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틴명 |
Cyperi Rhizoma |
약재의 효능 |
이기(理氣)
(행기해울(行氣解鬱), 강기조중(降氣調中), 보중익기(補中益氣)하여 기체(氣滯), 기허(氣虛), 기역(氣逆)등을 치료하는 것을 가리키는 용어임.)
|
|
해울(解鬱)
(기(氣)나 음식물 따위가 막혀서 뭉쳐진 것을 풀어주는 효능임)
|
|
조경(調經)
(12경맥(經脈)을 도와주는 효능임)
|
|
지통(止痛)
(통증(痛症)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
|
소식적(消食積)
(식적(食積)을 치료하는 효능임)
|
|
이삼초(利三焦)
(삼초(三焦)를 이롭게 하는 효능임)
|
|
조기개울(調氣開鬱)
|
작용부위 |
간(肝)
, 비(脾)
, 삼초(三焦)
|
성미 |
미감(微甘)
, 미고(微苦)
, 신(辛)
, 평(平)
|
약전기재 |
대한약전
, 일본약국방
|
주의사항 |
가는 뿌리를 제거한 뿌리줄기. 경수선기이담(經水先期而痰), 기혈양허자(氣血兩虛者)는 복용하지 말 것. |
약재사용처방 |
가감보화환(加減保和丸) /
식상(食傷)
, 숙식(宿食)
|
|
가감사군자탕(加減四君子湯) /
구토(嘔吐)
|
|
가감소시호탕(加減小柴胡湯) /
화울(火鬱)
, 오심번열(五心煩熱)
|
|
가감위령탕(加減胃苓湯)[1] /
부종(浮腫)
|
|
가감이진탕(加減二陳湯) /
울담(鬱痰)
|
|
가감정기산(加減正氣散) /
습곽란(濕霍亂)
|
|
가감향령산(加減香苓散) /
음란편추(陰卵偏墜)
|
|
가려륵환(訶黎勒丸)[2] /
울수(鬱嗽)
|
|
가미기출환(加味枳朮丸) /
식적(食積)
, 위심통(胃心痛)
|
|
가미복령탕(加味茯苓湯) /
건망(健忘)
, 담미심규(痰迷心竅)
|
|
가미양영환(加味養榮丸) /
태동불안(胎動不安)
, 무자(無子)
|
|
가미온담탕(加味溫膽湯)[1] /
경계(驚悸)
|
|
가미월국환(加味越麴丸) /
울증(鬱證)
|
|
가미육군자탕(加味六君子湯) /
식궐(食厥)
|
|
가미향소산(加味香蘇散) /
기치(氣痔)
|
|
강기탕(降氣湯) /
기울(氣鬱)
|
|
개결서경탕(開結舒經湯) /
마목(麻木)
|
|
개기소담탕(開氣消痰湯)[1] /
담괴(痰塊)
|
|
개기소담탕(開氣消痰湯)[2] /
결핵(結核)
|
|
개소산(開笑散) /
풍랭치통(風冷齒痛)
|
|
개울도기탕(開鬱導氣湯) /
복통(腹痛)
|
|
개회산(開懷散) /
비괴(痞塊)
|
|
거담화환(祛痰火丸) /
애기(噯氣)
|
|
고경환(固經丸) /
경수과다(經水過多)
|
|
고치산(固齒散) /
아치종통(牙齒腫痛)
|
|
곡신원(穀神元) /
식상(食傷)
|
|
과루기각탕(瓜蔞枳殼湯) /
담울(痰鬱)
|
|
관중환(寬中丸) /
적취(積聚)
|
|
교감단(交感丹) /
기울(氣鬱)
|
|
교애사물탕(膠艾四物湯) /
태루(胎漏)
|
|
궁지향소산(芎芷香蘇散) /
상한표증(傷寒表證)
|
|
궁출산(芎朮散) /
담적복통(痰積腹痛)
|
|
궤견탕(潰堅湯) /
오적(五積)
, 비괴(痞塊)
, 육취(六聚)
|
|
궤견환(潰堅丸) /
비괴(痞塊)
, 육취(六聚)
, 오적(五積)
|
|
귀출파징탕(歸朮破徵湯) /
혈가(血瘕)
, 월경불통(月經不通)
|
|
금련반하탕(芩連半夏湯) /
오조(惡阻)
|
|
기각산(枳殼散)[3] /
애기(噯氣)
|
|
기축이진탕(枳縮二陳湯) /
관격(關格)
|
|
내소산(內消散) /
식적(食積)
|
|
당관음자(撞關飮子) /
창만(脹滿)
|
|
당귀수산(當歸鬚散) /
타박상(打撲傷)
, 혈결흉(血結胸)
|
|
당귀양혈탕(當歸養血湯) /
열격(噎膈)
|
|
당귀활혈탕(當歸活血湯) /
기체(氣滯)
, 혈울(血鬱)
|
|
대나조환(大蘿皂丸) /
담천(痰喘)
, 기천(氣喘)
|
|
대온중환(大溫中丸) /
황반(黃胖)
, 곡달(穀疸)
, 황종(黃腫)
|
|
대이향산(大異香散) /
곡창(穀脹)
, 기창(氣脹)
|
|
대칠기탕(大七氣湯) /
오적(五積)
, 심복창만(心腹脹滿)
, 육취(六聚)
, 대소변불리(大小便不利)
|
|
도노산(桃奴散) /
혈고(血蠱)
, 월경불통(月經不通)
|
|
도노환(桃奴丸) /
혈창(血脹)
, 월경불통(月經不通)
|
|
독승산(獨勝散)[2] /
오발옹저(五發癰疽)
|
|
마황계지탕(麻黃桂枝湯)[2] /
심위통(心胃痛)
|
|
목단피탕(牡丹皮湯)[1] /
실녀월경불통(室女月經不通)
|
|
목향빈랑환(木香檳榔丸)[1] /
기통(氣痛)
, 기체흉비(氣滯胸痞)
|
|
목향소창원(木香消脹元) /
창만(脹滿)
, 적취(積聚)
|
|
목향순기산(木香順氣散) /
기창(氣脹)
|
|
목향순기환(木香順氣丸)[1] /
기통(氣痛)
|
|
목향유기음(木香流氣飮) /
종창(腫脹)
, 기통(氣痛)
|
|
목향조기산(木香調氣散) /
기울(氣鬱)
|
|
목향파기산(木香破氣散) /
기통(氣痛)
|
|
묵부환(墨附丸) /
월경부조(月經不調)
, 무사(無嗣)
|
|
반하금출탕(半夏芩朮湯)[1] /
담음비통(痰飮臂痛)
|
|
반하금출탕(半夏芩朮湯)[2] /
비통(臂痛)
, 역절풍(歷節風)
|
|
백자부귀환(百子附歸丸) /
월수부조(月水不調)
, 무자(無子)
|
|
별갑환(鱉甲丸) /
학모(瘧母)
, 해학(痎瘧)
|
|
보기생혈탕(補氣生血湯) /
장창(杖瘡)
|
|
보기양혈탕(補氣養血湯) /
혈붕(血崩)
|
|
보생탕(保生湯) /
오조(惡阻)
|
|
보진환(補眞丸) /
명문화쇠(命門火衰)
, 불사식(不思食)
|
|
보화환(保和丸)[1] /
적취(積聚)
, 비괴(痞塊)
|
|
봉강환(蜂薑丸) /
주수(酒嗽)
|
|
부종통치일방(浮腫通治一方) /
음종(陰腫)
|
|
분소탕(分消湯) /
창만(脹滿)
, 중만(中滿)
|
|
분심기음(分心氣飮) /
대소변불통(大小便不通)
|
|
비금산(備金散) /
혈붕(血崩)
|
|
빈소산(檳蘇散) /
각기(脚氣)
|
|
사궁산(莎芎散)[1] /
육혈(衄血)
|
|
사궁산(莎芎散)[2] /
열심통(熱心痛)
|
|
사물조경탕(四物調經湯) /
월경불통(月經不通)
, 혈가(血瘕)
|
|
사백단(四白丹) /
중풍혼모(中風昏冒)
|
|
사신환(四神丸)[3] /
한산(寒疝)
|
|
사자조중탕(四子調中湯) /
반위(反胃)
, 대소변불리(大小便不利)
, 담연옹성(痰涎壅盛)
|
|
사초기각환(四炒枳殼丸) /
창만(脹滿)
, 적취(積聚)
|
|
사합탕(四合湯) /
담음복통(痰飮腹痛)
, 기체복통(氣滯腹痛)
|
|
산울탕(散鬱湯) /
식울(食鬱)
|
|
삼귀별갑음(蔘歸鱉甲飮) /
학모(瘧母)
|
|
삼령백출환(蔘苓白朮丸) /
병후허약(病後虛弱)
|
|
삼릉화적환(三稜化積丸) /
적취(積聚)
|
|
삼보기출환(三補枳朮丸) /
열중(熱中)
|
|
삼습탕(渗濕湯)[3] /
습증(濕證)
|
|
삼합탕(三合湯)[1] /
배통철심(背痛徹心)
|
|
상기생산(桑寄生散) /
태루(胎漏)
|
|
상하분소도기탕(上下分消導氣湯) /
기울(氣鬱)
|
|
서각현삼탕(犀角玄蔘湯) /
반진(斑疹)
|
|
서죽당화담환(瑞竹堂化痰丸) /
주담(酒痰)
|
|
선천귀일탕(先天歸一湯) /
무사(無嗣)
|
|
성반탕(星半湯) /
애기(噯氣)
|
|
성향환(星香丸) /
기수(氣嗽)
|
|
소감원(蘇感元) /
구리(久痢)
, 적리(積痢)
|
|
소계산(小薊散) /
치뉵(齒衄)
|
|
소식청울탕(消食淸鬱湯) /
조잡(嘈雜)
|
|
소식환(消食丸) /
유적(乳積)
, 숙식(宿食)
, 식적(食積)
|
|
소아초생구급방(小兒初生救急方)[5] /
초생곡도무공(初生穀道無孔)
|
|
소안신환(小安腎丸) /
신허요통(腎虛腰痛)
, 이명(耳鳴)
|
|
소오침탕(小烏沈湯) /
심복자통(心腹刺痛)
, 기통(氣痛)
|
|
소온중환(小溫中丸) /
곡달(穀疸)
|
|
소적보중환(消積保中丸) /
비괴(痞塊)
|
|
소적정원산(消積正元散) /
담음(痰飮)
, 기혈응체(氣血凝滯)
, 식적(食積)
|
|
소창음자(消脹飮子) /
고창(蠱脹)
|
|
소청원(蘇靑元) /
풍담(風痰)
|
|
소체환(消滯丸) /
식상(食傷)
|
|
소풍탕(疎風湯) /
풍중부(風中腑)
, 수족불인(手足不仁)
|
|
소합향원(蘇合香元)[1] /
중기(中氣)
, 기통(氣痛)
, 기역(氣逆)
|
|
소합향원(蘇合香元)[2] /
귀매(鬼魅)
, 시주(尸注)
|
|
순기도담탕(順氣導痰湯)[1] /
담음(痰飮)
|
|
순기도담탕(順氣導痰湯)[2] /
중풍불어(中風不語)
|
|
순기화중탕(順氣和中湯)[2] /
반위(反胃)
, 조잡(嘈雜)
, 구토(嘔吐)
|
|
순기환(順氣丸) /
혈울(血鬱)
|
|
승홍원(勝紅元) /
주적(酒積)
, 혈적(血積)
|
|
시호억간탕(柴胡抑肝湯) /
과거독음치병(寡居獨陰致病)
|
|
신기산(神奇散)[1] /
열격(噎膈)
, 반위(反胃)
|
|
신선구기탕(神仙九氣湯) /
구기작통(九氣作痛)
|
|
신수태을산(神授太乙散) /
상한양감(傷寒兩感)
, 온역(瘟疫)
|
|
신출산기산(神朮散氣散) /
사시온역(四時瘟疫)
|
|
실비음(實脾飮) /
수종(水腫)
|
|
십미창백산(十味蒼柏散) /
산통(疝痛)
|
|
십신탕(十神湯)[1] /
상한표증(傷寒表證)
|
|
십신탕(十神湯)[2] /
온역(瘟疫)
|
|
아위환(阿魏丸)[1] /
식적(食積)
, 육적(肉積)
|
|
안영탕(安榮湯) /
반산(半産)
|
|
안중조기환(安中調氣丸) /
반위(反胃)
|
|
안태산(安胎散)[2] /
임신두창(妊娠痘瘡)
|
|
양혈사물탕(養血四物湯) /
조잡(嘈雜)
|
|
양혈좌간환(養血佐肝丸) /
산후협통(産後脇痛)
|
|
억기산(抑氣散) /
부인잡병(婦人雜病)
|
|
연라환(連蘿丸) /
조잡(嘈雜)
, 비괴(痞塊)
, 현훈(眩暈)
|
|
오격관중산(五膈寬中散) /
오격(五膈)
|
|
오부통기탕(烏附通氣湯) /
산통(疝痛)
|
|
오약탕(烏藥湯) /
혈해동통(血海疼痛)
|
|
오온단(五瘟丹) /
온역(瘟疫)
|
|
옥약계영환(玉鑰啓榮丸) /
무사(無嗣)
|
|
옥용고(玉容膏)[1] /
면생창(面生瘡)
|
|
옥용고(玉容膏)[2] /
조선(燥癬)
|
|
용담탕(龍膽湯)[1] /
이롱(耳聾)
|
|
월국보화환(越麴保和丸) /
울증(鬱證)
|
|
월국환(越麴丸) /
울증(鬱證)
|
|
육울탕(六鬱湯)[1] /
육울(六鬱)
|
|
육울탕(六鬱湯)[2] /
육울(六鬱)
|
|
음학환(陰瘧丸) /
야발음학(夜發陰瘧)
, 해학(痎瘧)
|
|
이기환(利氣丸) /
식적복통(食積腹痛)
|
|
이중활담탕(理中豁痰湯) /
열담(熱痰)
|
|
이초향량산(二炒香良散) /
심복통(心腹痛)
|
|
이향사신산(異香四神散) /
무사(無嗣)
, 흉격창만(胸膈脹滿)
|
|
이향산(二香散)[1] /
서풍(暑風)
|
|
이향환(二香丸) /
호산(狐疝)
|
|
익기양영탕(益氣養榮湯) /
나력(瘰癧)
|
|
인중황환(人中黃丸) /
사시온역(四時瘟疫)
|
|
입효산(立效散)[2] /
혈가(血瘕)
|
|
자부환(煮附丸) /
대하(帶下)
, 월경부조(月經不調)
, 붕루(崩漏)
|
|
자신통이탕(滋腎通耳湯) /
이명(耳鳴)
|
|
자음백보환(滋陰百補丸) /
산후사한사열(産後乍寒乍熱)
|
|
자음지보탕(滋陰至寶湯) /
허로(虛勞)
|
|
작약산(芍藥散) /
풍한협통(風寒脇痛)
|
|
절제화담환(節齊化痰丸) /
울담(鬱痰)
, 노담(老痰)
|
|
정기천향탕(正氣天香湯) /
구기울결(九氣鬱結)
|
|
정비산(正脾散) /
산후부종(産後浮腫)
|
|
정전가미이진탕(正傳加味二陳湯) /
식담(食痰)
|
|
정향난반환(丁香爛飯丸) /
상식(傷食)
|
|
정향투격탕(丁香透膈湯) /
열격(噎膈)
|
|
제고보명단(諸蠱保命丹) /
지주고창(蜘蛛蠱脹)
|
|
제음단(濟陰丹) /
무사(無嗣)
|
|
조경양혈원(調經養血元) /
무자(無子)
|
|
조경종옥탕(調經種玉湯) /
무사(無嗣)
|
|
종사환(螽斯丸) /
무사(無嗣)
|
|
증미이진탕(增味二陳湯) /
탄산(呑酸)
|
|
진인화철탕(眞仁化鐵湯) /
현벽(痃癖)
, 징가(癥瘕)
|
|
진통산(趁痛散) /
통풍(痛風)
|
|
창백저피환(蒼柏樗皮丸) /
백대(白帶)
|
|
천금소벽환(千金消癖丸) /
벽괴(癖塊)
|
|
청격창사환(淸膈蒼莎丸) /
기체흉비(氣滯胸痞)
|
|
청경사물탕(淸經四物湯) /
월경건기(月經愆期)
, 월경통(月經痛)
|
|
청기화담환(淸氣化痰丸)[2] /
주적(酒積)
, 식적(食積)
, 담음(痰飮)
|
|
청뉵탕(淸衄湯) /
육혈(衄血)
|
|
청담환(淸痰丸) /
조잡(嘈雜)
, 탄산(呑酸)
|
|
청신산(淸神散) /
이중청(耳重聽)
|
|
청심온담탕(淸心溫膽湯) /
전간(癲癎)
|
|
청열사습탕(淸熱瀉濕湯) /
습각기(濕脚氣)
|
|
청열조혈탕(淸熱調血湯) /
월경통(月經痛)
|
|
청열해울탕(淸熱解鬱湯) /
위완통(胃脘痛)
|
|
청울산(淸鬱散) /
위심통(胃心痛)
|
|
추기양혈환(推氣養血丸) /
산후협통(産後脇痛)
|
|
충한산(衝寒散) /
소아설사(小兒泄瀉)
, 고냉(痼冷)
|
|
치기통일방(治氣痛一方) /
기통(氣痛)
|
|
치오심열일방(治五心熱一方) /
오심번열(五心煩熱)
|
|
치유환(梔萸丸) /
기실심통(氣實心痛)
|
|
치치뉵우방(治齒衄又方)[3] /
아선(牙宣)
, 치통(齒痛)
|
|
칠향원(七香元) /
식체(食滯)
|
|
침사환(鍼砂丸) /
주달(酒疸)
, 곡달(穀疸)
|
|
침향강기산(沈香降氣散) /
기울협통(氣鬱脇痛)
|
|
침향강기탕(沈香降氣湯) /
상기(上氣)
|
|
쾌기탕(快氣湯) /
상기(上氣)
|
|
탁리익기탕(托裏益氣湯) /
옹저허증(癰疽虛證)
|
|
태화환(太和丸) /
비위허약(脾胃虛弱)
|
|
통경사물탕(通經四物湯) /
월경건기(月經愆期)
|
|
통명이기탕(通明利氣湯) /
담화이명(痰火耳鳴)
|
|
통비산(通秘散) /
기림(氣淋)
|
|
퇴금환(褪金丸) /
황종(黃腫)
|
|
퇴열청기탕(退熱淸氣湯) /
기역(氣逆)
|
|
파울단(破鬱丹) /
부인애기(婦人촟氣)
|
|
팔보회춘탕(八寶回春湯) /
허증(虛症)
, 중풍(中風)
|
|
평간순기보중환(平肝順氣保中丸) /
조잡(嘈雜)
, 탄산(呑酸)
|
|
필발병(蓽撥餠) /
비색(鼻塞)
|
|
하고초산(夏枯草散)[1] /
간허목정동통(肝虛目睛疼痛)
|
|
하고초산(夏枯草散)[2] /
간허목정동통(肝虛目睛疼痛)
, 수명(羞明)
, 냉루(冷淚)
|
|
해울화중탕(解鬱和中湯) /
흉비통(胸痞痛)
|
|
해청환(海靑丸)[2] /
화수(火嗽)
|
|
행기향소산(行氣香蘇散) /
적심통(積心痛)
|
|
향각환(香殼丸)[2] /
식상(食傷)
|
|
향갈탕(香葛湯) /
상한양감(傷寒兩感)
|
|
향귤탕(香橘湯) /
칠기울결(七氣鬱結)
|
|
향릉환(香稜丸) /
육취(六聚)
, 오적(五積)
|
|
향부과루청대환(香附瓜蔞靑黛丸) /
주담(酒痰)
|
|
향부산(香附散)[1] /
붕루(崩漏)
, 오색대하(五色帶下)
|
|
향부산(香附散)[2] /
장풍(腸風)
|
|
향부자(香附子) /
체기(滯氣)
|
|
향부환(香附丸) /
식적수(食積嗽)
|
|
향사양위탕(香砂養胃湯)[1] /
흉비통(胸痞痛)
|
|
향사육군자탕(香砂六君子湯)[1] /
비설(脾泄)
|
|
향사육군자탕(香砂六君子湯)[2] /
비허(脾虛)
|
|
향사평위산(香砂平胃散)[1] /
상식(傷食)
|
|
향사평위산(香砂平胃散)[2] /
식울(食鬱)
|
|
향소산(香蘇散)[1] /
사시상한(四時傷寒)
, 시기온역(時氣瘟疫)
|
|
향소산(香蘇散)[2] /
사시온역(四時瘟疫)
|
|
향초산(香椒散) /
치통(齒痛)
|
|
호박조경환(琥珀調經丸)[2] /
포랭무자(胞冷無子)
|
|
화괴환(化塊丸) /
혈괴(血塊)
, 비괴(痞塊)
|
|
화기조경탕(化氣調經湯) /
나력(瘰癧)
|
|
화비단(化痞丹) /
비괴(痞塊)
|
|
화통탕(和痛湯) /
반산(半産)
|
|
회향안신탕(茴香安腎湯) /
음란편추(陰卵偏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