율무

 익생양술에서 "율무"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동의보감에서 "의이근(薏苡根)/율무 뿌리"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의이인(薏苡仁)/율무"로 처방에 사용됨
분포 전국 각지 채취기간 10월(열매 성숙기)
1∼1.5m 취급요령 껍질을 벗겨서 쓴다.
생지 밭에 재배 성미 따뜻하며, 달다.
분류 한해살이풀 독성여부 없다.
번식 1회사용량 씨 20∼30g, 뿌리 4∼6g
약효 씨ㆍ뿌리 사용범위 많이 복용해도 무방하다.
동속약초 염주
어긋나며 잎몸과 잎집으로 구분된다. 잎몸은 나비 약 2.5cm의 댓잎피침형으로서 녹색이고 가장자리가 거칠다. 끝으로 갈수록 좁아져 뾰족하며 아래쪽이 넓고 잎집을 이루어 줄기를 감싼다.
7∼8월에 가지의 잎겨드랑이에서 길고 짧은 몇 개의 꽃이삭이 나온다. 밑 부분에 달려 있는 암꽃이삭은 타원형의 잎집에 싸여 있으며 꽃턱잎은 딱딱하고 타원형이다. 3개의 암꽃이삭 중 1개가 성숙하여 열매로 발달한다. 2개의 암술대가 길게 꽃턱잎 밖으로 나오고 밑에 열매인 영과가 1개 있다. 암꽃의 색깔은 흰색 또는 자주색이다. 수꽃이삭은 암꽃이삭 위로 길게 나와 3cm 정도 자라며 하나의 마디에 1~3개의 작은 이삭이 달리는데 작은 이삭마다 꽃이 2개씩 달리나 1개는 대가 없고 수술은 각각 2개씩이다. 씨방이 성숙하면 잎집은 딱딱해지고 검은 갈색으로 변한다.
열매
9월 중순 이후에 타원형의 영과가 익는데 품종에 따라 열매의 씨껍질 색이 회백색ㆍ황갈색ㆍ암갈색ㆍ흑갈색 등으로 나타난다. 씨앗 1000개의 무게는 100g 정도이다.
특징 및 사용
의이(薏苡)ㆍ의미ㆍ인미라고도 한다. 줄기는 곧추 서서 자라며 겉은 딱딱하나 속이 비어 있고 가지가 여러 대로 갈라진다. 염주의 변종으로서 염주와 비슷하지만 율무는 꽃이삭이 때로는 밑으로 처지며 꽃이삭 밑에 달린 잎이 넓고 짧다. 또한 포초는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으로서 딱딱하지 않은 점이 염주와 구별된다. 염주는 껍질이 딱딱해서 도정이 어려워 작물로 이용되지 않는다. 율무는 식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열매를 의이인이라 하며 밥ㆍ죽 등의 주식 외에 차를 끓여 마시거나 약재로 쓰는데 약용할 때는 농도가 약한 소금물에 삶아서 복용한다. 줄기에 달린 잎은 사료로도 쓴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술을 담가서도 쓴다. 하지만 임신부가 복용하면 낙태할 위험이 있다.
익생양술 효능
주로 운동계ㆍ비뇨기ㆍ소화기 질환을 다스린다.
의이근(薏苡根) / 율무 뿌리
라틴명 Coicis Radix
약재의 효능 청열(淸熱)  (열기를 성질이 차거나 서늘한 약으로 식히는 효능임)
이습(利濕)  (이수약(利水藥)으로 하초(下焦)의 수습(水濕)을 소변으로 나가게 하는 치료방법임.)
건비(健脾)  (비(脾)가 허(虛)한 것을 보(補)하여 운화기능(運化機能)이 약화된 것을 치료하는 방법)
살충(殺蟲)  (기생충을 없애는 효능임)
작용부위 방광(膀胱) , 비(脾)
성미 감고(甘苦) , 미한(微寒)
약재사용처방 의이근(薏苡根) /  회심통(蛔心痛)
의이인(薏苡仁) / 율무
라틴명 Coicis Semen
약재의 효능 건비(健脾)  (비(脾)가 허(虛)한 것을 보(補)하여 운화기능(運化機能)이 약화된 것을 치료하는 방법)
익위(益胃)  (위허(胃虛)를 치료하는 방법임.)
보폐(補肺)  (폐(肺)를 보하는 효능임)
청열(淸熱)  (열기를 성질이 차거나 서늘한 약으로 식히는 효능임)
이습(利濕)  (이수약(利水藥)으로 하초(下焦)의 수습(水濕)을 소변으로 나가게 하는 치료방법임.)
배농(排膿)  (고름을 뽑아 내는 치료방법을 말함. 배농(排膿)에는 수술로 째는 방법과 약을 붙이는 것 2가지가 있다.)
소종(消腫)  (옹저(癰疽)나 상처가 부은 것을 가라앉히는 치료법임)
하기(下氣)  (인체 하부의 기(氣)를 말함.)
행수(行水)  (기기(氣機)를 잘 통하게 하고 수도(水道)를 소통, 조절하여 이수화습(利水化濕)하는 방법의 하나.)
거풍(祛風)  (안과 밖, 경락(經絡)및 장부(臟腑) 사이에 머물러 있는 풍사(風邪)를 제거하는 것임)
살우충(殺疣蟲)  (사마귀 등의 피부병을 일으키는 벌레를 죽이는 것임.)
보폐청열(補肺淸熱)  (폐(肺)의 기운(氣運)과 폐의 음기(陰氣)를 보(補)하고 청열(淸熱)시키는 치료 방법임.)
삼습(渗濕)  (습기(濕氣)를 소변으로 빼내는 효능임)
경신(輕身)  (몸을 가볍게 하는 효능임)
익기(益氣)
작용부위 비(脾) , 위(胃) , 폐(肺)
성미 감담(甘淡) , 양(凉)
약전기재 대한약전 , 일본약국방 , 중국약전
주의사항 종피를 제거한 씨
약재사용처방 가미대보탕(加味大補湯) /  탄탄(癱瘓)
가미백출산(加味白朮散) /  주수(酒嗽)기천(氣喘)
구선왕도고(九仙王道糕) /  허손(虛損)
길경탕(桔梗湯)[5] /  폐옹(肺癰)
당귀고(當歸膏) /  칠상(七傷)오로(五勞)허손(虛損)
마행의감탕(麻杏薏甘湯) /  풍습신동(風濕身疼)
목단산(牧丹散) /  장옹(腸癰)
목단피탕(牡丹皮湯)[2] /  폐옹(肺癰)
보화탕(保和湯) /  폐위(肺痿)노수(勞嗽)허로(虛勞)
복령탕(茯苓湯)[2] /  양매창(楊梅瘡)천포창(天疱瘡)
복신황기탕(茯神黃芪湯) /  과거독음치병(寡居獨陰致病)
삼령백출산(蔘苓白朮散) /  비위허약(脾胃虛弱)
삼령백출환(蔘苓白朮丸) /  병후허약(病後虛弱)
삼인원(三仁元) /  대소변불리(大小便不利)수종(水腫)
삼인탕(三仁湯) /  장옹(腸癰)
삼황패독산(三黃敗毒散) /  양매창(楊梅瘡)천포창(天疱瘡)
선유량탕(仙遺粮湯) /  경분독(輕粉毒)양매창(楊梅瘡)
선유량환(仙遺粮丸) /  양매창(楊梅瘡)
소종유량탕(消腫遺粮湯) /  양매창(楊梅瘡)
영양각탕(羚羊角湯)[2] /  자간(子癎)
오향백출산(五香白朮散) /  폐옹(肺癰)
위생탕(衛生湯)[2] /  습설(濕泄)
위엽탕(葦葉湯) /  폐옹(肺癰)
의이(薏苡) /  장기(瘴氣)
의이인(薏苡仁)[1] /  근맥구련(筋脈拘攣)
의이인(薏苡仁)[2] /  건각기(乾脚氣)습각기(濕脚氣)
의이인탕(薏苡仁湯) /  순종(脣腫)순풍(脣風)
의이환(薏苡丸) /  수연(手軟)
이신교제단(二神交濟丹) /  허로(虛勞)
자음청화고(滋陰淸化膏) /  화수(火嗽)
자혈양근탕(滋血養筋湯) /  족위(足痿)
정력산(葶藶散) /  천급(喘急)폐옹(肺癰)
천금양비원(千金養脾元) /  반위(反胃)열격(噎膈)
청금탕(淸金湯) /  기천(氣喘)
패장산(敗醬散) /  장옹(腸癰)
행습유기산(行濕流氣散) /  풍한습비(風寒濕痺)
활혈구풍산(活血驅風散)[1] /  음낭습양(陰囊濕痒)
활혈구풍산(活血驅風散)[2] /  신장풍창(腎臟風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