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틴명 |
Platycodi Radix |
약재의 효능 |
거담(祛痰)
(화담(化痰), 소담(消痰), 척담(滌痰)이 있으며 주로 담(痰)을 제거하거나 담(痰)이 생기는 원인을 없애는 방법)
|
|
이인(利咽)
(인후(咽喉)를 통하게 하는 효능임)
|
|
선폐(宣肺)
(폐기를 통하게 하는 치료법을 말함.)
|
|
해표(解表)
(인체의 가장 바깥 즉, 피부에 맺힌 사기(邪氣)를 풀어주는 효능임)
|
|
화습(化濕)
(방향성(芳香性)을 가진 거습약으로 습사(濕邪)를 없애는 방법을 말함)
|
|
양기(養氣)
(보기(補氣)와 같은 효능임)
|
|
보혈(補血)
(보법의 하나로서 혈허증(血虛證)을 치료하는 방법임.)
|
|
온중(溫中)
(중초(中焦)를 따뜻하게 하는 효능임)
|
|
소곡(消穀)
(소화를 돕는 효능임)
|
|
파적(破積)
(몸 안의 적취(積聚)를 깨트리는 효능임)
|
|
배농(排膿)
(고름을 뽑아 내는 치료방법을 말함. 배농(排膿)에는 수술로 째는 방법과 약을 붙이는 것 2가지가 있다.)
|
|
통구규(通九竅)
(구규(九竅)를 막히지 않게 소통시키는 효능임)
|
|
개발화해(開發和解)
|
|
인약상행(引藥上行)
(약력(藥力)을 위로 끌어올리는 효능임)
|
|
해고독(解蠱毒)
(고독(蠱毒)이 풀리도록 하는 것임.)
|
|
복비(伏砒)
|
작용부위 |
폐(肺)
|
성미 |
고신(苦辛)
, 평(平)
|
약전기재 |
대한약전
, 중국약전
|
주의사항 |
주피를 벗기거나 그대로 말림. |
독성 |
The median lethal dose of a decoction of Platycodi Radix given orally was 24g/kg in mice 1). The median lethal dose of platycodins in mice and rats were 420 and 800mg/kg (oral), or 22.3 and 14.1mg/kg (intraperitoneal), respectively 1). Crude platycodins have been reported to have sedative side -efffects in mice, such as inhibition of movement and a decrease in respiration after both intraperitoneal and oral administration 2). These side-effects were less pronounced after oral administration, suggesting that platycodins are poorly absorbed through the gastrointestinal tract 2). Crude platycodins have a highly haemolytic effect in mice, of which the haemolytic index is 1,2times that of a commercial reagent-grade saponin used as a reference 1, 2). Platycodi Radix preparations should therefore be given only orally, after which the drug loses its haemolytic effect owing to decomposition in the alimentary tract 2). Because of the CNS depressant activity 1), Platycodi Radix may act synergistically with other CNS depressant such as alcohol, tranqillizers, and sleeping medications. Platycodi Radix is also reported to be incompatable with Gentiana scabra and Bletilla hyacinthina 1). Use of Platycodi Radix during pregnancy is not generally recommended. There are no reliable studies on this subject. Therefore, nursing mothers should not take Platycodi Radix without consulting a physician. Platycodi Radix should not be administered to children under 6 years of age. Low / toxic class of herbaceous folk medicine.(toxic; active but toxic, cautious/very toxic, at small dose, usually used for emergency case) 3,4). 1) Chang HM, But PPH, eds. Pharmacology and applications of Chinese materia medica, vol.2. World Scientific Publishing, Singapore, 1987. 2) Lee EB. Pharmacological activities of crude platycodin. In; Woo ES, ed. Terpenoids Symposium proceeding. Seoul, Natural Productss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University, 1975;52-64. 3)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4)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
약재사용처방 |
가감궁신탕(加減芎辛湯) /
두풍(頭風)
|
|
가감도담탕(加減導痰湯) /
중풍불어(中風不語)
|
|
가감박하전원(加減薄荷煎元) /
풍열인후통(風熱咽喉痛)
|
|
가감사백산(加減瀉白散)[1] /
폐열후성(肺熱喉腥)
|
|
가감사백산(加減瀉白散)[3] /
수천(水喘)
|
|
가감삼기탕(加減三奇湯) /
담천(痰喘)
|
|
가감양격산(加減凉膈散) /
상초열(上焦熱)
, 육경열(六經熱)
|
|
가미강활산(加味羌活散) /
은진(癮疹)
, 피부소양증(皮膚瘙痒症)
|
|
가미금화환(加味金花丸) /
삼초열(三焦熱)
|
|
가미백출산(加味白朮散) /
주수(酒嗽)
, 기천(氣喘)
|
|
가미사물탕(加味四物湯)[4] /
쌍유아(雙乳蛾)
, 후비(喉痺)
, 단유아(單乳蛾)
|
|
가미서각소독음(加味犀角消毒飮) /
두진(痘疹)
, 구설생창(口舌生瘡)
|
|
가미소요산(加味逍遙散)[1] /
수혈(嗽血)
, 타혈(唾血)
|
|
가미소요산(加味逍遙散)[2] /
혈허(血虛)
, 도한(盜汗)
, 담수(痰嗽)
, 조열(潮熱)
|
|
가미십기산(加味十奇散) /
옹저(癰疽)
|
|
가미온담탕(加味溫膽湯)[1] /
경계(驚悸)
|
|
가미이진탕(加味二陳湯)[1] /
유정(遺精)
|
|
가미이진탕(加味二陳湯)[2] /
매핵기(梅核氣)
, 기담(氣痰)
|
|
가미이진탕(加味二陳湯)[3] /
담궐(痰厥)
|
|
가미이진탕(加味二陳湯)[4] /
매핵기(梅核氣)
|
|
가미패독산(加味敗毒散)[1] /
각기(脚氣)
|
|
가미패독산(加味敗毒散)[2] /
온역(瘟疫)
, 온독발반(溫毒發斑)
|
|
가미패독산(加味敗毒散)[3] /
두창발열(痘瘡發熱)
|
|
가미함흉탕(加味陷胸湯) /
흉비통(胸痞痛)
|
|
가자산(訶子散)[1] /
실음(失音)
, 해수(咳嗽)
|
|
가자청음탕(訶子淸音湯) /
제풍(諸風)
, 실음(失音)
|
|
갈근해기탕(葛根解肌湯)[1] /
비건(鼻乾)
, 양명경병(陽明經病)
, 안동(眼疼)
|
|
감길탕(甘桔湯) /
상한인후통(傷寒咽喉痛)
|
|
개기소담탕(開氣消痰湯)[1] /
담괴(痰塊)
|
|
개기소담탕(開氣消痰湯)[2] /
결핵(結核)
|
|
거풍제습탕(祛風除濕湯) /
수족탄탄(手足癱瘓)
|
|
거풍지보단(祛風至寶丹) /
혼모(昏冒)
, 풍중장(風中臟)
|
|
계명환(鷄鳴丸)[1] /
해수(咳嗽)
, 천촉(喘促)
|
|
계명환(鷄鳴丸)[2] /
천수(喘嗽)
|
|
계소산(鷄蘇散) /
육혈(衄血)
|
|
과루기각탕(瓜蔞枳殼湯) /
담울(痰鬱)
|
|
과루기실탕(瓜蔞枳實湯)[1] /
울담(鬱痰)
|
|
과루기실탕(瓜蔞枳實湯)[2] /
담화치(痰火痓)
|
|
과루실환(瓜蔞實丸)[1] /
흉비통(胸痞痛)
|
|
과루실환(瓜蔞實丸)[2] /
열격(噎膈)
|
|
곽향정기산(藿香正氣散) /
상한음증(傷寒陰證)
, 두통(頭痛)
|
|
교가산(交加散)[1] /
감모(感冒)
, 감모(感冒)
, 상한(傷寒)
, 상한(傷寒)
|
|
구고탕(救苦湯) /
안목적종(眼目赤腫)
|
|
구미수련환(九味茱連丸) /
탄산(呑酸)
|
|
구선산(九仙散) /
구수(久嗽)
|
|
궁신산(芎辛散) /
열담실음(熱痰失音)
|
|
귀원산(歸元散)[2] /
오조(惡阻)
|
|
금련소독음(芩連消毒飮) /
대두온(大頭瘟)
|
|
금로원(金露元) /
적취(積聚)
|
|
금화선방(噙化仙方) /
폐위(肺痿)
, 해역상기(咳逆上氣)
|
|
기각자산(枳殼煮散) /
기울협통(氣鬱脇痛)
|
|
기각좌산(枳殼剉散) /
열창(熱脹)
|
|
기제청신산(旣濟淸神散) /
중초열(中焦熱)
|
|
기제해독탕(旣濟解毒湯) /
대두온(大頭瘟)
|
|
길경(桔梗)[1] /
폐열(肺熱)
, 기촉(氣促)
|
|
길경(桔梗)[2] /
인후종통(咽喉腫痛)
, 후비(喉痺)
|
|
길경(桔梗)[3] /
복창통(腹脹痛)
|
|
길경(桔梗)[4] /
고독(蠱毒)
|
|
길경기각탕(桔梗枳殼湯) /
흉비통(胸痞痛)
|
|
길경탕(桔梗湯)[1] /
상한인통(傷寒咽痛)
|
|
길경탕(桔梗湯)[2] /
후비(喉痺)
, 실음(失音)
|
|
길경탕(桔梗湯)[3] /
인통(咽痛)
, 소음객한(少陰客寒)
|
|
길경탕(桔梗湯)[4] /
해수(咳嗽)
, 담연옹성(痰涎壅盛)
|
|
길경탕(桔梗湯)[5] /
폐옹(肺癰)
|
|
난향음자(蘭香飮子) /
소갈(消渴)
|
|
내색산(內塞散) /
누창(瘻瘡)
, 감창(疳瘡)
|
|
내소황련탕(內疏黃連湯) /
옹저(癰疽)
|
|
내탁백렴산(內托白斂散) /
담핵(痰核)
|
|
내탁산(內托散)[1] /
옹저(癰疽)
|
|
내탁산(內托散)[2] /
두진불기창(痘疹不起脹)
|
|
내탁산(內托散)[3] /
두창흑함(痘瘡黑陷)
|
|
내탁산(內托散)[4] /
두창흑함(痘瘡黑陷)
|
|
내탁천금산(內托千金散) /
옹저(癰疽)
, 악창(惡瘡)
|
|
노학음(老瘧飮) /
학모(瘧母)
|
|
대경원(大驚元) /
소아야제(小兒夜啼)
, 급경풍(急驚風)
|
|
대계음자(大薊飮子) /
구혈(嘔血)
, 토혈(吐血)
|
|
대산우원(大山芋元) /
비위허약(脾胃虛弱)
, 노손(勞損)
|
|
대이향산(大異香散) /
곡창(穀脹)
, 기창(氣脹)
|
|
대칠기탕(大七氣湯) /
오적(五積)
, 심복창만(心腹脹滿)
, 육취(六聚)
, 대소변불리(大小便不利)
|
|
도씨도담탕(陶氏導痰湯) /
담미심규(痰迷心竅)
|
|
도씨생지금련탕(陶氏生地芩連湯) /
육혈(衄血)
|
|
동원서점자탕(東垣鼠粘子湯) /
농이(膿耳)
, 이내생창(耳內生瘡)
|
|
마두령산(馬兜鈴散) /
자수(子嗽)
|
|
마황백출탕(麻黃白朮湯) /
풍학(風瘧)
|
|
마황행인음(麻黃杏仁飮) /
상한표증(傷寒表證)
|
|
만병원(萬病元) /
전간(癲癎)
, 고독(蠱毒)
, 황달(黃疸)
, 벽괴(癖塊)
, 시주(尸注)
, 학질(瘧疾)
|
|
목단피탕(牡丹皮湯)[2] /
폐옹(肺癰)
|
|
반과환(半瓜丸) /
담수(痰嗽)
|
|
반하복령탕(半夏茯苓湯)[2] /
오조(惡阻)
|
|
반하온폐탕(半夏溫肺湯)[1] /
희타담(喜唾痰)
, 조잡(嘈雜)
|
|
반하온폐탕(半夏溫肺湯)[2] /
한수(寒嗽)
|
|
발성산(發聲散)[1] /
실음(失音)
|
|
발성산(發聲散)[2] /
후옹(喉癰)
|
|
방풍통성산(防風通聖散)[1] /
중풍열증(中風熱證)
|
|
방풍통성산(防風通聖散)[2] /
열풍(熱風)
|
|
백지승마탕(白芷升麻湯) /
비옹(臂癰)
|
|
백출산(白朮散)[2] /
상한음독(傷寒陰毒)
|
|
백합산(百合散) /
자수(子嗽)
|
|
백화사환(白花蛇丸) /
백라창(白癩瘡)
|
|
보간산(保肝散) /
내장(內障)
, 간일성이(看一成二)
|
|
보기사영탕(補氣瀉榮湯) /
대풍창(大風瘡)
|
|
보기생혈탕(補氣生血湯) /
장창(杖瘡)
|
|
보기탕(補氣湯) /
정충(怔忡)
, 기허(氣虛)
|
|
보안환(保安丸) /
임신제병(妊娠諸病)
|
|
보제소독음자(普濟消毒飮子) /
대두온(大頭瘟)
|
|
보화탕(保和湯) /
폐위(肺痿)
, 노수(勞嗽)
, 허로(虛勞)
|
|
복령보심탕(茯苓補心湯)[1] /
노심토혈(勞心吐血)
|
|
복령조혈탕(茯苓調血湯) /
요혈(尿血)
|
|
복신산(茯神散) /
대경불어(大驚不語)
|
|
복신탕(茯神湯)[1] /
육맥허약(六脈虛弱)
|
|
분기음(分氣飮) /
수종(水腫)
, 천급(喘急)
|
|
분심기음(分心氣飮) /
대소변불통(大小便不通)
|
|
불수산(佛手散)[2] /
후옹(喉癰)
, 인후종통(咽喉腫痛)
|
|
비불문향취방(鼻不聞香臭方) /
비색(鼻塞)
|
|
비전강기탕(秘傳降氣湯) /
기역(氣逆)
|
|
비전순기산(秘傳順氣散) /
탄탄(癱瘓)
, 중풍구안와사(中風口眼喎斜)
|
|
빙매환(氷梅丸) /
인후폐쇄(咽喉閉鎖)
|
|
사백산우방(瀉白散又方) /
폐기상역(肺氣上逆)
|
|
사양보음탕(瀉陽補陰湯) /
음허화동(陰虛火動)
|
|
사위탕(瀉胃湯)[1] /
순종(脣腫)
, 순창(脣瘡)
|
|
산종궤견탕(散腫潰堅湯) /
마도창(馬刀瘡)
, 나력(瘰癧)
|
|
삼기탕(蔘芪湯)[4] /
치루(痔瘻)
, 탈항(脫肛)
|
|
삼령백출산(蔘苓白朮散) /
비위허약(脾胃虛弱)
|
|
삼령백출환(蔘苓白朮丸) /
병후허약(病後虛弱)
|
|
삼물백산(三物白散) /
열결흉(熱結胸)
|
|
삼소음(蔘蘇飮) /
상한해수(傷寒咳嗽)
|
|
삼출보비탕(蔘朮補脾湯) /
폐옹(肺癰)
|
|
삼합탕(三合湯)[1] /
배통철심(背痛徹心)
|
|
삼황탕(三黃湯)[1] /
구감(口甘)
|
|
상청원(上淸元)[1] /
인후종통(咽喉腫痛)
, 구설생창(口舌生瘡)
|
|
상청원(上淸元)[2] /
상초열(上焦熱)
|
|
상피산(桑皮散) /
혈수(血嗽)
|
|
상하분소도기탕(上下分消導氣湯) /
기울(氣鬱)
|
|
생강감길탕(生薑甘桔湯) /
옹저구역(癰疽嘔逆)
|
|
생료오적산(生料五積散) /
상한태양병(傷寒太陽病)
|
|
서각화독단(犀角化毒丹) /
두후옹절(痘後癰癤)
|
|
서점자탕(鼠粘子湯)[1] /
농이(膿耳)
|
|
성성산(惺惺散) /
상풍발열(傷風發熱)
, 번갈(煩渴)
, 담수(痰嗽)
|
|
세간명목탕(洗肝明目湯) /
풍열(風熱)
, 안목적종(眼目赤腫)
|
|
소농음(消膿飮) /
폐옹(肺癰)
|
|
소독탕(消毒湯) /
두후옹절(痘後癰癤)
|
|
소통성산(小通聖散) /
중풍열증(中風熱證)
|
|
소풍순기탕(疏風順氣湯) /
반신불수(半身不遂)
, 중풍(中風)
|
|
소풍화담탕(疏風化痰湯) /
나력(瘰癧)
|
|
소해산(消解散) /
후류(喉瘤)
, 후균(喉菌)
|
|
소핵환(消核丸) /
경항결핵(頸項結核)
|
|
수유내소원(茱萸內消元) /
음란편추(陰卵偏墜)
|
|
수중금원(守中金元) /
장명(腸鳴)
, 비위허한(脾胃虛寒)
|
|
숙료오적산(熟料五積散) /
상한태양병(傷寒太陽病)
|
|
순기목향산(順氣木香散) /
한창(寒脹)
|
|
승마창출탕(升麻蒼朮湯) /
산람장기(山嵐瘴氣)
|
|
승마탕(升麻湯)[1] /
비사(鼻齄)
|
|
승마화기음(升麻和氣飮) /
개선(疥癬)
|
|
승양익위산(升陽益胃散)[1] /
옹저(癰疽)
|
|
승양익위산(升陽益胃散)[2] /
내저(內疽)
, 배옹(背癰)
, 오발옹저(五發癰疽)
|
|
시경반하탕(柴梗半夏湯) /
흉비통(胸痞痛)
|
|
시경탕(柴梗湯) /
지결(支結)
|
|
시호궁귀탕(柴胡芎歸湯) /
야발음학(夜發陰瘧)
|
|
시호기길탕(柴胡枳桔湯) /
화수(火嗽)
|
|
시호승마탕(柴胡升麻湯)[1] /
상한해수성시(傷寒咳嗽聲嘶)
|
|
시호연교탕(柴胡連翹湯) /
상한섬어(傷寒譫語)
, 발열(發熱)
|
|
시호청간탕(柴胡淸肝湯) /
발저(發疽)
|
|
시호통경탕(柴胡通經湯) /
마도창(馬刀瘡)
|
|
식분환(息賁丸) /
폐적(肺積)
|
|
신수태을산(神授太乙散) /
상한양감(傷寒兩感)
, 온역(瘟疫)
|
|
십미궁소산(十味芎蘇散) /
온역(瘟疫)
|
|
십미화해산(十味和解散) /
상한(傷寒)
, 기혈구손(氣血俱損)
|
|
십선산(十宣散) /
옹저(癰疽)
|
|
십육미유기음(十六味流氣飮)[1] /
유암(乳巖)
|
|
십육미유기음(十六味流氣飮)[2] /
신옹(腎癰)
|
|
십주환(十疰丸) /
귀기(鬼氣)
, 십종시주(十種尸疰)
|
|
쌍해산(雙解散)[1] /
상한표리불해(傷寒表裏不解)
|
|
어풍단(禦風丹) /
반신불수(半身不遂)
, 구안와사(口眼喎斜)
, 중풍(中風)
|
|
여성음(如聖飮) /
두창인후종통(痘瘡咽喉腫痛)
|
|
여의단(如意丹) /
온역(瘟疫)
, 노채(勞瘵)
, 귀수(鬼祟)
, 전광(癲狂)
|
|
연교패독산(連翹敗毒散) /
옹저(癰疽)
|
|
영선제통음(靈仙除痛飮) /
역절풍(歷節風)
|
|
오복화독단(五福化毒丹) /
열감(熱疳)
, 두후옹절(痘後癰癤)
|
|
오약순기산(烏藥順氣散)[1] /
일체풍질(一切風疾)
|
|
오약순기산(烏藥順氣散)[2] /
근맥구련(筋脈拘攣)
, 유주(流注)
|
|
오요탕(五拗湯) /
풍수(風嗽)
|
|
오적산(五積散) /
상한음증(傷寒陰證)
|
|
오향백출산(五香白朮散) /
폐옹(肺癰)
|
|
온백원(溫白元) /
징가(癥瘕)
, 적취(積聚)
, 황달(黃疸)
|
|
용뇌고(龍腦膏)[3] /
단유아(單乳蛾)
, 후비(喉痺)
, 쌍유아(雙乳蛾)
|
|
용뇌천궁환(龍腦川芎丸) /
인후폐쇄(咽喉閉鎖)
|
|
용담탕(龍膽湯)[2] /
소아기병(小兒鬾病)
|
|
우방금련탕(牛蒡芩連湯) /
대두온(大頭瘟)
|
|
우방자탕(牛蒡子湯) /
아관긴급(牙關緊急)
, 인후종통(咽喉腫痛)
|
|
우황청심원(牛黃淸心元)[1] /
전광(癲狂)
|
|
우황청심원(牛黃淸心元)[2] /
졸중풍(卒中風)
|
|
운모고(雲母膏)[1] /
골저(骨疽)
, 내저(內疽)
, 나력(瘰癧)
|
|
운모고(雲母膏)[2] /
옹저(癰疽)
|
|
유기음자(流氣飮子) /
기통(氣痛)
|
|
윤폐고(潤肺膏)[2] /
담천(痰喘)
|
|
윤폐제수음(潤肺除嗽飮) /
구수(久嗽)
|
|
윤폐활담영수탕(潤肺豁痰寧嗽湯) /
담수(痰嗽)
, 음허천급(陰虛喘急)
|
|
응신음자(凝神飮子) /
노채(勞瘵)
|
|
이격탕(利膈湯) /
후옹(喉癰)
|
|
이기거풍산(理氣祛風散) /
중풍구안와사(中風口眼喎斜)
|
|
이중활담탕(理中豁痰湯) /
열담(熱痰)
|
|
이진탕(二陳湯)[2] /
오조(惡阻)
|
|
익기양영탕(益氣養榮湯) /
나력(瘰癧)
|
|
익기환(益氣丸) /
소기(少氣)
|
|
인삼강활산(人蔘羌活散)[1] /
중풍열증(中風熱證)
|
|
인삼강활산(人蔘羌活散)[2] /
상한발열(傷寒發熱)
|
|
인삼강활산(人蔘羌活散)[3] /
상풍발열(傷風發熱)
|
|
인삼복령산(人蔘茯苓散) /
신소(腎消)
|
|
인삼사폐탕(人蔘瀉肺湯)[1] /
폐실열(肺實熱)
|
|
인삼사폐탕(人蔘瀉肺湯)[2] /
열수(熱嗽)
|
|
인삼산(人蔘散)[3] /
담수(痰嗽)
|
|
인삼순기산(人蔘順氣散) /
중풍(中風)
, 허증(虛症)
, 탄탄(癱瘓)
|
|
인삼양폐탕(人蔘養肺湯) /
폐위(肺痿)
|
|
인삼오미자산(人蔘五味子散) /
음허천급(陰虛喘急)
|
|
인삼윤폐산(人蔘潤肺散) /
풍한천(風寒喘)
|
|
인삼윤폐탕(人蔘潤肺湯) /
한수(寒嗽)
|
|
인삼윤폐환(人蔘潤肺丸) /
구천(久喘)
|
|
인삼음자(人蔘飮子) /
천행해수(天行咳嗽)
|
|
인삼청격산(人蔘淸膈散) /
두창담천(痘瘡痰喘)
|
|
인삼청폐산(人蔘淸肺散) /
담수(痰嗽)
, 실음(失音)
|
|
인삼청폐탕(人蔘淸肺湯) /
폐위(肺痿)
, 노수(勞嗽)
|
|
인삼패독산(人蔘敗毒散) /
상한표증(傷寒表證)
|
|
인삼형개산(人蔘荊芥散)[1] /
풍한졸아(風寒卒牙)
|
|
인삼황기산(人蔘黃芪散) /
폐허(肺虛)
|
|
인삼황기탕(人蔘黃芪湯)[2] /
잡병대맥(雜病代脈)
|
|
인중황환(人中黃丸) /
사시온역(四時瘟疫)
|
|
자금산(子芩散) /
상초열(上焦熱)
|
|
자신명목탕(滋腎明目湯) /
혈소신로(血少神勞)
, 신허내장(腎虛內障)
|
|
자완산(紫菀散) /
폐위(肺痿)
|
|
자완탕(紫菀湯)[2] /
자수(子嗽)
|
|
자하거환(紫河車丸) /
노채(勞瘵)
, 전시(傳尸)
|
|
절제화담환(節齊化痰丸) /
울담(鬱痰)
, 노담(老痰)
|
|
정력산(葶藶散) /
폐옹(肺癰)
, 천급(喘急)
|
|
정통산(定痛散)[1] /
아주공(牙蛀孔)
|
|
제음단(濟陰丹) /
무사(無嗣)
|
|
조강탕(調降湯) /
기천(氣喘)
|
|
조중탕(調中湯)[1] /
음증발반(陰證發斑)
|
|
조중탕(調中湯)[2] /
온역(瘟疫)
|
|
조태산(罩胎散)[2] /
임신두창(妊娠痘瘡)
|
|
조해산(調解散) /
두창도함(痘瘡倒陷)
|
|
죽엽방풍탕(竹葉防風湯) /
산후발열(産後發熱)
|
|
증손여성탕(增損如聖湯) /
인후종통(咽喉腫痛)
, 실음(失音)
|
|
증손오적환(增損五積丸)[5] /
폐적(肺積)
, 오적(五積)
|
|
지갈탕(止渴湯) /
곽란번갈(霍亂煩渴)
|
|
지모복령탕(知母茯苓湯) /
폐위(肺痿)
|
|
지모탕(知母湯) /
노수(勞嗽)
|
|
진사묘향산(辰砂妙香散) /
경계(驚悸)
, 정충(怔忡)
|
|
창름탕(倉廩湯) /
금구리(噤口痢)
|
|
천궁환(川芎丸) /
두목불청(頭目不淸)
|
|
천금양비원(千金養脾元) /
반위(反胃)
, 열격(噎膈)
|
|
천문동음(天門冬飮) /
자수(子嗽)
|
|
천왕보심단(天王補心丹) /
정충(怔忡)
, 경계(驚悸)
|
|
천태산(天臺散) /
탄탄(癱瘓)
, 중풍(中風)
|
|
천화산(天花散)[3] /
두후실음(痘後失音)
|
|
청객탕(淸喀湯) /
객혈(喀血)
|
|
청금강화탕(淸金降火湯) /
화울수(火鬱嗽)
|
|
청금음(淸金飮) /
해수(咳嗽)
|
|
청기산(淸肌散) /
은진(癮疹)
|
|
청기화담환(淸氣化痰丸)[1] /
열담(熱痰)
|
|
청뉵탕(淸衄湯) /
육혈(衄血)
|
|
청량산(淸凉散)[2] /
실화(實火)
, 인후종통(咽喉腫痛)
|
|
청상방풍탕(淸上防風湯) /
두면창(頭面瘡)
, 절풍(癤風)
|
|
청열도담탕(淸熱導痰湯)[1] /
열담(熱痰)
|
|
청열해독탕(淸熱解毒湯) /
토혈(吐血)
, 육혈(衄血)
|
|
청위탕(淸胃湯) /
치근동요(齒根動搖)
, 아상종통(牙床腫痛)
|
|
청음산(淸音散) /
어성중탁(語聲重濁)
|
|
청인이격산(淸咽利膈散) /
유아(乳蛾)
, 후폐(喉閉)
|
|
청타탕(淸唾湯) /
타혈(唾血)
|
|
청폐음(淸肺飮) /
화수(火嗽)
|
|
청폐탕(淸肺湯)[2] /
구수(久嗽)
, 담수(痰嗽)
|
|
청해탕(淸咳湯) /
해혈(咳血)
|
|
청화탕(淸火湯) /
삼초열(三焦熱)
|
|
청화화담탕(淸火化痰湯) /
담궐(痰厥)
, 담결(痰結)
|
|
취향음자(聚香飮子) /
기산(氣疝)
|
|
칠미감길탕(七味甘桔湯) /
두창인후종통(痘瘡咽喉腫痛)
|
|
탁리복령탕(托裏茯苓湯) /
옹저(癰疽)
|
|
탁리소독산(托裏消毒散) /
옹저(癰疽)
|
|
탁리익기탕(托裏益氣湯) /
옹저허증(癰疽虛證)
|
|
태평환(太平丸) /
허로(虛勞)
, 폐위(肺痿)
|
|
통관음(通關飮) /
후비(喉痺)
|
|
통기구풍탕(通氣驅風湯) /
반신불수(半身不遂)
, 중풍(中風)
, 언어건삽(言語蹇澁)
|
|
통성산가감법(通聖散加減法) /
안병(眼病)
|
|
통천유풍탕(通天愈風湯) /
유연(流涎)
, 구안와사(口眼喎斜)
|
|
통초탕(通草湯)[2] /
유즙불행(乳汁不行)
|
|
통치성음약일방(通治聲音藥一方) /
성아(聲啞)
, 건해(乾咳)
, 건수(乾嗽)
|
|
평폐산(平肺散) /
담천(痰喘)
|
|
평폐탕(平肺湯) /
수천(水喘)
|
|
평혈음(平血飮) /
편신생창(遍身生瘡)
|
|
필용방감길탕(必用方甘桔湯) /
인후종통(咽喉腫痛)
, 후비(喉痺)
|
|
해표이진탕(解表二陳湯) /
효천(哮喘)
|
|
행소음(杏蘇飮) /
기천(氣喘)
|
|
행인반하탕(杏仁半夏湯) /
기천(氣喘)
|
|
향성파적환(響聲破笛丸) /
실음(失音)
|
|
형개연교탕(荊芥連翹湯)[1] /
이롱(耳聾)
|
|
형개연교탕(荊芥連翹湯)[2] /
비연(鼻淵)
|
|
형개탕(荊芥湯)[2] /
인후종통(咽喉腫痛)
, 어성불출(語聲不出)
|
|
형방패독산(荊防敗毒散)[1] /
상한태양병(傷寒太陽病)
|
|
형방패독산(荊防敗毒散)[2] /
대두온(大頭瘟)
|
|
화중길경탕(和中桔梗湯) /
상초열(上焦熱)
, 구토(嘔吐)
|
|
환정환(還睛丸)[2] /
안화(眼花)
|
|
황금탕(黃芩湯)[1] /
비창(鼻瘡)
|
|
황금탕(黃芩湯)[4] /
상소(上消)
|
|
황기별갑산(黃芪鱉甲散) /
허로(虛勞)
, 노손(勞損)
|
|
황련소독산(黃連消毒散) /
발뇌(發腦)
, 마목(麻木)
, 발배(發背)
|
|
황련통성산(黃連通聖散) /
비연(鼻淵)
|
|
회수산(回首散) /
항강(項强)
|
|
회춘양격산(回春凉膈散) /
구설생창(口舌生瘡)
|
|
후박환(厚朴丸) /
중초토식(中焦吐食)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