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틴명 |
Zingiberis Rhizoma Siccus |
약재의 효능 |
건비(健脾)
(비(脾)가 허(虛)한 것을 보(補)하여 운화기능(運化機能)이 약화된 것을 치료하는 방법)
|
|
개위(開胃)
(위(胃)를 열어주는 효능임)
|
|
선결(宣結)
(결체(結滯)된 것을 편다는 것임.)
|
|
조습(燥濕)
(고조(苦燥)한 약물로 습사(濕邪)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중초습증(中焦濕證)에 적용.)
|
|
소담(消痰)
(막혀 있는 탁한 담(痰)을 쳐 내리는 거담(祛痰) 방법임.)
|
|
해표(解表)
(인체의 가장 바깥 즉, 피부에 맺힌 사기(邪氣)를 풀어주는 효능임)
|
|
온중(溫中)
(중초(中焦)를 따뜻하게 하는 효능임)
|
|
산한(散寒)
(한사(寒邪)를 없애는 효능임)
|
|
회양(回陽)
(양기(陽氣)를 다시 회복시키는 효능임)
|
|
통맥(通脈)
(혈맥을 통하게 하는 방법임)
|
|
하기(下氣)
(인체 하부의 기(氣)를 말함.)
|
|
지혈(止血)
(출혈(出血)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
|
거체(去滯)
(막한 것을 제거하는 효능임)
|
|
소식(消食)
(음식을 소화시키는 효능임)
|
|
이폐(利肺)
(폐(肺)를 이롭게 하는 효능임)
|
|
지구(止嘔)
(구역(嘔逆)을 멈추게 하는 효능임)
|
|
지해(止咳)
(기침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
|
해사독(解蛇毒)
(사독(蛇毒)이 풀리도록 하는 것임.)
|
|
통절맥(通絶脈)
(맥기가 끊어진 것을 원활히 소통시키는 효능임)
|
|
회원양(回元陽)
(으뜸이 되는 양기(陽氣) 즉, 신양(腎陽)을 다시 회복시켜 주는 효능임)
|
|
통심양(通心陽)
(심(心)의 양기를 소통시키는 효능임)
|
작용부위 |
비(脾)
, 위(胃)
, 폐(肺)
|
성미 |
신(辛)
, 온(溫)
|
약전기재 |
대한약전
, 중국약전
|
독성 |
Patients taking anticoagulant drugs or those with blood coagulation disorders should consult their physician prior to self medication with ginger. Patients with gallstones should consult their physician before using ginger preparations 1). Ginger may affect bleeding times and immunological parameters owing to its ability to inhibit thromboxane synthase and to act as prostacyclin agonist 2, 3). However, a randomized, double blind study of the effects of dried ginger(2g daily, orally for 14 days) on platelet fuction showed no differences in bleeding times in patients receiving ginger or a placebo 4, 5).Large doses (12-14g) of ginger may enhance the hypothrombianemic effects of anticoagulant therapy, but the clinical significance has yet to be evaluated. A hot water extract of ginger was reported to be mutagenic in B2911 cells and Salmonella typhimurium strain TA100, but not in strain TA 98 6). Both 6-gingerol and shogaols have been determined to be mutagenic in a Salmonella/ microsomeassay 7), and increased mutagenesis was observed in an Hs30 strain of Escherichia coli treated with 6-gingerol 9). However, the mutagenicity of 6-gingerol and shogaols was suppressed in the presence of zingerone, an antimutagenic constituent of ginger 7). Mild; active, but toxicity appears very mild unless used for long time 10,11). Contact dermatitis of the finger tips has been reported in sensitive patients 8). 1) German Commission E Monograph, Zingiberis rhizoma. Bundesanzeiger, 1988, 85;5 May. 2) Backon J. Ginger; inhibition of thromboxane synthetase and stimulation of prostacyclin; relevance for medicine and psychiatry. Medical hypotheses, 1986, 20;271-278. 3) Backon J. Ginger as an antiemetic; possible side effects due to its thromboxane synthetase activity. Anaesthesia, 1991, 46;705-706. 4) Srivastava KC. Isolation and effects of some ginger components on platelet aggregation and eicosanoid biosynthesis. Prostaglandins and leukotriens in medicine, 1986, 25;187-198. 5) Lumb AB. Effect of ginger on human platelet function. Thrombosis and haemostasis, 1994, 71;110-111. 6) Yamamoto H, Mizutani T, nomura H. Studies on the mutagenicity of crude drug extracts. Yakugaku zasshi, 1982, 102;596-601. 7) Nagabhushan M, Amonkar AJ, Bhide SV. Mutagenicity of gingerol and shogaol and antimutagenisity of zingiverone in Salmonella /microsome assay. Cancer letters, 1987, 36;221-233. 8) Seetharam KA, Pasricha JS. Condiments and contact dermatitis of the finger tips. Indian journal of dermatology, venereology and leprology, 1987, 53;325-328. 9) Nakamura H, Yamamoto T. Mutagen and antimutagen in ginger, Zingiber officinale. Mutation research, 1982, 103;119-126. 10) H.K. Do, Shin Rhong Bon Cho Kyung, 452. 11) H.T. Rhu, Hyang Yak Jip Sung Bang, 1431. |
약재사용처방 |
가감목향산(加減木香散) /
손설(飱泄)
|
|
가감백통탕(加減白通湯) /
고냉(痼冷)
, 제복냉통(臍腹冷痛)
|
|
가감사물탕(加減四物湯)[2] /
음허노손(陰虛勞損)
|
|
가감속명탕(加減續命湯)[4] /
중풍(中風)
, 무한(無汗)
, 태음병(太陰病)
|
|
가감이중탕(加減理中湯) /
위한(胃寒)
|
|
가감진주분환(加減珍珠粉丸) /
백음(白淫)
, 적백탁(赤白濁)
|
|
가구자원(家韭子元) /
소변불금(小便不禁)
|
|
가미강부탕(加味薑附湯) /
습곽란(濕霍亂)
|
|
가미이중탕(加味理中湯)[1] /
고냉(痼冷)
|
|
가미이중탕(加味理中湯)[2] /
위해(胃咳)
, 폐한(肺寒)
|
|
가자산(訶子散)[3] /
심비통(心脾痛)
|
|
가자피산(訶子皮散) /
적백리(赤白痢)
, 허리(虛痢)
, 탈항(脫肛)
|
|
가제제습탕(加劑除濕湯) /
한습(寒濕)
|
|
감초건강탕(甘草乾薑湯)[1] /
번조(煩躁)
, 구토(嘔吐)
|
|
감초건강탕(甘草乾薑湯)[2] /
폐위(肺痿)
|
|
감초사심탕(甘草瀉心湯) /
상한비기(傷寒痞氣)
, 심하비만(心下痞滿)
|
|
강묵환(薑墨丸) /
적백리(赤白痢)
|
|
강부탕(薑附湯) /
중한(中寒)
, 상한음증(傷寒陰證)
|
|
강활부자탕(羌活附子湯)[2] /
위랭(胃冷)
|
|
개결도인환(開結導引丸) /
각기(脚氣)
|
|
개울도기탕(開鬱導氣湯) /
복통(腹痛)
|
|
건강(乾薑)[2] /
한담(寒痰)
|
|
건강(乾薑)[4] /
냉설(冷泄)
, 냉리(冷痢)
|
|
건강(乾薑)[5] /
비색(鼻塞)
|
|
건강(乾薑)[6] /
졸심통(卒心痛)
|
|
건강(乾薑)[7] /
비냉복통(脾冷腹痛)
|
|
건강탕(乾薑湯) /
음양역(陰陽易)
|
|
계비원(啓脾元) /
비위불화(脾胃不和)
, 불능식(不能食)
|
|
계심(桂心)[2] /
음란편추(陰卵偏墜)
|
|
계지인삼탕(桂枝人蔘湯)[1] /
지결(支結)
|
|
계지인삼탕(桂枝人蔘湯)[2] /
심하비만(心下痞滿)
, 상한비기(傷寒痞氣)
|
|
계출탕(桂朮湯) /
혈분증(血分證)
, 기분증(氣分證)
|
|
고장탕(固腸湯) /
적백리(赤白痢)
|
|
고진환(固眞丸) /
백대(白帶)
, 제복냉통(臍腹冷痛)
|
|
관중환(寬中丸) /
적취(積聚)
|
|
교가산(交加散)[1] /
상한(傷寒)
, 감모(感冒)
|
|
구명연년환(救命延年丸) /
이질(痢疾)
|
|
구미이중탕(九味理中湯) /
한천(寒喘)
|
|
구통원(九痛元) /
냉심통(冷心痛)
, 구종심통(九種心痛)
|
|
궁귀보중단(芎歸補中湯) /
태루(胎漏)
, 소관반산(素慣半産)
|
|
궁귀조혈음(芎歸調血飮) /
산후발열(産後發熱)
|
|
귤피건강탕(橘皮乾薑湯) /
위랭(胃冷)
|
|
귤피전원(橘皮煎元) /
비신구허(脾腎俱虛)
, 구리(久痢)
|
|
금로원(金露元) /
적취(積聚)
|
|
기실이중원(枳實理中元) /
흉비(胸痺)
|
|
노학음(老瘧飮) /
학모(瘧母)
|
|
당귀활혈탕(當歸活血湯) /
혈울(血鬱)
, 기체(氣滯)
|
|
대고양탕(大固陽湯) /
탈양(脫陽)
|
|
대단하환(大斷下丸) /
구리(久痢)
, 허리(虛痢)
|
|
대산우원(大山芋元) /
노손(勞損)
, 비위허약(脾胃虛弱)
|
|
대순산(大順散) /
중서(中暑)
|
|
대정기산(大正氣散) /
창만(脹滿)
|
|
도씨익원탕(陶氏益元湯) /
상한대양(傷寒戴陽)
|
|
도씨평위산(陶氏平胃散) /
식적(食積)
|
|
도화탕(桃花湯) /
농혈리(膿血痢)
, 상한소음병(傷寒少陰病)
|
|
마황계지탕(麻黃桂枝湯)[2] /
심위통(心胃痛)
|
|
만병원(萬病元) /
벽괴(癖塊)
, 시주(尸注)
, 학질(瘧疾)
, 황달(黃疸)
, 전간(癲癎)
, 고독(蠱毒)
|
|
만전환(萬全丸) /
활설(滑泄)
, 구리(久痢)
|
|
목향분기환(木香分氣丸) /
창만(脹滿)
, 담수(痰嗽)
, 천급(喘急)
|
|
목향순기산(木香順氣散) /
기창(氣脹)
|
|
목향화체탕(木香化滯湯) /
상식(傷食)
, 심하비만(心下痞滿)
|
|
반총산(蟠蔥散) /
한산(寒疝)
|
|
반하건강산(半夏乾薑散) /
오심(惡心)
, 건구(乾嘔)
|
|
반하백출천마탕(半夏白朮天麻湯) /
담궐두통(痰厥頭痛)
|
|
반하사심탕(半夏瀉心湯) /
상한비기(傷寒痞氣)
|
|
백배환(百杯丸) /
징벽(癥癖)
, 상주(傷酒)
|
|
백부자산(白附子散)[1] /
궐역두통(厥逆頭痛)
|
|
백부자환(白附子丸) /
담훈(痰暈)
|
|
백작약산(白芍藥散) /
적백대하(赤白帶下)
|
|
백출산(白朮散)[2] /
상한음독(傷寒陰毒)
|
|
백출후박탕(白朮厚朴湯) /
손설(飱泄)
, 곽란(霍亂)
|
|
백통탕(白通湯) /
상한소음병(傷寒少陰病)
|
|
별리산(別離散) /
심풍(心風)
|
|
보경고진탕(補經固眞湯) /
혈붕(血崩)
, 백대(白帶)
|
|
보비탕(補脾湯)[1] /
비허(脾虛)
|
|
보생단(保生丹) /
만경풍(慢驚風)
|
|
보신환(補腎丸)[1] /
신음허(腎陰虛)
|
|
보음사화탕(補陰瀉火湯) /
담수(痰嗽)
, 음허화동(陰虛火動)
, 도한(盜汗)
, 조열(潮熱)
|
|
보음산(補陰散)[1] /
음허화동(陰虛火動)
|
|
보음산(補陰散)[2] /
음허화동(陰虛火動)
|
|
보음환(補陰丸)[1] /
음허화동(陰虛火動)
|
|
보음환(補陰丸)[2] /
음허화동(陰虛火動)
, 객혈(喀血)
, 조열(潮熱)
, 몽설(夢泄)
, 도한(盜汗)
|
|
보정탕(保精湯) /
몽설(夢泄)
, 음허화동(陰虛火動)
|
|
보천대조환(補天大造丸) /
방로상(房勞傷)
, 허로(虛勞)
|
|
보천환(補天丸)[1] /
골증(骨蒸)
|
|
보천환(補天丸)[2] /
음허(陰虛)
|
|
복량환(伏粱丸) /
심적(心積)
|
|
복령반하탕(茯苓半夏湯)[2] /
담음구토(痰飮嘔吐)
|
|
복령백출탕(茯苓白朮湯) /
습온(濕溫)
|
|
복룡간산(伏龍肝散) /
오색대하(五色帶下)
, 붕루(崩漏)
, 제복냉통(臍腹冷痛)
|
|
복양단(復陽丹) /
상한음독(傷寒陰毒)
|
|
부양조위탕(扶陽助胃湯) /
냉심통(冷心痛)
|
|
부연산(赴宴散)[3] /
구창(口瘡)
|
|
부자산(附子散)[1] /
상한음독(傷寒陰毒)
|
|
부자온중탕(附子溫中湯) /
한설(寒泄)
|
|
부자이중탕(附子理中湯)[1] /
중한(中寒)
|
|
부자이중탕(附子理中湯)[2] /
중한(中寒)
|
|
부화탕(敷和湯) /
온려(瘟癘)
, 황달(黃疸)
, 도현(掉眩)
, 이명(耳鳴)
|
|
비급오수원(備急五嗽元) /
사수(邪嗽)
, 기수(氣嗽)
, 음수(飮嗽)
|
|
비급환(備急丸)[1] /
귀격(鬼擊)
, 중악(中惡)
, 객오(客忤)
|
|
비기환(肥氣丸) /
간적(肝積)
|
|
비기환(肥氣丸) /
비적(脾積)
|
|
비전순기산(秘傳順氣散) /
탄탄(癱瘓)
, 중풍구안와사(中風口眼喎斜)
|
|
사궁산(莎芎散)[2] /
열심통(熱心痛)
|
|
사백안위음(瀉白安胃飮) /
백리(白痢)
|
|
사순이중탕(四順理中湯) /
상한태음병(傷寒太陰病)
|
|
사순이중환(四順理中丸) /
상한태음병(傷寒太陰病)
|
|
사역탕(四逆湯) /
상한음증(傷寒陰證)
|
|
사향산(四香散) /
고창(蠱脹)
|
|
산조인탕(酸棗仁湯)[3] /
상한허번(傷寒虛煩)
|
|
삼기탕(蔘芪湯)[4] /
치루(痔瘻)
, 탈항(脫肛)
|
|
삼두해정탕(三豆解컲湯) /
주상(酒傷)
|
|
삼령연출산(蔘苓蓮朮散) /
허설(虛泄)
|
|
삼령장비원(蔘苓壯脾元) /
비위허한(脾胃虛寒)
|
|
삼습탕(渗濕湯)[1] /
한습(寒濕)
|
|
삼신산(三辛散) /
해로(解顱)
|
|
삼오칠산(三五七散) /
목현(目眩)
, 풍한두통(風寒頭痛)
|
|
삼인총백산(三因蔥白散) /
한산(寒疝)
, 방광병(膀胱病)
|
|
삼출산(蔘朮散) /
심위통(心胃痛)
|
|
삼합탕(三合湯)[1] /
배통철심(背痛徹心)
|
|
삼향산(參香散) /
노채(勞瘵)
, 허로이수(虛勞羸瘦)
|
|
생강사심탕(生薑瀉心湯) /
상한비기(傷寒痞氣)
|
|
생료오적산(生料五積散) /
상한태양병(傷寒太陽病)
|
|
생부탕(生附湯)[2] /
한습(寒濕)
, 상습(傷濕)
|
|
선적환(宣積丸) /
대변비결(大便秘結)
|
|
성비음자(醒脾飮子) /
자학(子瘧)
, 한학(寒瘧)
|
|
세신고(細辛膏) /
비구(鼻鼽)
|
|
소주차원(小駐車元) /
적백리(赤白痢)
|
|
소청룡탕(小靑龍湯) /
상한표증(傷寒表證)
|
|
수자목향고(水煮木香膏) /
이질(痢疾)
|
|
수자목향산(水煮木香散) /
이질(痢疾)
|
|
수자목향원(水煮木香元) /
백리(白痢)
|
|
수중금원(守中金元) /
비위허한(脾胃虛寒)
, 장명(腸鳴)
|
|
수풍환(搜風丸)[2] /
열비(熱秘)
, 풍비(風秘)
|
|
숙료오적산(熟料五積散) /
상한태양병(傷寒太陽病)
|
|
순기목향산(順氣木香散) /
한창(寒脹)
|
|
승마탕(升麻湯)[1] /
비사(鼻齄)
|
|
승마화기음(升麻和氣飮) /
개선(疥癬)
|
|
승습탕(勝濕湯) /
중습(中濕)
|
|
승홍원(勝紅元) /
혈적(血積)
, 주적(酒積)
|
|
시호계강탕(柴胡桂薑湯) /
소양학(少陽瘧)
|
|
식분환(息賁丸) /
폐적(肺積)
|
|
신귀자음환(神龜滋陰丸) /
각슬위약(脚膝痿弱)
|
|
신성복기탕(神聖復氣湯) /
신심통(腎心痛)
|
|
신착탕(腎着湯) /
신착(腎着)
|
|
실비산(實脾散) /
수종(水腫)
|
|
아위원(阿魏元) /
식적(食積)
|
|
양비환(養脾丸) /
식상(食傷)
, 비위허한(脾胃虛寒)
|
|
양폐산(羊肺散) /
비치(鼻痔)
|
|
어풍단(禦風丹) /
반신불수(半身不遂)
, 구안와사(口眼喎斜)
, 중풍(中風)
|
|
여성병자(如聖餠子) /
정두통(正頭痛)
|
|
여성산(如聖散)[1] /
붕루(崩漏)
|
|
영출탕(苓朮湯)[1] /
납매(納呆)
, 손설(飱泄)
|
|
영출탕(苓朮湯)[2] /
습온(濕溫)
|
|
오금산(烏金散)[2] /
산후혈훈(産後血暈)
, 산후오로부진(産後惡露不盡)
|
|
오사산(烏蛇散) /
파상풍(破傷風)
|
|
오수유탕(吳茱萸湯)[2] /
음랭(陰冷)
|
|
오수유탕(吳茱萸湯)[3] /
진창(䐜脹)
|
|
오약순기산(烏藥順氣散)[1] /
일체풍질(一切風疾)
|
|
오약순기산(烏藥順氣散)[2] /
유주(流注)
, 근맥구련(筋脈拘攣)
|
|
오적산(五積散) /
상한음증(傷寒陰證)
|
|
온경환(溫經丸) /
감루(疳瘻)
|
|
온백원(溫白元) /
징가(癥瘕)
, 적취(積聚)
, 황달(黃疸)
|
|
온비단(溫脾丹) /
체이(滯頤)
|
|
온비산(溫脾散) /
구설(久泄)
|
|
온신산(溫腎散) /
명문화쇠(命門火衰)
, 요척통(腰脊痛)
|
|
온신탕(溫腎湯) /
포비(胞痺)
|
|
온위탕(溫胃湯)[2] /
위완통(胃脘痛)
|
|
온위탕(溫胃湯)[3] /
한창(寒脹)
|
|
온위화담환(溫胃化痰丸) /
한담(寒痰)
|
|
온육환(溫六丸) /
백리(白痢)
|
|
온중화담환(溫中化痰丸) /
한담(寒痰)
|
|
온폐탕(溫肺湯)[2] /
한수(寒嗽)
|
|
용담탕(龍膽湯)[1] /
이롱(耳聾)
|
|
우여량환(禹餘粮丸) /
활설(滑泄)
|
|
우황청심원(牛黃淸心元)[1] /
전광(癲狂)
|
|
우황청심원(牛黃淸心元)[2] /
졸중풍(卒中風)
|
|
윤신환(潤腎丸) /
비신구허(脾腎俱虛)
|
|
음단탕(陰旦湯) /
상한음증(傷寒陰證)
|
|
이강원(飴薑元) /
한수(寒嗽)
|
|
이강환(二薑丸) /
냉심통(冷心痛)
|
|
이중탕(理中湯) /
상한태음병(傷寒太陰病)
|
|
이중환(理中丸) /
상한태음병(傷寒太陰病)
|
|
익지화중탕(益智和中湯) /
하혈(下血)
, 장벽(腸澼)
|
|
인삼반하환(人蔘半夏丸) /
구천(久喘)
|
|
인삼순기산(人蔘順氣散) /
허증(虛症)
, 탄탄(癱瘓)
, 중풍(中風)
|
|
인삼윤폐탕(人蔘潤肺湯) /
한수(寒嗽)
|
|
인진강부탕(茵蔯薑附湯) /
냉한(冷汗)
, 음황(陰黃)
|
|
인진부자건강탕(茵蔯附子乾薑湯) /
음황(陰黃)
|
|
인진사역탕(茵蔯四逆湯) /
음황(陰黃)
|
|
인진오수유탕(茵蔯吳茱萸湯) /
음황(陰黃)
|
|
입효산(立效散)[2] /
혈가(血瘕)
|
|
장수산(漿水散) /
폭설(暴泄)
|
|
저백환(樗柏丸) /
소변백탁(小便白濁)
|
|
적석지환(赤石脂丸) /
농혈리(膿血痢)
|
|
정기보허탕(正氣補虛湯) /
양허(陽虛)
|
|
정기천향탕(正氣天香湯) /
구기울결(九氣鬱結)
|
|
정순탕(靜順湯) /
두통(頭痛)
, 기울(氣鬱)
, 구토(嘔吐)
, 신열(身熱)
, 창양(瘡瘍)
|
|
정양산(正陽散)[2] /
상한음독(傷寒陰毒)
|
|
정통산(定痛散)[1] /
아주공(牙蛀孔)
|
|
정풍병자(定風餠子)[1] /
담궐두통(痰厥頭痛)
|
|
제음단(濟陰丹) /
무사(無嗣)
|
|
조경양혈원(調經養血元) /
무자(無子)
|
|
조경종옥탕(調經種玉湯) /
무사(無嗣)
|
|
조양산(助陽散) /
음랭(陰冷)
|
|
종사환(螽斯丸) /
무사(無嗣)
|
|
중만분소탕(中滿分消湯) /
중만(中滿)
, 한창(寒脹)
|
|
증손사물탕(增損四物湯) /
산후허리(産後虛羸)
|
|
증손오적환(增損五積丸)[1] /
오적(五積)
, 비적(脾積)
|
|
증손오적환(增損五積丸)[2] /
오적(五積)
, 간적(肝積)
|
|
증손오적환(增損五積丸)[3] /
오적(五積)
, 신적(腎積)
|
|
증손오적환(增損五積丸)[4] /
오적(五積)
, 심적(心積)
|
|
증손오적환(增損五積丸)[5] /
폐적(肺積)
, 오적(五積)
|
|
창백저피환(蒼柏樗皮丸) /
백대(白帶)
|
|
천태산(天臺散) /
중풍(中風)
, 탄탄(癱瘓)
|
|
천화산(天花散)[1] /
소갈(消渴)
|
|
청백산(淸白散) /
백대(白帶)
|
|
청열해울탕(淸熱解鬱湯) /
위완통(胃脘痛)
|
|
청울산(淸鬱散) /
위심통(胃心痛)
|
|
청타탕(淸唾湯) /
타혈(唾血)
|
|
추기양혈환(推氣養血丸) /
산후협통(産後脇痛)
|
|
충화양위탕(沖和養胃湯) /
내장(內障)
|
|
치수족탄탄비방(治手足癱瘓秘方) /
탄탄(癱瘓)
|
|
치습중화탕(治濕中和湯) /
한습(寒濕)
|
|
치중탕(治中湯) /
상한태음병(傷寒太陰病)
|
|
침향온위환(沈香溫胃丸) /
비위허한(脾胃虛寒)
, 곽란(霍亂)
|
|
탁리온중탕(托裏溫中湯) /
옹저설사(癰疽泄瀉)
|
|
탁리화중탕(托裏和中湯) /
옹저궤후구불렴(癰疽潰後久不斂)
|
|
통경환(通經丸) /
실녀월경불통(室女月經不通)
, 혈가(血瘕)
|
|
통관음(通關飮) /
후비(喉痺)
|
|
통맥사역탕(通脈四逆湯) /
상한소음병(傷寒少陰病)
|
|
퇴음산(退陰散) /
상한음독(傷寒陰毒)
|
|
파담소음원(破痰消飮元) /
담음(痰飮)
|
|
파음단(破陰丹) /
상한음독(傷寒陰毒)
|
|
파적도음환(破積導飮丸) /
담적(痰積)
|
|
팔미이중환(八味理中丸) /
비위허한(脾胃虛寒)
, 복창(腹脹)
|
|
팔미흑신산(八味黑神散) /
산후오로부진(産後惡露不盡)
, 혈훈(血暈)
|
|
팔보회춘탕(八寶回春湯) /
허증(虛症)
, 중풍(中風)
|
|
팔주산(八柱散) /
활설(滑泄)
|
|
패모탕(貝母湯) /
구수(久嗽)
|
|
평위지유탕(平胃地楡湯) /
변혈(便血)
|
|
해반하독일방(解半夏毒一方) /
반하독(半夏毒)
|
|
해초오천오천웅부자독방(解草烏川烏天雄附子毒方) /
부자독(附子毒)
, 천웅독(天雄毒)
, 천오독(川烏毒)
, 초오독(草烏毒)
|
|
행자탕(杏子湯) /
한수(寒嗽)
|
|
향사평위산(香砂平胃散)[2] /
식울(食鬱)
|
|
호잠환(虎潛丸) /
음허노손(陰虛勞損)
|
|
홍원자(紅圓子) /
식적(食積)
, 주적(酒積)
|
|
화중산(和中散)[2] /
소아설사(小兒泄瀉)
|
|
환금산(換金散) /
구창(口瘡)
|
|
활혈산(活血散)[1] /
도창상(刀槍傷)
|
|
황련소비환(黃連消痞丸) /
흉비통(胸痞痛)
|
|
황련탕(黃連湯)[2] /
복통(腹痛)
, 구토(嘔吐)
|
|
회생신고(回生神膏) /
대소변불통(大小便不通)
|
|
회수산(回首散) /
항강(項强)
|
|
회양구급탕(回陽救急湯) /
상한음증(傷寒陰證)
|
|
회양반본탕(回陽返本湯) /
음성격양(陰盛格陽)
|
|
회양탕(回陽湯) /
중한(中寒)
|
|
후박귤피전(厚朴橘皮煎) /
한창(寒脹)
|
|
후박온중탕(厚朴溫中湯) /
한복통(寒腹痛)
|
|
후박탕(厚朴湯)[2] /
심복냉통(心腹冷痛)
|
|
후박탕(厚朴湯)[3] /
숙식(宿食)
, 내상비위증(內傷脾胃證)
|
|
후박환(厚朴丸) /
중초토식(中焦吐食)
|
|
흑지황환(黑地黃丸) /
치(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