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나무겨우살이
    
 
 
 
 
 
 
 
 
 
 
 
 
 
 
    
 
    
| 분포 | 중부ㆍ북부 지방 | 채취기간 | 가을~이듬해 봄 | 
| 키 | 50~100cm(길이) | 취급요령 | 햇볕에 말려 쓴다. | 
| 생지 | 고산 지역의 나무줄기와 가지 | 성미 | 평온하며, 쓰고 달다. | 
| 분류 | 지의류 식물(地衣類植物) | 독성여부 | 없다. | 
| 번식 | 포자 | 1회사용량 | 4~6g | 
| 약효 | 온포기 | 사용범위 |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 
 
잎
온대에서 한대에 이르는 높은 산의 침엽수림대에 널리 분포하는 지의 식물이다. 소나무에 기생하는 것을 소나무겨우살이라 한다. 그늘지고 습한 곳에서 자라는데 안개가 잘 끼는 고산 지역의 나무줄기와 가지에 붙어서 실처럼 주렁주렁 길게 늘어져 달린다. 길이가 때로는 3m를 넘는 것도 있다. 주축(主軸)이 1개 있어 그다지 갈라지지 않고 그 대신 가시 모양의 작은 가지들이 빽빽이 나 있는데 마치 가는 관을 가느다란 철사로 꿰뚫은 것처럼 보인다. 식물체 전체가 황록색을 띠는데 이는 우스닌산(酸 : usnic acid)이라는 특수한 성분이 들어 있기 때문이다.
 
 
포자
포자는 색이 없으며 1실의 포자주머니에 포자가 8개씩 들어 있다.
 
 
익생양술 효능
주로 호흡기 및 심장 질환을 다스리며, 각종 혈증에 효험이 있다.
 
 
     
 
 
 
 
 
 
 
 
 
 
 
 
 
 
 송라(松蘿) / 소나무겨우살이
송라(松蘿) / 소나무겨우살이
 
| 라틴명 | Usnea | 
| 약재의 효능 | 서근활락(舒筋活絡)
 (근육을 이완시키고 경락(經絡)을 소통시키는 효능임) | 
|  | 발독생기(拔毒生肌) | 
|  | 구충(驅蟲)
 (기생충을 없애는 약물을 써서 인체 내부의 기생충병을 치료하는 효능임) | 
|  | 도담(導痰) | 
|  | 평간사(平肝邪) | 
|  | 거한열(去寒熱)
 (한열(寒熱)을 제거하는 효능임) | 
|  | 이수도(利水道)
 (요도를 통하게 하는 효능임) | 
|  | 벽사기(辟邪氣)
 (사기(邪氣)를 피하게 하는 효능임.) | 
|  | 영인안면(令人安眠) | 
| 성미 | 고삽(苦澁)
, 양(凉) | 
| 독성 | Mild; active, but toxicity appears very mild unless used for long time 1,2). 1)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2)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 
| 약재사용처방 | 송라(松蘿)[1] / 
흉중객열(胸中客熱) | 
|  | 송라(松蘿)[2] / 
온학(溫瘧) | 
|  | 치영류우방(治瘿瘤又方)[5] / 
영류(瘿瘤) | 
 
 
 진송라(眞松蘿) / 소나무겨우살이
진송라(眞松蘿) / 소나무겨우살이
 
| 라틴명 | Usnea | 
| 약재의 효능 | 서근활락(舒筋活絡)
 (근육을 이완시키고 경락(經絡)을 소통시키는 효능임) | 
|  | 발독생기(拔毒生肌) | 
|  | 구충(驅蟲)
 (기생충을 없애는 약물을 써서 인체 내부의 기생충병을 치료하는 효능임) | 
| 성미 | 고삽(苦澁)
, 양(凉) | 
| 독성 | Mild; active, but toxicity appears very mild unless used for long time 1,2). 1)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2)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 
| 약재사용처방 | 파결산(破結散) / 
영류(瘿瘤) | 
|  | 해조산견환(海藻散堅丸) / 
기영(氣癭)
, 나력(瘰癧)
, 마도창(馬刀瘡)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