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백나무
분포 |
전국 각지 |
채취기간 |
9~10월 |
키 |
25m 정도 |
취급요령 |
그늘에 말려 쓴다. 잎은 삶거나 술에 적셔 그늘에 말린다. |
생지 |
울타리, 정원 등에 식재 |
성미 |
서늘하며, 맵고 약간 쓰다. |
분류 |
상록 교목 |
독성여부 |
없다 |
번식 |
씨 |
1회사용량 |
잎ㆍ열매 8~10g |
약효 |
잎ㆍ열매 |
사용범위 |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
잎
작은 비늘 모양의 뾰족한 잎들이 다닥다닥 붙어 마주나는데 좌우의 잎과 가운데 달린 잎의 크기가 비슷하기 때문에 세 잎의 윤곽이 W자를 이룬다. 작은 비늘잎들로 구성된 잎이 모서리 모양이어서 작은 가지와 잎의 구분이 뚜렷하지 않다. 곁잎은 달걀꼴을 이루며 청록색 바탕에 흰 점이 약간 있다.
꽃
4월에 암수한그루에서 단성화가 핀다. 수꽃은 지난해에 돋은 가지 끝에 한 송이씩 달리는데 10개의 비늘 조각으로 구성되고 각각 2~4개씩의 꽃밥이 있다. 연한 자갈색인 암꽃은 공처럼 둥글며 8개의 실편(實片)으로 구성되고 꽃마다 6개의 밑씨가 있다.
열매
9~10월에 달걀꼴 또는 둥근 달걀 모양의 구과가 달려 청록색에서 자갈색으로 익어 가는데 8개의 실편이 교대로 마주나고 첫째 1쌍에는 씨가 없다.
특징 및 사용
측백ㆍ측백목ㆍ강백(姜栢)이라고도 한다. 가지가 수직 방향으로 벌어져 발달하므로 측백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위쪽에서 가지나 잎이 무성한 부분이 불규칙하게 퍼진다. 나무껍질은 회갈색이며 세로로 갈라진다. 가지는 많은데 큰 가지는 적갈색이며 작은 가지는 녹색이다. 씨를 백자인(柏子仁), 어린가지를 측백엽(側柏葉)이라 한다. 관상용ㆍ울타리ㆍ약용으로 이용된다. 특히 생울타리로 적합하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사용하며, 술을 담가서도 쓴다. 복용 중에 국화ㆍ대황ㆍ밀가루 음식ㆍ소리쟁이ㆍ참소리쟁이를 금한다.
익생양술 효능
주로 소화기 질환과 건강 생활에 효험이 있으며, 혈증을 다스린다.
백엽(柏葉) / 측백나무 잎
라틴명 |
Biotae Folium |
약재의 효능 |
양혈(凉血)
(청열법(淸熱法)의 일종으로서, 혈분(血分)의 열사(熱邪)를 제거하는 치법.)
|
|
지혈(止血)
(출혈(出血)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
|
거풍습(祛風濕)
(풍습(風濕)을 제거하는 효능임)
|
|
소종독(消腫毒)
(헌데나 부스럼을 없애는 효능임)
|
|
생기(生肌)
(기육(肌肉)이 생기게 하는 효능임)
|
|
지통(止痛)
(통증(痛症)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
|
산어(散瘀)
(어혈(瘀血)을 제거하는 효능임)
|
|
이뇨(利尿)
(소변이 잘 나오게 하는 효능임)
|
|
멸반(滅瘢)
(흉터를 없애는 효능임)
|
|
오수발(烏鬚髮)
(머리와 수염을 검게 하는 효능임)
|
|
경신(輕身)
(몸을 가볍게 하는 효능임)
|
|
내한서(耐寒暑)
|
|
살오장충(殺五臟蟲)
(오장(五臟)의 기생충을 없애는 효능임)
|
작용부위 |
간(肝)
, 비(脾)
, 폐(肺)
|
성미 |
고삽(苦澁)
, 한(寒)
|
약전기재 |
중국약전
|
약재사용처방 |
괴화산(槐花散)[3] /
장독(臟毒)
, 장풍(腸風)
|
|
십회산(十灰散)[1] /
객혈(喀血)
, 수혈(嗽血)
, 구혈(嘔血)
, 토혈(吐血)
|
|
십회산(十灰散)[2] /
허로(虛勞)
|
백자인(柏子仁) / 측백나무 씨
라틴명 |
Thujae Semen (Biotae Semen) |
약재의 효능 |
양심(養心)
(심혈(心血)이 허(虛)하여 두근거림, 불면증, 건망증 등이 나타날 때 쓰는 방법임.)
|
|
안신(安神)
(담기허(膽氣虛) 또는 담열(膽熱)로 인하여 발생되는 양기조동(陽氣躁動), 심계(心悸), 실면(失眠), 경간(驚癇), 광망(狂妄), 번조이노(煩躁易怒) 등의 병증이 있을 때, 정신을 안정시키는 방법임.)
|
|
윤장(潤腸)
(장(腸)을 적셔주는 효능임)
|
|
통변(通便)
(변이 막혀 나오지 않는 것을 소통시키는 효능임)
|
|
지한(止汗)
(손등의 가운뎃손가락과 무명지(無名指)의 사이로, 지골(指骨)과 중수골(中手骨)의 접합처에서 위로 1치[寸] 6푼[分]이 되는 곳에 위치하며 땀이 많이 나는 것을 치료하는 동씨기혈(董氏奇穴)임.)
|
|
양심윤신(養心潤腎)
(심(心)과 신(腎)에 음액(陰液)을 공급하는 효능임)
|
|
조비자간(助脾滋肝)
(비(脾)를 도와주고 간(肝)을 자양(滋養)하는 효능임)
|
|
윤피부(潤皮膚)
(피부(皮膚)를 적셔주는 효능임)
|
|
총이(聰耳)
(귀가 잘 들리지 않을때 귀를 밝게 하는 효능임)
|
|
명목(明目)
(눈을 밝게 하는 효능임)
|
|
불기(不飢)
(배고픔을 없게 하는 효능임)
|
|
경신(輕身)
(몸을 가볍게 하는 효능임)
|
|
연년(延年)
|
작용부위 |
대장(大腸)
, 신(腎)
, 심(心)
|
성미 |
감(甘)
, 평(平)
|
약전기재 |
중국약전
, 한국생약규격집
|
약재사용처방 |
괴자환(槐子丸) /
풍견편시(風牽偏視)
|
|
금련환(金蓮丸) /
소변적탁(小便赤濁)
|
|
녹각산(鹿角散)[1] /
몽설(夢泄)
|
|
대아교원(大阿膠元) /
타혈(唾血)
, 노수(勞嗽)
, 토혈(吐血)
|
|
명목장수환(明目壯水丸) /
간신구허내장(肝腎俱虛內障)
, 안화(眼花)
|
|
반룡단(斑龍丹) /
허로(虛勞)
|
|
백자인(栢子仁)[1] /
신허(腎虛)
|
|
백자인(栢子仁)[2] /
방광허한(膀胱虛寒)
|
|
백자인산(柏子仁散) /
산후망견망언(産後妄見妄言)
|
|
백자인환(柏子仁丸) /
노심월폐(勞心月閉)
|
|
보간산(補肝散)[2] /
원예(圓翳)
|
|
보간산(補肝散)[3] /
음허생예(陰虛生翳)
|
|
보심환(補心丸) /
심허수전(心虛手戰)
|
|
삼성고(三聖膏)[1] /
수발황락(鬚髮黃落)
|
|
상단(上丹) /
음위(陰痿)
|
|
신선거승자원(神仙巨勝子元) /
허로(虛勞)
|
|
십사우원(十四友元) /
신지불녕(神志不寧)
|
|
양심탕(養心湯) /
소수(少睡)
, 경계(驚悸)
|
|
양혈안신탕(養血安神湯) /
경계(驚悸)
|
|
연령고본단(延齡固本丹) /
중년양사불거(中年陽事不擧)
, 수발조백(鬚髮早白)
|
|
영지원(寧志元) /
경계(驚悸)
|
|
오인환(五仁丸) /
대변비결(大便秘結)
|
|
용주환(茸珠丸) /
신허(腎虛)
|
|
육혼단(育魂丹) /
전간(癲癎)
, 정충(怔忡)
|
|
이신교제단(二神交濟丹) /
허로(虛勞)
|
|
익수고진단(益壽固眞丹) /
허로(虛勞)
|
|
익영탕(益榮湯) /
황홀(恍惚)
, 정충(怔忡)
|
|
인숙산(仁熟散) /
담허(膽虛)
|
|
자장오인환(滋腸五仁丸) /
산후대변비결(産後大便秘結)
|
|
장원환(壯元丸) /
건망(健忘)
, 정충(怔忡)
|
|
진주모환(眞珠母丸) /
허번불수(虛煩不睡)
|
|
천금연수단(千金延壽丹) /
허로(虛勞)
|
|
천왕보심단(天王補心丹) /
경계(驚悸)
, 정충(怔忡)
|
|
환정환(還睛丸)[1] /
고풍작목(高風雀目)
|
백지(柏脂) / 측백나무 수지
측백(側柏) / 측백나무 잎
라틴명 |
Biotae Folium |
약재의 효능 |
양혈(凉血)
(청열법(淸熱法)의 일종으로서, 혈분(血分)의 열사(熱邪)를 제거하는 치법.)
|
|
지혈(止血)
(출혈(出血)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
|
거풍습(祛風濕)
(풍습(風濕)을 제거하는 효능임)
|
|
소종독(消腫毒)
(헌데나 부스럼을 없애는 효능임)
|
|
생기(生肌)
(기육(肌肉)이 생기게 하는 효능임)
|
|
지통(止痛)
(통증(痛症)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
|
산어(散瘀)
(어혈(瘀血)을 제거하는 효능임)
|
|
이뇨(利尿)
(소변이 잘 나오게 하는 효능임)
|
|
멸반(滅瘢)
(흉터를 없애는 효능임)
|
|
오수발(烏鬚髮)
(머리와 수염을 검게 하는 효능임)
|
|
경신(輕身)
(몸을 가볍게 하는 효능임)
|
|
내한서(耐寒暑)
|
|
살오장충(殺五臟蟲)
(오장(五臟)의 기생충을 없애는 효능임)
|
작용부위 |
간(肝)
, 비(脾)
, 폐(肺)
|
성미 |
고삽(苦澁)
, 한(寒)
|
독성 |
Not for long term use; do not exceed recommended dose 1). 1) AHPA Safety & Labeling Guideliness SubCommittee;Michael McGuffin, Chair; Christopher Hobbs, L.Ac; and Roy Upton. |
약재사용처방 |
발회환(髮灰丸) /
요혈(尿血)
|
측백엽(側柏葉) / 측백나무 잎
라틴명 |
Biotae Folium |
약재의 효능 |
양혈(凉血)
(청열법(淸熱法)의 일종으로서, 혈분(血分)의 열사(熱邪)를 제거하는 치법.)
|
|
지혈(止血)
(출혈(出血)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
|
거풍습(祛風濕)
(풍습(風濕)을 제거하는 효능임)
|
|
소종독(消腫毒)
(헌데나 부스럼을 없애는 효능임)
|
|
생기(生肌)
(기육(肌肉)이 생기게 하는 효능임)
|
|
지통(止痛)
(통증(痛症)을 그치게 하는 효능임)
|
|
산어(散瘀)
(어혈(瘀血)을 제거하는 효능임)
|
|
이뇨(利尿)
(소변이 잘 나오게 하는 효능임)
|
|
멸반(滅瘢)
(흉터를 없애는 효능임)
|
|
오수발(烏鬚髮)
(머리와 수염을 검게 하는 효능임)
|
|
경신(輕身)
(몸을 가볍게 하는 효능임)
|
|
내한서(耐寒暑)
|
|
살오장충(殺五臟蟲)
(오장(五臟)의 기생충을 없애는 효능임)
|
작용부위 |
간(肝)
, 비(脾)
, 폐(肺)
|
성미 |
고삽(苦澁)
, 한(寒)
|
약전기재 |
한국생약규격집
|
독성 |
Not for long term use; do not exceed recommended dose 1). 1) AHPA Safety & Labeling Guideliness SubCommittee;Michael McGuffin, Chair; Christopher Hobbs, L.Ac; and Roy Upton. |
약재사용처방 |
가감사물탕(加減四物湯)[1] /
변혈(便血)
, 장풍(腸風)
|
|
각독탕(却毒湯) /
치루(痔瘻)
|
|
괴화산(槐花散)[2] /
장독(臟毒)
|
|
국화산(菊花散)[2] /
수발황락(鬚髮黃落)
|
|
백엽탕(柏葉湯) /
장풍(腸風)
|
|
보천대조환(補天大造丸) /
방로상(房勞傷)
, 허로(虛勞)
|
|
사생환(四生丸)[1] /
육혈(衄血)
, 토혈(吐血)
|
|
운모고(雲母膏)[1] /
골저(骨疽)
, 내저(內疽)
, 나력(瘰癧)
|
|
운모고(雲母膏)[2] /
옹저(癰疽)
|
|
이선환(二仙丸) /
수발황락(鬚髮黃落)
|
|
전홍원(剪紅元) /
장풍(腸風)
, 장독(臟毒)
|
|
청뉵탕(淸衄湯) /
육혈(衄血)
|
|
청장탕(淸臟湯) /
변혈(便血)
|
|
측백산(側柏散) /
하혈(下血)
, 토혈(吐血)
|
|
측백엽(側柏葉)[1] /
요혈(尿血)
, 토혈(吐血)
, 변혈(便血)
, 육혈(衄血)
|
|
측백엽(側柏葉)[2] /
탕화상(燙火傷)
|
|
측백탕(側柏湯) /
육혈(衄血)
, 혈리(血痢)
, 토혈(吐血)
, 혈붕(血崩)
|