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생양술에서 "조"로 처방에 사용되었음.
 동의보감에서 "속미(粟米)/조"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속미감(粟米泔)/조"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속미구(粟米糗)/좁쌀 미숫가루"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장수(漿水)/좁쌀죽을 삭힌 물"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진속미(陳粟米)/조"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청량미(靑梁米)/조"로 처방에 사용됨
 동의보감에서 "황미(黃米)/조"로 처방에 사용됨
분포 전국 각지 채취기간 열매 성숙기
1∼1.5m 취급요령 햇볕에 말려 쓴다.
생지 밭에 재배 성미 서늘하며, 달고 쓰다.
분류 한해살이풀 독성여부 없다
번식 1회사용량 20∼40g
약효 사용범위 오래 써도 무방하다.
어긋나며 길이 40~45cm, 나비 2~4cm의 댓잎피침형으로서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고 끝이 뾰족하다. 밑 부분은 잎집으로 되어 줄기를 감싼다. 잎혀에 가는 털이 촘촘히 나 있고 잎귀는 없다. 표면에는 잔털이 나 있어 대체로 거칠다.
7∼9월에 줄기 끝에서 길이 15~20cm의 꽃이삭이 나와 한쪽으로 굽는데 작은 이삭이 많이 갈라져서 작은 꽃들이 밀착하여 겹수상 꽃차례로 달려 핀다. 1개의 작은 이삭에는 임실화(稔實花 : 씨를 맺는 꽃)와 불임화(不姙花)가 각각 1개씩 2개의 꽃이 달리는데 위에 있는 임실화만 결실을 한다. 작은 이삭의 밑 부분에는 가시 같은 털이 나 있으며 2개의 꽃은 외관상 하나의 꽃처럼 보인다. 밑에 달린 꽃은 암술이 없는 불임화이고 위에 붙은 꽃은 암술 1개, 수술 3개를 가지고 있는 완전화여서 씨를 맺는다. 암술머리는 갈라져서 끝이 깃털 모양이고 밑 부분에는 개화에 관여하는 인피(靭皮 : 줄기 형성층의 바깥쪽에 남아 있는 조직)가 1쌍 있다.
열매
9∼10월에 잘고 둥근 영과가 이삭에 매달려 누렇게 익어 가는데 열매가 떨어진 다음에도 포영(苞穎 : 작은 이삭의 밑에 난 한 쌍의 꽃턱잎)이 남는다. 열매가 달린 이삭의 모양은 원통형ㆍ곤봉형ㆍ원뿔형ㆍ방추형 등으로 분류된다.
특징 및 사용
줄기는 곧게 서서 자라는데 속이 차 있고 질기며 14~15개의 마디가 있다. 조의 원형(原型)은 생김새가 조와 비슷한 강아지풀이다. 조는 오곡의 하나로서 옛날부터 구황 작물로 중요시되어 왔다. 씨앗의 성질에 따라 차조와 메조로 나뉜다. 사료용ㆍ식용ㆍ약용으로 이용된다. 조의 씨를 좁쌀이라 하며 쌀이나 보리와 함께 잡곡밥을 만들어 먹는다. 또한 떡ㆍ엿ㆍ술 등을 만들어 먹고 새의 모이로도 쓴다. 조의 줄기는 가난한 사람들이 다른 곡물이나 채소와 섞어 짚떡을 만들어 먹던 시절도 있었다. 또한 가축 사료, 지붕 재료, 땔감 등에 쓰이기도 하였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여 사용한다.
익생양술 효능
주로 소화계를 다스린다.
속미(粟米) / 조
라틴명 Setariae Semen
약재의 효능 보중(和中)
익신(益腎)  (신(腎)을 보익(補益)하는 효능임)
제열(除熱)  (열(熱)을 제거하는 효능임)
해독(解毒)  (독성(毒性)을 풀어주는 효능임)
지갈(止渴)  (갈증을 그치게하는 효능임)
보기(補氣)  (기운을 보태주는 방법으로 기허증(氣虛證)을 치료하는 방법임. 오장육부(五臟六腑)의 기(氣)는 폐(肺)에서 주재하는데 중초비위수곡(中焦脾胃水穀)의 정기(精氣)에서 발생되어상초(上焦) 개발에 의하여 전신에 수포(輸布)되므로 기허는 대개 폐(肺)와 비(脾)에서 원인을 찾는 방법임.)
개비위(開脾胃)  (비위(脾胃)를 열어주는 효능임)
익단전(益丹田)  (단전(丹田)의 기(氣)를 보익(補益)하는 효능임)
이소변(利小便)  (소변을 잘 나오게 하는 효능임)
해소맥단석제독(解小麥丹石諸毒)  (소맥(小麥)과 단석(丹石)의 제독(諸毒)을 해독(解毒)하는 효능임.)
작용부위 비(脾) , 신(腎) , 위(胃)
성미 양(凉) , 함(鹹)
주의사항 행인(杏仁)과 함께 먹지 말 것.
약재사용처방 구미평위환(狗米平胃丸) /  반위(反胃)
빙벽환(氷蘗丸) /  구설생창(口舌生瘡)
속미감(粟米泔)[2] /  소갈(消渴)
치반산일방(治半産一方) /  반산(半産)
칠진산(七珍散)[1] /  식상(食傷)
팔진산(八珍散)[1] /  식상(食傷)
해백죽(薤白粥) /  구토(嘔吐)
회생양위단(回生養胃丹) /  반위(反胃)
속미감(粟米泔) / 조
라틴명 Setariae Aqua Luendi
약재의 효능 청열(淸熱)  (열기를 성질이 차거나 서늘한 약으로 식히는 효능임)
화중(和中)  (중초(中焦)를 조화롭게 하여 기능을 정상으로 만드는 효능임)
지갈(止渴)  (갈증을 그치게하는 효능임)
살충(殺蟲)  (기생충을 없애는 효능임)
성미 감함(甘鹹) , 양(凉)
주의사항 오래될수록 좋음.
약재사용처방 속미감(粟米泔)[1] /  곽란번갈(霍亂煩渴)
속미구(粟米糗) / 좁쌀 미숫가루
라틴명 Setariae Semen Praeparatum
약재의 효능 제번(除煩)  (번조(煩躁)한 것을 제거하는 효능임)
지갈(止渴)  (갈증을 그치게하는 효능임)
지사(止瀉)  (설사(泄瀉)를 치료하는 효능임)
실장(實腸)  (장(腸)의 기능을 증강시키는 효능임)
보기(補氣)  (기운을 보태주는 방법으로 기허증(氣虛證)을 치료하는 방법임. 오장육부(五臟六腑)의 기(氣)는 폐(肺)에서 주재하는데 중초비위수곡(中焦脾胃水穀)의 정기(精氣)에서 발생되어상초(上焦) 개발에 의하여 전신에 수포(輸布)되므로 기허는 대개 폐(肺)와 비(脾)에서 원인을 찾는 방법임.)
작용부위 비(脾) , 위(胃)
성미 감(甘) , 양(凉)
장수(漿水) / 좁쌀죽을 삭힌 물
라틴명 Setariae Puls Fermenti Concoctio
약재의 효능 화중익신(和中益腎)  (중초(中焦)를 조화롭게 하여 신기(腎氣)를 더해주는 효능임)
제열해독(除熱解毒)  (열(熱)을 제거하고 해독(解毒)하는 효능임)
조리장위(調理腸胃)  (장위(腸胃)를 다스리고 조절하는 효능임)
거체지갈(去滯止渴)  (막힌 것을 제거하고 갈증을 멈추는 효능임)
이소변(利小便)  (소변을 잘 나오게 하는 효능임)
활태(滑胎)  (태아를 부드럽게 잘 나오게 하는 효능임)
제번청신(除煩淸神)  (번조(煩躁)한 것을 제거하며 정신을 맑게 해주는 효능임)
개위통관(開胃通關)  (위(胃)를 열어주고 막힌 것을 통하게 하는 효능임)
작용부위 비(脾) , 신(腎) , 위(胃)
성미 감산(甘酸) , 양(凉)
약재사용처방 장수(漿水) /  면간(面䵟)흑자(黑子)
진속미(陳粟米) / 조
라틴명 Setariae Semen Praeparatum
약재의 효능 화중(和中)  (중초(中焦)를 조화롭게 하여 기능을 정상으로 만드는 효능임)
익신(益腎)  (신(腎)을 보익(補益)하는 효능임)
제열(除熱)  (열(熱)을 제거하는 효능임)
해독(解毒)  (독성(毒性)을 풀어주는 효능임)
관중(寬中)  (속을 편안하게 하는 효능임)
견근골(堅筋骨)  (근육과 뼈를 견고하게 하는 효능임)
이소변(利小便)  (소변을 잘 나오게 하는 효능임)
기양도(起陽道)  (기혈(氣血)이 체표(體表)로 퍼져 생리기능이 원활하도록 하는 음양(陰陽)의 양적(陽的)인 작용을 원활하게 하는 효능임)
하기(下氣)  (인체 하부의 기(氣)를 말함.)
난비(暖脾)  (비(脾)를 따뜻하게 하는 효능임)
삽장(澁腸)  (설사를 그치게 하는 효능임)
개위(開胃)  (위(胃)를 열어주는 효능임)
진식(進食)  (식욕이 좋아져서 지난날보다 음식을 더 먹는 것을 뜻하는 용어임.)
소식(消食)  (음식을 소화시키는 효능임)
통혈맥(通血脈)  (혈맥이 잘 흐르게 하는 효능임)
건비(健脾)  (비(脾)가 허(虛)한 것을 보(補)하여 운화기능(運化機能)이 약화된 것을 치료하는 방법)
삼습(渗濕)  (습기(濕氣)를 소변으로 빼내는 효능임)
제번(除煩)  (번조(煩躁)한 것을 제거하는 효능임)
작용부위 비(脾) , 신(腎) , 위(胃)
성미 감함(甘鹹) , 양(凉)
주의사항 쪄서 말리거나 볶은 좁쌀
약재사용처방 반속산(半粟散) /  소아토사(小兒吐瀉)
청량미(靑梁米) / 조
라틴명 Setariae Semen
약재의 효능 제열(除熱)  (열(熱)을 제거하는 효능임)
해독(解毒)  (독성(毒性)을 풀어주는 효능임)
보중(補中)  (비위(脾胃)를 보(補)하는 효능임.)
건비(健脾)  (비(脾)가 허(虛)한 것을 보(補)하여 운화기능(運化機能)이 약화된 것을 치료하는 방법)
익기(益氣)
화위(和胃)  (위기(胃氣)를 조화시킬 때 쓰는 방법을 말함)
소식(消食)  (음식을 소화시키는 효능임)
이뇨(利尿)  (소변이 잘 나오게 하는 효능임)
경신(輕身)  (몸을 가볍게 하는 효능임)
연년(延年)
작용부위 비(脾) , 신(腎) , 위(胃)
성미 감(甘) , 미한(微寒)
약재사용처방 청량미(靑梁米)[1] /  위비(胃痺)
청량미(靑梁米)[2] /  열중(熱中)소갈(消渴)
황미(黃米) / 조
라틴명 Setariae Semen
약재의 효능 화중(和中)  (중초(中焦)를 조화롭게 하여 기능을 정상으로 만드는 효능임)
익신(益腎)  (신(腎)을 보익(補益)하는 효능임)
제열(除熱)  (열(熱)을 제거하는 효능임)
해독(解毒)  (독성(毒性)을 풀어주는 효능임)
지갈(止渴)  (갈증을 그치게하는 효능임)
보기(補氣)  (기운을 보태주는 방법으로 기허증(氣虛證)을 치료하는 방법임. 오장육부(五臟六腑)의 기(氣)는 폐(肺)에서 주재하는데 중초비위수곡(中焦脾胃水穀)의 정기(精氣)에서 발생되어상초(上焦) 개발에 의하여 전신에 수포(輸布)되므로 기허는 대개 폐(肺)와 비(脾)에서 원인을 찾는 방법임.)
개비위(開脾胃)  (비위(脾胃)를 열어주는 효능임)
익단전(益丹田)  (단전(丹田)의 기(氣)를 보익(補益)하는 효능임)
이소변(利小便)  (소변을 잘 나오게 하는 효능임)
해소맥단석제독(解小麥丹石諸毒)  (소맥(小麥)과 단석(丹石)의 제독(諸毒)을 해독(解毒)하는 효능임.)
작용부위 비(脾) , 신(腎) , 위(胃)
성미 양(凉) , 함(鹹)
주의사항 행인과 함께 먹지 말 것. 위랭자(胃冷者)는 다식하지 말 것.
약재사용처방 실장산(實腸散)[3] /  구리(久痢)
퇴황환(退黃丸) /  복창(腹脹)당설(溏泄)황달(黃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