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죽나무
이명
고춘피(苦椿皮)
저목(樗木)
저피(樗皮)
분포 |
전국 각지 |
채취기간 |
봄 |
키 |
27m 정도 |
취급요령 |
햇볕에 말려 쓴다. |
생지 |
마을 부근 식재 |
성미 |
차며, 쓰고 떫다. |
분류 |
낙엽 활엽 교목 |
독성여부 |
없다. |
번식 |
씨ㆍ분주 |
1회사용량 |
5~8g |
약효 |
뿌리ㆍ나무줄기의 속껍질 |
사용범위 |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
잎
어긋나고 홀수 1회 깃꼴겹잎이며 길이는 60~80cm이다. 13~25개로 구성된 작은 잎은 넓은 댓잎피침 모양의 달걀꼴인데 위로 올라갈수록 뾰족해진다. 작은 잎은 길이 7~13cm, 나비 5cm 정도이며 작은 잎 아래쪽에 2~4개의 큰 톱니와 샘점이 있다. 앞면은 진한 녹색이고 뒷면은 연한 녹색이며 털이 없다.
꽃
6~7월에 백록색으로 피는데 원추 꽃차례로 작은 꽃이 가지 끝에 많이 달린다. 암수가 따로 있는 자웅이주이다. 꽃가지의 길이는 10~30cm이며 털이 없다. 수술은 10개이고 암술머리는 5개로 갈라져 있다.
열매
9월에 적갈색의 얇은 시과를 맺는데 프로펠러처럼 생긴 날개 가운데 1개의 씨가 들어 있다. 길이 3~4cm, 나비 1cm쯤 되는 열매가 이듬해 봄까지 달려 있다. 만주에서는 이 열매를 봉안자(鳳雁子)라고 한다.
특징 및 사용
가둑나무ㆍ북나무ㆍ개죽나무ㆍ까중나무ㆍ가중나무라고도 한다. 가죽나무는 ‘가짜죽나무’란 뜻이다. 원래 절에 많이 심었는데 잎을 먹을 수 있는 참중나무(참죽나무)와 닮았으나 잎을 먹을 수 없다 하여 가승목(가짜중나무)이라 부른다. 한자로는 가승목(假僧木)ㆍ저수(樗樹)ㆍ저목(樗木)ㆍ산춘수(山椿樹)라 한다. 줄기는 밋밋하게 자라며 성장이 빠르다. 나무껍질은 회갈색이고 오랫동안 갈라지지 않는다. 작은 가지는 황갈색 또는 적갈색이고 어린 가지에 노란색의 껍질눈이 있다. 잎을 저엽(樗葉), 뿌리껍질을 저근백피(樗根白皮)라 하여 약용한다. 유사종에 잎 앞면이 짙은 녹색이고 뒷면은 짙은 회색이며 열매가 붉은빛이 도는 붉은가죽나무가 있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산제 또는 환제로 하여 사용한다. 봄철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 것을 그대로 썰거나 뿌리를 제거하여 사용한다. 예전에 기근이 들었을 때 햇순과 연관있는 구창식물로 삶아 먹었다.
익생양술 효능
주로 소화기 계통의 질환을 다스린다.
저근백피(樗根白皮) / 가죽나무 껍질
라틴명 |
Ailanthi Cortex |
약재의 효능 |
제열(除熱)
(열(熱)을 제거하는 효능임)
|
|
조습(燥濕)
(고조(苦燥)한 약물로 습사(濕邪)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중초습증(中焦濕證)에 적용.)
|
|
삽장(澁腸)
(설사를 그치게 하는 효능임)
|
|
축소변(縮小便)
(소변이 너무 잦을때 하초의 기운을 공고히 하여 이를 다스리는 효능임)
|
|
살회충(殺蛔蟲)
(회충(蛔蟲)을 없애는 효능임)
|
|
삼습지대(渗濕止帶)
(습사(濕邪)를 완만하게 소변으로 빼내고 대하(帶下)를 그치게 하는 효능임)
|
|
고장지사(固腸止瀉)
(장(腸)을 견고(堅固) 하게하여 설사(泄瀉)를 멈추게 하는 효능임.)
|
작용부위 |
대장(大腸)
, 위(胃)
|
성미 |
고삽(苦澁)
, 한(寒)
|
약전기재 |
한국생약규격집
|
주의사항 |
주피를 벗긴 수피 또는 근피 |
독성 |
Adverse effects include nausea and vomiting, vertigo, and dizziness.1). 1) Huang, K.C., The pharmacology of Chinese herbs II, CRC press, 1999. |
약재사용처방 |
가감진주분환(加減珍珠粉丸) /
백음(白淫)
, 적백탁(赤白濁)
|
|
가려륵환(訶黎勒丸)[1] /
휴식리(休息痢)
|
|
고장환(固腸丸)[2] /
적리(赤痢)
, 혈리(血痢)
|
|
괴황탕(槐黃湯) /
장독(臟毒)
, 장풍(腸風)
|
|
금백저피환(芩柏樗皮丸) /
대하(帶下)
|
|
금출저피환(芩朮樗皮丸) /
백대(白帶)
|
|
사신환(四神丸)[1] /
백대(白帶)
|
|
삼근음(三根飮) /
구리(久痢)
, 휴식리(休息痢)
|
|
인삼산(人蔘散)[1] /
농혈리(膿血痢)
|
|
저근백피(樗根白皮)[1] /
붕루(崩漏)
, 적백대하(赤白帶下)
|
|
저근백피(樗根白皮)[2] /
적백리(赤白痢)
, 구리(久痢)
|
|
저근백피(樗根白皮)[3] /
장독(臟毒)
, 혈치(血痔)
, 장풍(腸風)
|
|
저근피환(樗根皮丸) /
유정(遺精)
, 몽설(夢泄)
|
|
저백피산(樗白皮散) /
구리(久痢)
|
|
저백환(樗柏丸) /
소변백탁(小便白濁)
|
|
정지진주분환(定志珍珠粉丸) /
심화몽설(心火夢泄)
|
|
창백저피환(蒼柏樗皮丸) /
백대(白帶)
|
|
청백산(淸白散) /
백대(白帶)
|
춘근백피(椿根白皮) / 가죽나무 껍질
라틴명 |
Ailanthi Cortex |
약재의 효능 |
청열조습(淸熱燥濕)
(열기를 식히고 습기를 말리는 효능임)
|
|
삽장고장(澁腸固腸)
(삽장지사(澁腸止瀉)시키고 장(腸)을 튼튼하게 하는 치법임.)
|
|
지사(止瀉)
(설사(泄瀉)를 치료하는 효능임)
|
|
수삽지대(收澁止帶)
(수삽(收澁)하는 약물로써 대하(帶下)를 멎게 하는 효능임)
|
작용부위 |
간(肝)
, 대장(大腸)
, 위(胃)
|
성미 |
고(苦)
, 삽(澁)
, 한(寒)
|
약재사용처방 |
결음단(結陰丹) /
결음변혈(結陰便血)
|
|
고경환(固經丸) /
경수과다(經水過多)
|
|
옥설환(玉屑丸) /
장풍(腸風)
, 장독(臟毒)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