)
(경맥을 소통시키고 원활히 하는 효능임)
|
|
거풍화혈(祛風和血)
(풍(風)을 제거하고 화혈(和血)하는 효능임)
|
작용부위 |
간(肝)
, 폐(肺)
|
성미 |
미온(微溫)
, 신(辛)
|
약전기재 |
일본약국방
, 중국약전
|
주의사항 |
표허유한(表虛有汗), 혈허한열(血虛寒熱), 두풍면적(頭風面赤), 인우음허화염(因于陰虛火炎) 등의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복용하면 안됨. |
약재사용처방 |
가감하수오산(加減何首烏散) /
자백전풍(紫白癜風)
, 개선(疥癬)
, 역양풍(癧瘍風)
|
|
가감홍면산(加減紅綿散) /
두창경축(痘瘡驚搐)
|
|
가미사물탕(加味四物湯)[1] /
혈허현훈(血虛眩暈)
|
|
가미서각소독음(加味犀角消毒飮) /
구설생창(口舌生瘡)
, 두진(痘疹)
|
|
가미오형원(加味烏荊元) /
피부소양증(皮膚瘙痒症)
, 은진(癮疹)
|
|
결음단(結陰丹) /
결음변혈(結陰便血)
|
|
괴황탕(槐黃湯) /
장독(臟毒)
, 장풍(腸風)
|
|
괵귀산(馘鬼散) /
치통(齒痛)
|
|
구룡공연산(九龍控涎散) /
천조(天釣)
|
|
궁궁산(芎藭散)[1] /
간허두훈(肝虛頭暈)
, 풍훈(風暈)
|
|
귀형탕(歸荊湯) /
산후풍치(産後風痓)
|
|
금불초산(金沸草散) /
풍수(風嗽)
, 담연옹성(痰涎壅盛)
|
|
단홍원(斷紅元) /
장풍(腸風)
|
|
당귀산(當歸散)[3] /
통풍(痛風)
|
|
도적지유탕(導赤地楡湯) /
혈리(血痢)
, 적리(赤痢)
|
|
명목유기음(明目流氣飮) /
유루(流淚)
, 간허예장(肝虛翳障)
|
|
발운퇴예환(撥雲退翳丸) /
예막(翳膜)
|
|
발운퇴예환정환(撥雲退瞖還睛丸) /
내장(內障)
, 예막(翳膜)
|
|
방풍천마산(防風天麻散) /
역절풍(歷節風)
|
|
백강잠산(白殭蠶散) /
영풍유루(迎風流淚)
|
|
백엽탕(柏葉湯) /
장풍(腸風)
|
|
부평산(浮萍散)[2] /
개선(疥癬)
, 나창(癩瘡)
|
|
불환금단(不換金丹) /
중풍(中風)
, 구안와사(口眼喎斜)
|
|
사간산(瀉肝散) /
오풍혼암(烏風昏暗)
, 간열생예(肝熱生翳)
|
|
사신산(四神散) /
정두통(正頭痛)
, 부인혈풍(婦人血風)
|
|
서각소독음(犀角消毒飮)[2] /
두출불쾌(痘出不快)
|
|
선복화탕(旋覆花湯) /
산후천급(産後喘急)
|
|
선화산(蟬花散)[1] /
예막(翳膜)
, 안목적종(眼目赤腫)
, 유루(流淚)
|
|
선화산(蟬花散)[2] /
예막(翳膜)
|
|
세감창약(洗疳瘡藥) /
감창(疳瘡)
|
|
세심산(洗心散) /
구설생창(口舌生瘡)
, 중초열(中焦熱)
|
|
소독음(消毒飮)[1] /
검생풍속(瞼生風粟)
|
|
소독음(消毒飮)[3] /
두출불쾌(痘出不快)
|
|
소풍순기탕(疏風順氣湯) /
반신불수(半身不遂)
, 중풍(中風)
|
|
속명자산(續命煮散) /
허증(虛症)
, 중풍(中風)
|
|
승마황련탕(升麻黃連湯) /
면열(面熱)
|
|
신선퇴운환(神仙退雲丸) /
예막(翳膜)
, 내장(內障)
, 외장(外障)
|
|
신효산(神效散)[1] /
후비(喉痺)
|
|
양담원(凉膽元) /
흑화예(黑花翳)
|
|
오령지산(五靈脂散) /
견비통(肩臂痛)
|
|
오수중명환(五秀重明丸) /
예막차정(藝膜遮睛)
, 목은삽(目隱澁)
|
|
오요탕(五拗湯) /
풍수(風嗽)
|
|
오퇴산(五退散)[2] /
도첩권모(倒睫拳毛)
|
|
옥설무우산(玉屑無憂散) /
전후풍(纏喉風)
, 골경(骨鯁)
|
|
옥설탕(沃雪湯)[1] /
풍습(風濕)
, 두목현훈(頭目眩暈)
|
|
유풍산(愈風散) /
산후풍치(産後風痓)
|
|
윤장탕(潤腸湯)[1] /
대변비결(大便秘結)
|
|
인삼형개산(人蔘荊芥散)[1] /
풍한졸아(風寒卒牙)
|
|
장풍흑산(腸風黑散) /
장독(臟毒)
, 장풍(腸風)
|
|
적기산(的奇散) /
산후설리(産後泄痢)
|
|
질려산(蒺藜散) /
음낭습양(陰囊濕痒)
|
|
천궁다조산(川芎茶調散) /
정두통(正頭痛)
, 편두통(偏頭痛)
|
|
청담순기탕(淸痰順氣湯) /
중풍구안와사(中風口眼喎斜)
|
|
청량산(淸凉散)[1] /
수하심예(水瑕深翳)
, 빙예(氷翳)
|
|
청상사화탕(淸上瀉火湯) /
열궐두통(熱厥頭痛)
|
|
청신보기탕(淸神補氣湯) /
소갈(消渴)
|
|
청혼산(淸魂散) /
산후혈훈(産後血暈)
|
|
추풍환(追風丸) /
백전풍(白癜風)
|
|
측백산(側柏散) /
하혈(下血)
, 토혈(吐血)
|
|
통천유풍탕(通天愈風湯) /
구안와사(口眼喎斜)
, 유연(流涎)
|
|
필징가환(蓽澄茄丸) /
비색(鼻塞)
|
|
하수오산(何首烏散) /
개선(疥癬)
|
|
해독방풍탕(解毒防風湯) /
성아(聲啞)
, 두출과밀(痘出過密)
, 장열(壯熱)
|
|
향각환(香殼丸)[1] /
장벽(腸澼)
, 치루(痔瘻)
|
|
형개(荊芥)[6] /
상한두통(傷寒頭痛)
|
|
형개산(荊芥散) /
혈훈(血暈)
|
|
형개수(荊芥穗) /
붕루(崩漏)
|
|
형개탕(荊芥湯)[2] /
인후종통(咽喉腫痛)
, 어성불출(語聲不出)
|
|
형괴산(荊槐散) /
치뉵(齒衄)
|
|
형방패독산(荊防敗毒散)[1] /
상한태양병(傷寒太陽病)
|
|
형소탕(荊蘇湯) /
풍한졸아(風寒卒牙)
|
|
형황탕(荊黃湯)[1] /
풍열현훈(風熱眩暈)
|
|
호마산(胡麻散) /
자백전풍(紫白癜風)
, 은진(癮疹)
, 창개(瘡疥)
|
|
화피산(樺皮散) /
은진(癮疹)
, 피부소양증(皮膚瘙痒症)
|
|
환기산(換肌散) /
대풍창(大風瘡)
|
|
황금탕(黃芩湯)[1] /
비창(鼻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