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개수(荊芥穗) / 형개

 익생양술에서 "형개"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형개수(荊芥穗) / 형개"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분포 전국 각지 채취기간 9∼10월
60~70cm 취급요령 햇볕에 말려 쓴다.
생지 산지나 밭에 재배 성미 따뜻하며, 맵다.
분류 한해살이풀 독성여부 없다.
번식 1회사용량 잎 4∼8g
약효 사용범위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마주나며 깃 모양으로 3∼5갈래로 깊게 갈라지는데 위로 갈수록 작아진다. 갈라진 조각은 길이 1.5~2cm의 선형으로서 가운데 조각이 가장 크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끝이 둔하다. 잎맥은 뚜렷하지 않다. 잎자루는 위로 갈수록 작아진다.
8∼9월에 연한 자홍색 꽃이 줄기 위쪽에서 길이 5~25cm의 꽃이삭을 이루며 층층으로 달려 핀다. 꽃받침은 통 모양이고 끝이 5개로 갈라지며 흰 털이 있다. 길이 3mm인 꽃부리는 위아래로 갈라진 입술 모양인데 윗입술꽃잎은 2개로 갈라지고 아랫입술꽃잎은 3개로 갈라지며 가운데 것이 가장 크다. 4개의 수술 중 윗입술에 달린 2개는 짧고 아랫입술에 달린 2개는 길다. 꽃밥은 흑갈색이다. 암술은 1개이며 암술머리는 2개로 갈라진다. 씨방은 4개로 갈라진다.
열매
9∼10월에 길이 1.5mm쯤 되는 긴 둥근꼴의 얇은 수과가 달려 흑갈색으로 익는다. 씨 1000알의 무게는 0.3g이다.
특징 및 사용
정개(鄭芥)ㆍ정가ㆍ가소(假蘇)ㆍ강개(姜芥)ㆍ서실(鼠實)이라고도 한다. 줄기는 곧게 서서 자라는데 네모지고 전체에 털이 있으며 밑 부분은 자주색을 띤다. 위쪽에서 많은 가지를 치며 온포기에 강한 향기가 있다. 관상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온포기를 형개라 하며 약재로 사용한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사용하며, 술을 담가서도 쓴다.
형개수(荊芥穗) / 형개
라틴명 Schizonepetae Spica
약재의 효능 해표(解表)  (인체의 가장 바깥 즉, 피부에 맺힌 사기(邪氣)를 풀어주는 효능임)
산풍(散風)  (풍사(風邪)를 흩뜨리는 효능임)
투진(透疹)  (진독(疹毒)을 배설시켜 진자(疹子)가 쉽게 나오게 하는 치료법임)
이혈(理血)  (혈(血)을 통하게 하는 효능임)
파적(破積)  (몸 안의 적취(積聚)를 깨트리는 효능임)
산어(散瘀)  (어혈(瘀血)을 제거하는 효능임)
소식(消食)  (음식을 소화시키는 효능임)
성주(醒酒)  (술을 깨는 효능임)
벽사(辟邪)  (몸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사기(邪氣)를 몰아내는 효능임)
해독(解毒)  (독성(毒性)을 풀어주는 효능임)
익력(益力)  (힘을 좋게하는 효능임)
증정(增精)  (정(精)을 더해주는 효능임)
청두목(淸頭目)  (머리와 눈을 맑게 해주는 효능임)
이인후(利咽喉)  (인후(咽喉)를 편하게 하는 효능임)
통혈맥(通血脈)  (혈맥이 잘 흐르게 하는 효능임)
조비위(助脾胃)  (비위(脾胃)를 도와주는 효능임)
통리경맥(通利經脈)  (경맥을 소통시키고 원활히 하는 효능임)
거풍화혈(祛風和血)  (풍(風)을 제거하고 화혈(和血)하는 효능임)
작용부위 간(肝) , 폐(肺)
성미 미온(微溫) , 신(辛)
약전기재 일본약국방 , 중국약전
주의사항 표허유한(表虛有汗), 혈허한열(血虛寒熱), 두풍면적(頭風面赤), 인우음허화염(因于陰虛火炎) 등의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복용하면 안됨.
약재사용처방 가감하수오산(加減何首烏散) /  역양풍(癧瘍風)개선(疥癬)자백전풍(紫白癜風)
가감홍면산(加減紅綿散) /  두창경축(痘瘡驚搐)
가미사물탕(加味四物湯)[1] /  혈허현훈(血虛眩暈)
가미서각소독음(加味犀角消毒飮) /  두진(痘疹)구설생창(口舌生瘡)
가미오형원(加味烏荊元) /  은진(癮疹)피부소양증(皮膚瘙痒症)
결음단(結陰丹) /  결음변혈(結陰便血)
괴황탕(槐黃湯) /  장풍(腸風)장독(臟毒)
괵귀산(馘鬼散) /  치통(齒痛)
구룡공연산(九龍控涎散) /  천조(天釣)
궁궁산(芎藭散)[1] /  풍훈(風暈)간허두훈(肝虛頭暈)
귀형탕(歸荊湯) /  산후풍치(産後風痓)
금불초산(金沸草散) /  담연옹성(痰涎壅盛)풍수(風嗽)
단홍원(斷紅元) /  장풍(腸風)
당귀산(當歸散)[3] /  통풍(痛風)
도적지유탕(導赤地楡湯) /  적리(赤痢)혈리(血痢)
명목유기음(明目流氣飮) /  간허예장(肝虛翳障)유루(流淚)
발운퇴예환(撥雲退翳丸) /  예막(翳膜)
발운퇴예환정환(撥雲退瞖還睛丸) /  예막(翳膜)내장(內障)
방풍천마산(防風天麻散) /  역절풍(歷節風)
백강잠산(白殭蠶散) /  영풍유루(迎風流淚)
백엽탕(柏葉湯) /  장풍(腸風)
부평산(浮萍散)[2] /  나창(癩瘡)개선(疥癬)
불환금단(不換金丹) /  구안와사(口眼喎斜)중풍(中風)
사간산(瀉肝散) /  간열생예(肝熱生翳)오풍혼암(烏風昏暗)
사신산(四神散) /  부인혈풍(婦人血風)정두통(正頭痛)
서각소독음(犀角消毒飮)[2] /  두출불쾌(痘出不快)
선복화탕(旋覆花湯) /  산후천급(産後喘急)
선화산(蟬花散)[1] /  안목적종(眼目赤腫)유루(流淚)예막(翳膜)
선화산(蟬花散)[2] /  예막(翳膜)
세감창약(洗疳瘡藥) /  감창(疳瘡)
세심산(洗心散) /  중초열(中焦熱)구설생창(口舌生瘡)
소독음(消毒飮)[1] /  검생풍속(瞼生風粟)
소독음(消毒飮)[3] /  두출불쾌(痘出不快)
소풍순기탕(疏風順氣湯) /  중풍(中風)반신불수(半身不遂)
속명자산(續命煮散) /  중풍(中風)허증(虛症)
승마황련탕(升麻黃連湯) /  면열(面熱)
신선퇴운환(神仙退雲丸) /  외장(外障)내장(內障)예막(翳膜)
신효산(神效散)[1] /  후비(喉痺)
양담원(凉膽元) /  흑화예(黑花翳)
오령지산(五靈脂散) /  견비통(肩臂痛)
오수중명환(五秀重明丸) /  목은삽(目隱澁)예막차정(藝膜遮睛)
오요탕(五拗湯) /  풍수(風嗽)
오퇴산(五退散)[2] /  도첩권모(倒睫拳毛)
옥설무우산(玉屑無憂散) /  골경(骨鯁)전후풍(纏喉風)
옥설탕(沃雪湯)[1] /  두목현훈(頭目眩暈)풍습(風濕)
유풍산(愈風散) /  산후풍치(産後風痓)
윤장탕(潤腸湯)[1] /  대변비결(大便秘結)
인삼형개산(人蔘荊芥散)[1] /  풍한졸아(風寒卒牙)
장풍흑산(腸風黑散) /  장풍(腸風)장독(臟毒)
적기산(的奇散) /  산후설리(産後泄痢)
질려산(蒺藜散) /  음낭습양(陰囊濕痒)
천궁다조산(川芎茶調散) /  편두통(偏頭痛)정두통(正頭痛)
청담순기탕(淸痰順氣湯) /  중풍구안와사(中風口眼喎斜)
청량산(淸凉散)[1] /  빙예(氷翳)수하심예(水瑕深翳)
청상사화탕(淸上瀉火湯) /  열궐두통(熱厥頭痛)
청신보기탕(淸神補氣湯) /  소갈(消渴)
청혼산(淸魂散) /  산후혈훈(産後血暈)
추풍환(追風丸) /  백전풍(白癜風)
측백산(側柏散) /  토혈(吐血)하혈(下血)
통천유풍탕(通天愈風湯) /  유연(流涎)구안와사(口眼喎斜)
필징가환(蓽澄茄丸) /  비색(鼻塞)
하수오산(何首烏散) /  개선(疥癬)
해독방풍탕(解毒防風湯) /  두출과밀(痘出過密)장열(壯熱)성아(聲啞)
향각환(香殼丸)[1] /  치루(痔瘻)장벽(腸澼)
형개(荊芥)[6] /  상한두통(傷寒頭痛)
형개산(荊芥散) /  혈훈(血暈)
형개수(荊芥穗) /  붕루(崩漏)
형개탕(荊芥湯)[2] /  어성불출(語聲不出)인후종통(咽喉腫痛)
형괴산(荊槐散) /  치뉵(齒衄)
형방패독산(荊防敗毒散)[1] /  상한태양병(傷寒太陽病)
형소탕(荊蘇湯) /  풍한졸아(風寒卒牙)
형황탕(荊黃湯)[1] /  풍열현훈(風熱眩暈)
호마산(胡麻散) /  은진(癮疹)창개(瘡疥)자백전풍(紫白癜風)
화피산(樺皮散) /  피부소양증(皮膚瘙痒症)은진(癮疹)
환기산(換肌散) /  대풍창(大風瘡)
황금탕(黃芩湯)[1] /  비창(鼻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